윤종원 IBK기업은행 은행장이 2021년 시무식을 은행 자체방송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이 라임·디스커버리펀드 환매중단과 관련해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피해자들과 대화에 나서며 선제대응을 시도했던 윤종원 행장은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결국 금융당국의 중징계를 고스란히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렸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오는 28일 IBK기업은행의 제재심이 개최된다. 이번 제재 대상의 경우 윤종원 현 기업은행장이 아닌 펀드 판매 당시 재직했던 김도진 전 기업은행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만든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와 'US부동산선순위채권 펀드' 등에서 발생한 환매 중단 사태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6800억원 가량을 판매했다. 이후 이 펀드는 총 914억원의 환매가 중단됐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 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 가입고객에게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피해자 모임은 선가지급 50%가 결정된 후에도 8차례의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지난해 7월 전국 19곳의 WM센터 순외 집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피해자들은 디스커버리펀드 상품의 사기성을 인정하고 100%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 행장은 디스커버리 사태의 매듭을 짓기 위해 피해자들과 대화를 시도했다. 직접 피해자들과 면담을 갖고 대책위 의견을 일부 수용한 뒤 가지급 안을 제시했다. 화해 국면으로 접어든 듯 보였지만 가지급안을 갖고 대책위와 부딪히면서 결국 조율을 포기하고 분쟁을 선택했다. 피해자 측인 디스커버리펀드 사기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제재심 날짜가 확정되자 지난 14일 기업은행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하지만 '사적화해'를 언급한 피해자 측의 입장을 은행이 거부하면서 결국 어떠한 소득도 없이 종료됐다. '사적화해'는 당사자 간 자율조정으로 사태를 매듭짓는 것이다. 대책위는 제재심이 열리기 전 실무단을 꾸려 당사자 자율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기업은행은 "특성상 어렵다"는 이유로 제안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제 대응을 위해 윤 행장이 진행한 2차례의 대화가 불발에 그치면서 사태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기업은행은 오는 28일까지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금감원의 제재심과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따를 수밖에 없다. 은행 측도 자율협상보다는 제재심과 분조위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디스커버리 판매사 최초로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는 등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감원 제재심과 분조위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이에 성실히 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금융당국의 중징계가 결정될 경우 취임 1주년을 앞둔 윤 행장은 물론 기업은행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신사업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기업은행, 사모펀드 제재심 첫 타자..윤종원 행장 선제대응 실패

피해자와 대화 시도했지만 소득 없이 종료
금융당국 징계 확정되면 타격 불가피

최동수 기자 승인 2021.01.20 16:08 의견 0
윤종원 IBK기업은행 은행장이 2021년 시무식을 은행 자체방송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이 라임·디스커버리펀드 환매중단과 관련해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피해자들과 대화에 나서며 선제대응을 시도했던 윤종원 행장은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결국 금융당국의 중징계를 고스란히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렸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오는 28일 IBK기업은행의 제재심이 개최된다. 이번 제재 대상의 경우 윤종원 현 기업은행장이 아닌 펀드 판매 당시 재직했던 김도진 전 기업은행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만든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와 'US부동산선순위채권 펀드' 등에서 발생한 환매 중단 사태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6800억원 가량을 판매했다. 이후 이 펀드는 총 914억원의 환매가 중단됐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 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 가입고객에게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피해자 모임은 선가지급 50%가 결정된 후에도 8차례의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지난해 7월 전국 19곳의 WM센터 순외 집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피해자들은 디스커버리펀드 상품의 사기성을 인정하고 100%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 행장은 디스커버리 사태의 매듭을 짓기 위해 피해자들과 대화를 시도했다. 직접 피해자들과 면담을 갖고 대책위 의견을 일부 수용한 뒤 가지급 안을 제시했다. 화해 국면으로 접어든 듯 보였지만 가지급안을 갖고 대책위와 부딪히면서 결국 조율을 포기하고 분쟁을 선택했다.

피해자 측인 디스커버리펀드 사기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제재심 날짜가 확정되자 지난 14일 기업은행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하지만 '사적화해'를 언급한 피해자 측의 입장을 은행이 거부하면서 결국 어떠한 소득도 없이 종료됐다. '사적화해'는 당사자 간 자율조정으로 사태를 매듭짓는 것이다.

대책위는 제재심이 열리기 전 실무단을 꾸려 당사자 자율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기업은행은 "특성상 어렵다"는 이유로 제안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제 대응을 위해 윤 행장이 진행한 2차례의 대화가 불발에 그치면서 사태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기업은행은 오는 28일까지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금감원의 제재심과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따를 수밖에 없다.

은행 측도 자율협상보다는 제재심과 분조위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디스커버리 판매사 최초로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는 등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감원 제재심과 분조위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이에 성실히 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금융당국의 중징계가 결정될 경우 취임 1주년을 앞둔 윤 행장은 물론 기업은행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신사업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