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광역급행철도(GTX) D노선 추진 공동 협력식에 나선 경기도 (사진=경기도) GTX-D노선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집값 문제에서 비롯된 지역이기주의 문제라는 시선과 시민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는 의견이 충돌하는 모습이다. 문제 해결 주체가 돼야할 국토부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사태를 관망하고 있다. 뷰어스는 GTX-D와 관련한 김포 시민들의 목소리와 함께 국토부의 향후 계획을 들어봤다. 합의점을 향한 자그마한 길이라도 뚫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 주- 국토교통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도 있다. GTX-D노선의 탄생 배경을 봤을 때 국토부가 지난 2019년 '광역교통 2030' 발표 당시 GTX-D 노선 이야기는 없었다. GTX-A노선 2023년 준공과 GTX-B·C 노선 조기 착공 계획이 주요 내용이었다. GTX-D노선 이야기가 나온 것은 광역급행철도 수혜범위 확대를 위한 서부권 신규 노선 검토였다. 그러나 이게 곧 GTX-D 노선을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의 답변을 듣기 위해 취재를 시도했지만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 관계자는 "GTX-D노선 사업은 계획만 나온 것이기에 철도정책과에 문의하는 게 정확하다"고 말했다. 이후 철도정책과에 전화를 걸었지만 현재 담당자와 통화 연결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팔 걷은 지자체, 국토부는 억울했다 지난해 2월 국토부는 서부권 등 급행철도 노선이 계획되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광역급행철도에 대한 수요·공급에 기반해 신규 노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GTX-D노선이 포함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지자체는 앞다퉈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해 팔을 걷었다. 이때부터 김포~부천~강남~하남을 통과하는 경기도의 GTX-D 노선 추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경기도는 국토부의 발표 이후 한국종합기술과 '수도권 서부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광역급행철도(GTX) 수혜범위 확대' 연구용역 계약을 맺었다. GTX-D 노선안 마련을 위해 수요와 비용 분석 및 기술검토에 나선 것이다. 인천시와 강동구도 행동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같은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사전타당성 조사 입찰을 공고하면서 GTX-D 최적안 마련에 나섰다. 강동구는 GTX-D노선의 강동구 경유를 위한 서명운동을 진행한 뒤 10만 주민 서명부를 국토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지자체가 수혜범위를 늘리겠다는 국토부의 발언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한 것이 아니냐고 지적한다. 결국 GTX-D 사업은 처음부터 실체가 없는 사업이었다는 주장이다. 경기도의 경우 광역급행철도(GTX) 수혜범위 확대라는 용어를 쓰긴했으나 결국 GTX-D 노선에 대한 노림수였다. 이 같은 이유로 지난해 지자체가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때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토부 장관 교체, 사업안 바뀔까 지난달 22일 국토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은 공청회에서 GTX-D 노선을 김포와 부천 구간만 신설하도록 하는 방안을 냈다. 경기도나 인천시, 강동구가 제안한 노선 중 그 어떤 것도 반영하지 않은 셈이다. 들끓은 민심 속에 국토부 장관 후보자에 시선이 쏠렸다. 지난 4일 노형욱 국토부 장관 후보자 국회교통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이 문제가 거론됐다. 노 후보자는 이날 "몇가지 기준에 따르다보니 주민 분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게 됐다"며 "지역에서 많은 말들이 있는 걸 알고 있고, 서부권 교통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보겠다"고 말했다. 또 "장관으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합리적인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노 후보자는 GTX-D 노선이 예상보다 크게 단축된 것을 두고 "전체적인 제약 요건 하에서 검토했기 때문에 한계점에 대해서도 양해해 주시면 좋겠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국토부가 사업비와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명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자체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GTX-D노선 긴급진단] ③국토부 억울한 속사정도..사업안 바뀔까

정지수 기자 승인 2021.06.07 10:35 | 최종 수정 2021.11.22 13:50 의견 17
지난해 광역급행철도(GTX) D노선 추진 공동 협력식에 나선 경기도 (사진=경기도)

GTX-D노선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집값 문제에서 비롯된 지역이기주의 문제라는 시선과 시민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는 의견이 충돌하는 모습이다. 문제 해결 주체가 돼야할 국토부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사태를 관망하고 있다. 뷰어스는 GTX-D와 관련한 김포 시민들의 목소리와 함께 국토부의 향후 계획을 들어봤다. 합의점을 향한 자그마한 길이라도 뚫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 주-

국토교통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도 있다.

GTX-D노선의 탄생 배경을 봤을 때 국토부가 지난 2019년 '광역교통 2030' 발표 당시 GTX-D 노선 이야기는 없었다. GTX-A노선 2023년 준공과 GTX-B·C 노선 조기 착공 계획이 주요 내용이었다. GTX-D노선 이야기가 나온 것은 광역급행철도 수혜범위 확대를 위한 서부권 신규 노선 검토였다. 그러나 이게 곧 GTX-D 노선을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의 답변을 듣기 위해 취재를 시도했지만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 관계자는 "GTX-D노선 사업은 계획만 나온 것이기에 철도정책과에 문의하는 게 정확하다"고 말했다.

이후 철도정책과에 전화를 걸었지만 현재 담당자와 통화 연결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팔 걷은 지자체, 국토부는 억울했다

지난해 2월 국토부는 서부권 등 급행철도 노선이 계획되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광역급행철도에 대한 수요·공급에 기반해 신규 노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GTX-D노선이 포함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지자체는 앞다퉈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해 팔을 걷었다.

이때부터 김포~부천~강남~하남을 통과하는 경기도의 GTX-D 노선 추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경기도는 국토부의 발표 이후 한국종합기술과 '수도권 서부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광역급행철도(GTX) 수혜범위 확대' 연구용역 계약을 맺었다. GTX-D 노선안 마련을 위해 수요와 비용 분석 및 기술검토에 나선 것이다.

인천시와 강동구도 행동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같은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사전타당성 조사 입찰을 공고하면서 GTX-D 최적안 마련에 나섰다. 강동구는 GTX-D노선의 강동구 경유를 위한 서명운동을 진행한 뒤 10만 주민 서명부를 국토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지자체가 수혜범위를 늘리겠다는 국토부의 발언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한 것이 아니냐고 지적한다. 결국 GTX-D 사업은 처음부터 실체가 없는 사업이었다는 주장이다.

경기도의 경우 광역급행철도(GTX) 수혜범위 확대라는 용어를 쓰긴했으나 결국 GTX-D 노선에 대한 노림수였다.

이 같은 이유로 지난해 지자체가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때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토부 장관 교체, 사업안 바뀔까

지난달 22일 국토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은 공청회에서 GTX-D 노선을 김포와 부천 구간만 신설하도록 하는 방안을 냈다. 경기도나 인천시, 강동구가 제안한 노선 중 그 어떤 것도 반영하지 않은 셈이다.

들끓은 민심 속에 국토부 장관 후보자에 시선이 쏠렸다. 지난 4일 노형욱 국토부 장관 후보자 국회교통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이 문제가 거론됐다.

노 후보자는 이날 "몇가지 기준에 따르다보니 주민 분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게 됐다"며 "지역에서 많은 말들이 있는 걸 알고 있고, 서부권 교통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보겠다"고 말했다. 또 "장관으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합리적인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노 후보자는 GTX-D 노선이 예상보다 크게 단축된 것을 두고 "전체적인 제약 요건 하에서 검토했기 때문에 한계점에 대해서도 양해해 주시면 좋겠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국토부가 사업비와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명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자체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