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으로 ‘한돈’으로 대표되는 국내산 돼지고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가격은 돼지열병 이전 대비 100g당 150원 정도 오른 수준이지만 혹시 모를 불안감 때문인지 소비자 구매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번 사태를 비롯해서 이런저런 이유로 국내산 돼지고기가 이슈가 될 때마다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바로 ‘한돈’이라는 브랜드다. 유전자 진이 정식으로 등재된 ‘한우’는 이해가 되지만 ‘한돈’이라니? 우리나라 고유의 소 품종의 고기, 이른바 ‘한우’를 선호하는 시장의 현상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소비자들은 안전과 신선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수입산 소고기보다 높은 가격을 치러야 함에도 한우를 선호한다. 그렇다면 ‘우리돼지’를 일컫는 ‘한돈’은 어떨까? 방송 광고 등을 통해 ‘한돈’을 접했을 때 소비자들은 ‘한우’와 같은 품질을 떠올렸을 법하다. 거기에 ‘우리돼지’라는 수식까지 더하니 당연히 우리나라 고유의 돼지 품종이 유통된 돼지고기라고 생각하기에 무리가 없다.     하지만 국내에서 자라는 돼지는 우리 토종돼지가 아니다. 요크셔와 랜드레이스 교배로 태어난 모돈(母豚), 거기에 듀룩 부돈(父豚)을 교배시킨 삼원교잡종이 대부분이다. 참고로, 요크셔와 랜드레이스는 유럽산이고, 듀룩은 미국산 돼지 품종이다. 이 삼원교잡종 돼지는 토종 돼지에 비해 덩치가 2배가량 크고 이내 자란다. 한 마디로 ‘한돈’이란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 ‘옥자’라면 몰라도. 덩치와 성장 속도는 접어두더라도, 한국에서 자란 돼지에 ‘한돈’이라는 이름이 어울리려면 ‘한우’처럼 품질도 높고 관리도 잘 되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거의 방목 없는 돈사사육이고, 미국에서 들어온 값싼 GM일 가능성이 높은 사료를 먹는다. 우리나라 GM 곡물수입은 매년 1,000만톤이 넘고 그 중 80%가 사료로 만들어 진다.  지난해 돼지고기 시장에 스페인 토종 흑돼지 ‘이베리코’ 바람이 불었다. 비싸지만 맛과 품질이 좋은 탓이었다. ‘하몽’의 나라 스페인은 돼지에 대한 자부심이 높다. 아무리 등급이 낮아도 미국산 사료 따위는 먹이지 않는다. 돈사도 크고 땅이 넓어서 그런지 방목도 많이 시킨다.   이베리코는 열외로 하고, 국내에 유통 중인 스페인산 일반 냉동 돼지고기와 한돈을 비교해 보자. 맛은 ‘한돈’에 뒤지지 않는다는 게 먹어본 사람들의 중론이다. 가격은 절반 수준이다. 거기에 생태사료를 먹고 운동량도 많아서 자연에 가깝다. 이런 저런 것을 따져 보면 ‘굳이 비싼 한돈을 먹어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들게 된다.     돼지고기 수입이 늘면서 돼지 농가들이 힘들다고 말한다. 그래도 소비자는 이것저것 따져보고 현명하게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시장도 성숙해진다. 수준 낮은 애국심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지는 않을 터이니.

[박진희의 보다가] 우리는 왜 ‘유럽미국교잡종’을 ‘한돈’이라 부를까?

박진희 기자 승인 2019.10.07 22:32 | 최종 수정 2019.10.29 11:10 의견 0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으로 ‘한돈’으로 대표되는 국내산 돼지고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가격은 돼지열병 이전 대비 100g당 150원 정도 오른 수준이지만 혹시 모를 불안감 때문인지 소비자 구매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번 사태를 비롯해서 이런저런 이유로 국내산 돼지고기가 이슈가 될 때마다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바로 ‘한돈’이라는 브랜드다. 유전자 진이 정식으로 등재된 ‘한우’는 이해가 되지만 ‘한돈’이라니?

우리나라 고유의 소 품종의 고기, 이른바 ‘한우’를 선호하는 시장의 현상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소비자들은 안전과 신선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수입산 소고기보다 높은 가격을 치러야 함에도 한우를 선호한다. 그렇다면 ‘우리돼지’를 일컫는 ‘한돈’은 어떨까?

방송 광고 등을 통해 ‘한돈’을 접했을 때 소비자들은 ‘한우’와 같은 품질을 떠올렸을 법하다. 거기에 ‘우리돼지’라는 수식까지 더하니 당연히 우리나라 고유의 돼지 품종이 유통된 돼지고기라고 생각하기에 무리가 없다. 
  
하지만 국내에서 자라는 돼지는 우리 토종돼지가 아니다. 요크셔와 랜드레이스 교배로 태어난 모돈(母豚), 거기에 듀룩 부돈(父豚)을 교배시킨 삼원교잡종이 대부분이다. 참고로, 요크셔와 랜드레이스는 유럽산이고, 듀룩은 미국산 돼지 품종이다. 이 삼원교잡종 돼지는 토종 돼지에 비해 덩치가 2배가량 크고 이내 자란다. 한 마디로 ‘한돈’이란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 ‘옥자’라면 몰라도.

덩치와 성장 속도는 접어두더라도, 한국에서 자란 돼지에 ‘한돈’이라는 이름이 어울리려면 ‘한우’처럼 품질도 높고 관리도 잘 되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거의 방목 없는 돈사사육이고, 미국에서 들어온 값싼 GM일 가능성이 높은 사료를 먹는다. 우리나라 GM 곡물수입은 매년 1,000만톤이 넘고 그 중 80%가 사료로 만들어 진다. 

지난해 돼지고기 시장에 스페인 토종 흑돼지 ‘이베리코’ 바람이 불었다. 비싸지만 맛과 품질이 좋은 탓이었다. ‘하몽’의 나라 스페인은 돼지에 대한 자부심이 높다. 아무리 등급이 낮아도 미국산 사료 따위는 먹이지 않는다. 돈사도 크고 땅이 넓어서 그런지 방목도 많이 시킨다.  

이베리코는 열외로 하고, 국내에 유통 중인 스페인산 일반 냉동 돼지고기와 한돈을 비교해 보자. 맛은 ‘한돈’에 뒤지지 않는다는 게 먹어본 사람들의 중론이다. 가격은 절반 수준이다. 거기에 생태사료를 먹고 운동량도 많아서 자연에 가깝다. 이런 저런 것을 따져 보면 ‘굳이 비싼 한돈을 먹어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들게 된다.    

돼지고기 수입이 늘면서 돼지 농가들이 힘들다고 말한다. 그래도 소비자는 이것저것 따져보고 현명하게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시장도 성숙해진다. 수준 낮은 애국심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지는 않을 터이니.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