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권단체 동물해방물결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차원의 야생멧돼지 학살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동물해방물결은 18일 성명서를 내고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지 약 한 달째, 정부는 아직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역학조사 결과가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단지 민통선 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되었다는 것만으로 대한한돈협회는 멧돼지를 전부 사살하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국방부가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DMZ 일대를 시찰한 결과 물리적으로 멧돼지가 3중 철책을 넘어 올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북한에서 감염된 멧돼지가 남쪽으로 넘어와 바이러스를 퍼트렸을 가능성은 낮다는 일관된 입장을 보이면서도 약 900명을 투입한 민관군합동포획팀을 꾸려 멧돼지 포획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동물해방물결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했던 폴란드 연구팀이 진행, 2018년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멧돼지의 이동성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과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하며 “연구는 그 이유로 1) 모계 중심으로 무리 지어 생활하는 멧돼지들의 무리 간 교류가 잦지 않음, 2) 피나 감염 폐사체가 아닌, 침 등의 분비물 내 바이러스는 비교적 저농도로 오래 잔존하지 못함, 3) 단기간 내 치사율 90~100%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동물은 멀리 이동하지 못하고 사망함을 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간 엽사 등 대규모 인력을 투입하여 총기로 사살하는 등의 적극적인 포획 작전이야말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위험한 조치이다. 멧돼지가 흘린 피뿐만 아니라 수렵인의 신발, 옷, 장비, 자동차 등에 묻은 바이러스는 간접전파의 여지가 있다. 결국 대규모 인력 투입은 도리어 확산 가능성을 높이는 셈”이라며 “군부대까지 동원하여 민통선 내 멧돼지의 씨를 말려보겠다는 ‘멧돼지 제로화’ 대책은 오히려 위험한, 아직 질병에 걸리지도 않은 애꿎은 멧돼지들에게 고통만 가하는 종차별적, 비윤리적 조치이다”라고 말했다.  동물해방물결은 “야생멧돼지를 몰살시키는 것으로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근절을 이뤄낼 수 없다. 멧돼지 포획조치는 사육 돼지 절멸 정책에 맞서 멧돼지 사살을 주장하는 한돈협회의 눈치를 살피는 보여주기식 대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정부는 원인 규명도 못 한 상황에서 강행하는 ‘멧돼지 제로화’라는 행정 편의적, 비윤리적 조치를 즉각 중단하라. 더불어 공장식 축산 철폐 및 탈육식이라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현 가축전염병 발생 사태에 대응하길 바란다”고 강력하게 피력했다.

‘야생멧돼지 학살’ 고통만 가하는 비윤리적 조치…동물권단체 동물해방물결 성명서 발표

민간 엽사 등 대규모 인력을 투입하여 총기로 사살하는 포획 작전으로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근절 어려워

박진희 승인 2019.10.18 13:30 | 최종 수정 2019.11.13 18:05 의견 0
 


동물권단체 동물해방물결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차원의 야생멧돼지 학살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동물해방물결은 18일 성명서를 내고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지 약 한 달째, 정부는 아직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역학조사 결과가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단지 민통선 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되었다는 것만으로 대한한돈협회는 멧돼지를 전부 사살하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국방부가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DMZ 일대를 시찰한 결과 물리적으로 멧돼지가 3중 철책을 넘어 올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북한에서 감염된 멧돼지가 남쪽으로 넘어와 바이러스를 퍼트렸을 가능성은 낮다는 일관된 입장을 보이면서도 약 900명을 투입한 민관군합동포획팀을 꾸려 멧돼지 포획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동물해방물결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했던 폴란드 연구팀이 진행, 2018년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멧돼지의 이동성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과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하며 “연구는 그 이유로 1) 모계 중심으로 무리 지어 생활하는 멧돼지들의 무리 간 교류가 잦지 않음, 2) 피나 감염 폐사체가 아닌, 침 등의 분비물 내 바이러스는 비교적 저농도로 오래 잔존하지 못함, 3) 단기간 내 치사율 90~100%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동물은 멀리 이동하지 못하고 사망함을 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간 엽사 등 대규모 인력을 투입하여 총기로 사살하는 등의 적극적인 포획 작전이야말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위험한 조치이다. 멧돼지가 흘린 피뿐만 아니라 수렵인의 신발, 옷, 장비, 자동차 등에 묻은 바이러스는 간접전파의 여지가 있다. 결국 대규모 인력 투입은 도리어 확산 가능성을 높이는 셈”이라며 “군부대까지 동원하여 민통선 내 멧돼지의 씨를 말려보겠다는 ‘멧돼지 제로화’ 대책은 오히려 위험한, 아직 질병에 걸리지도 않은 애꿎은 멧돼지들에게 고통만 가하는 종차별적, 비윤리적 조치이다”라고 말했다. 

동물해방물결은 “야생멧돼지를 몰살시키는 것으로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근절을 이뤄낼 수 없다. 멧돼지 포획조치는 사육 돼지 절멸 정책에 맞서 멧돼지 사살을 주장하는 한돈협회의 눈치를 살피는 보여주기식 대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정부는 원인 규명도 못 한 상황에서 강행하는 ‘멧돼지 제로화’라는 행정 편의적, 비윤리적 조치를 즉각 중단하라. 더불어 공장식 축산 철폐 및 탈육식이라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현 가축전염병 발생 사태에 대응하길 바란다”고 강력하게 피력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