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금융감독원 보험료 대납을 막기 위해 가상계좌 보험료 입금시 입금자가 실제 보험계약자인지를 보험사가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 입금자가 실제 보험계약자인지 확인하지 못하는 가상계좌의 허점을 이용해 보험료를 대신 내주는 식으로 부당하게 보험을 모집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가상계좌 확인만으로 보험료 대납 행위를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은 보험, 은행업계와 함께 보험사 가상계좌 내부통제 개선 태스크포스(TF)를 연말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TF에는 금감원과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 은행연합회, 그리고 가상계좌를 운영 중인 보험사 38곳과 거래 은행 15곳이 참여한다. 보험사와 은행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업무협약을 맺고, 가상계좌의 실제 보험료 입금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한다. 가상계좌는 보험사의 모(母) 계좌, 즉 실제 은행계좌에 연결된 계좌번호 형식의 전산 코드다. 보험사는 은행으로부터 부여받은 가상계좌로 보험료가 들어오면 개별 고객의 보험료로 인식한다. 국내 10개 손해보험사 기준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가상계좌를 통한 보험료 납입 비중은 전체의 5.8%(1억559만건)다. 자동이체(78.5%), 신용카드(12.4%)에 이어 세 번째로 비중이 크다. 문제는 일부 보험설계사들이 계약자 대신 보험료를 입금하는 등 가상계좌를 부당 모집행위 수단으로 악용한다는 점이다. 가상계좌로는 누구라도 보험계약자 이름으로 보험료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보험사 측에서는 입금자가 실제 계약자인지 확인할 수 없다. 실제로 첫 보험료가 가상계좌로 납입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은 61.3%다. 신용카드나 자동이체 등을 통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74.1%)보다 낮다. 5개 대형 손해보험사 중 한 곳은 보험 설계사가 6회 연속 가상계좌로 보험료를 입금한 경우 2년 후 계약 유지율이 4.6%까지 떨어졌다. 설계사가 가상계좌로 보험료를 납입한 경우, 계약유지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부당 모집행위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신에게 떨어지는 수당 때문에 대납 행위를 통한 부당 모집을 하는 보험설계사들이 일부 있다”며 “실제 입금자 확인제도가 시행되면 부당 모집행위에 가상계좌를 이용할 수 없게 돼 건전한 보험거래 질서가 확립되고 나아가 허위 계약 등으로 발생할 모집 수수료를 막아 보험료 인상 요인이 제거돼 소비자 이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가상계좌 하나만 막는다고 보험료 대납이 사라지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마음먹고 대납으로 부당 영업을 하려고 든다면 무통장 입금, 현금, 캐시백 등 방법은 많다는 것이다. 보험소비자 및 보험사 관계자는 “사실 대납을 하려면 방법은 많은데 가상계좌만 달랑 막는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면서 “오히려 부모님의 보험료를 대납한다든지 하는 고객 편의성만 저해시킬 것”이라고 우려를 내놨다.

가상계좌 막는다고 보험료 대납 없어질까? 보험사 가상계좌 내부통제 개선 TF 가동

가상계좌 내부통제, 오히려 가족 간 보험료 대납 막아 고객 편의성 떨어질 우려

주가영 기자 승인 2019.11.06 11:08 의견 0
자료=금융감독원


보험료 대납을 막기 위해 가상계좌 보험료 입금시 입금자가 실제 보험계약자인지를 보험사가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 입금자가 실제 보험계약자인지 확인하지 못하는 가상계좌의 허점을 이용해 보험료를 대신 내주는 식으로 부당하게 보험을 모집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가상계좌 확인만으로 보험료 대납 행위를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은 보험, 은행업계와 함께 보험사 가상계좌 내부통제 개선 태스크포스(TF)를 연말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TF에는 금감원과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 은행연합회, 그리고 가상계좌를 운영 중인 보험사 38곳과 거래 은행 15곳이 참여한다. 보험사와 은행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업무협약을 맺고, 가상계좌의 실제 보험료 입금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한다.

가상계좌는 보험사의 모(母) 계좌, 즉 실제 은행계좌에 연결된 계좌번호 형식의 전산 코드다.

보험사는 은행으로부터 부여받은 가상계좌로 보험료가 들어오면 개별 고객의 보험료로 인식한다. 국내 10개 손해보험사 기준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가상계좌를 통한 보험료 납입 비중은 전체의 5.8%(1억559만건)다. 자동이체(78.5%), 신용카드(12.4%)에 이어 세 번째로 비중이 크다.

문제는 일부 보험설계사들이 계약자 대신 보험료를 입금하는 등 가상계좌를 부당 모집행위 수단으로 악용한다는 점이다. 가상계좌로는 누구라도 보험계약자 이름으로 보험료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보험사 측에서는 입금자가 실제 계약자인지 확인할 수 없다.

실제로 첫 보험료가 가상계좌로 납입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은 61.3%다. 신용카드나 자동이체 등을 통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74.1%)보다 낮다.

5개 대형 손해보험사 중 한 곳은 보험 설계사가 6회 연속 가상계좌로 보험료를 입금한 경우 2년 후 계약 유지율이 4.6%까지 떨어졌다.

설계사가 가상계좌로 보험료를 납입한 경우, 계약유지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부당 모집행위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신에게 떨어지는 수당 때문에 대납 행위를 통한 부당 모집을 하는 보험설계사들이 일부 있다”며 “실제 입금자 확인제도가 시행되면 부당 모집행위에 가상계좌를 이용할 수 없게 돼 건전한 보험거래 질서가 확립되고 나아가 허위 계약 등으로 발생할 모집 수수료를 막아 보험료 인상 요인이 제거돼 소비자 이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가상계좌 하나만 막는다고 보험료 대납이 사라지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마음먹고 대납으로 부당 영업을 하려고 든다면 무통장 입금, 현금, 캐시백 등 방법은 많다는 것이다.

보험소비자 및 보험사 관계자는 “사실 대납을 하려면 방법은 많은데 가상계좌만 달랑 막는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면서 “오히려 부모님의 보험료를 대납한다든지 하는 고객 편의성만 저해시킬 것”이라고 우려를 내놨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