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많아지면서 대신 약국이나 편의점을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 발열이나 인후통 등에 대한 상비약으로 감기약 수요가 높아졌다. 특히 세계보건기구가 이부프로펜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복용을 권고했던 영향으로 수요도 이동한 모습이다. 관련업계는 올해 감기약 시장에 대해 2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고 9일 밝혔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아이큐비아가 지난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른 의견이다. 지난해는 전년 대비 8%대 하락했지만 올해 감기약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던 바 있다. 지난해 일반의약품 시장에서 감기약은 1,325억원 매출을 나타냈다. 직전인 2018년 1,406억원에서 다소 하락했다.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많아지면서 대신 약국이나 편의점을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먼저 동아제약 판피린 269억원, 동화제약 판콜 198억원 매출로 일반감기약 전체 시장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이들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은 무려 35%나 된다. 판콜은 최근 5년간 평균 11% 성장률을 보이며 1위와의 격차를 좁히고 있다. 1위인 판피린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된 모습이다. 지난해 판피린은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이 고작 1.5%에 그쳤다. 지난해는 전체 시장이 침체된 상황이었다. 판콜도 전년 대비 4.8% 성장에 그쳤고, 판피린은 0.7% 성장했다. 실제로 이 둘의 매출 격차는 점점 줄고 있다. 지난 2017년 143억원에서 2018년에는 78억원, 2019년에는 70억원이었다. 매출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테라플루가 78억원으로 3위지만 대원제약 콜대원의 성장률이 눈에 띈다.  해당 약품은 아세트아미노펜을 주 성분으로 한다. 이들의 지난해 매출은 68억원이었으며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은 무려 87%나 된다. 전반적으로 성장률 하락세를 보이던 작년에도 이들은 43% 성장률을 보였다. 시중 일반감기약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WHO가 코로나19 관련 이부프로펜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복용을 권장하고 나서 올해 성장률도 기대할만 하다.  매출 4, 5위인 광동제약 쌍화탕과 한국다케다제약 화이투벤은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쌍화탕은 47억원어치 팔려 전년대비 17.54%(9억원)나 뒷걸음질 쳤다. 화이투벤도 매출이 39억원에 그쳐 전년에 비해 23%(11억원) 마이너스됐다.  이처럼 지난해에는 일반감기약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이 약했다. 반면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상비약 구비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매출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심각한 증상이 아니라면 되도록 병원 내원을 피하고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상비약을 구매하는 모습이 일반적이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도 벌써 매출 차이가 크다. 일반감기약 대부분이 사태 이전보다 20~30% 성장률을 기록했다. 기침이나 발열, 인후통 등 코로나19 증상과 맞물리는 경우 복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인기다. 종합감기약에 비해 이 같은 맞춤형 제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WHO가 이부프로펜 성분은 코로나19 감염 시 상태를 악화실킬 염려가 있다며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을 권고했던 바 있어 관련 약품 매출이 더 느는 모습”이라며 “근거 부족으로 철회되긴 했으나 여전히 소비심리는 그쪽을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감기약, 코로나19 타고 매출 상승…아세트아미노펜 제제 특히 인기

지난해 성장률 가볍게 누를 것…올해 20% 이상 예상
일반 감기약, 코로나19 사태 이후 벌써 20~30% 매출 상승

이인애 기자 승인 2020.04.09 11:23 | 최종 수정 2020.04.09 12:59 의견 0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많아지면서 대신 약국이나 편의점을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 발열이나 인후통 등에 대한 상비약으로 감기약 수요가 높아졌다. 특히 세계보건기구가 이부프로펜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복용을 권고했던 영향으로 수요도 이동한 모습이다.

관련업계는 올해 감기약 시장에 대해 2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고 9일 밝혔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아이큐비아가 지난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른 의견이다. 지난해는 전년 대비 8%대 하락했지만 올해 감기약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던 바 있다.

지난해 일반의약품 시장에서 감기약은 1,325억원 매출을 나타냈다. 직전인 2018년 1,406억원에서 다소 하락했다.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많아지면서 대신 약국이나 편의점을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먼저 동아제약 판피린 269억원, 동화제약 판콜 198억원 매출로 일반감기약 전체 시장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이들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은 무려 35%나 된다.

판콜은 최근 5년간 평균 11% 성장률을 보이며 1위와의 격차를 좁히고 있다. 1위인 판피린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된 모습이다. 지난해 판피린은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이 고작 1.5%에 그쳤다.

지난해는 전체 시장이 침체된 상황이었다. 판콜도 전년 대비 4.8% 성장에 그쳤고, 판피린은 0.7% 성장했다. 실제로 이 둘의 매출 격차는 점점 줄고 있다. 지난 2017년 143억원에서 2018년에는 78억원, 2019년에는 70억원이었다.

매출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테라플루가 78억원으로 3위지만 대원제약 콜대원의 성장률이 눈에 띈다. 

해당 약품은 아세트아미노펜을 주 성분으로 한다. 이들의 지난해 매출은 68억원이었으며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은 무려 87%나 된다. 전반적으로 성장률 하락세를 보이던 작년에도 이들은 43% 성장률을 보였다. 시중 일반감기약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WHO가 코로나19 관련 이부프로펜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복용을 권장하고 나서 올해 성장률도 기대할만 하다. 

매출 4, 5위인 광동제약 쌍화탕과 한국다케다제약 화이투벤은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쌍화탕은 47억원어치 팔려 전년대비 17.54%(9억원)나 뒷걸음질 쳤다. 화이투벤도 매출이 39억원에 그쳐 전년에 비해 23%(11억원) 마이너스됐다. 

이처럼 지난해에는 일반감기약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이 약했다. 반면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상비약 구비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매출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심각한 증상이 아니라면 되도록 병원 내원을 피하고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상비약을 구매하는 모습이 일반적이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도 벌써 매출 차이가 크다. 일반감기약 대부분이 사태 이전보다 20~30% 성장률을 기록했다. 기침이나 발열, 인후통 등 코로나19 증상과 맞물리는 경우 복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인기다. 종합감기약에 비해 이 같은 맞춤형 제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WHO가 이부프로펜 성분은 코로나19 감염 시 상태를 악화실킬 염려가 있다며 대신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을 권고했던 바 있어 관련 약품 매출이 더 느는 모습”이라며 “근거 부족으로 철회되긴 했으나 여전히 소비심리는 그쪽을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