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회 포스터 (자료=문화재청)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담긴 해시계‘앙부일구’가 경기도 여주 세종대왕유적관리소에서 다음달 28일까지 전시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세종대왕역사문화관에서 '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절기와 시간을 동시에 알 수 있는 해시계이자 세종대왕의 자랑스러운 과학 문화재인 앙부일구를 소개하고자 마련됐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는 '평면 해시계의 역사', 2부는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 3부는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로 구성됐다. 1부 '평면 해시계의 역사'에서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먼저 사용된 평면 해시계에 대한 소개글을 전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시계인 6~7세기경의 신라 시대 해시계 ‘잔편(殘片)’, 조선 시대 사용한 휴대용 평면 해시계를 보여준다. 2부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에서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의 앙부일구(仰釜日晷)를 선보인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公衆)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종묘와 혜정교(惠政橋, 지금의 서울 종로1가)에 설치했다. 세종대왕 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전시장에서는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앙부일구(보물 제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제품을 공개한다. 3부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에서는 조선 후기 해시계로 대표적인 휴대용 앙부일구가 전시된다. 강윤(1830~1898)과 동생 강건(1843~1909)은 조선 후기 해시계 제작 가문으로 유명한데, 강건의 두 아들인 강익수(1871~1908)와 강문수(1878~1931)도 가문의 시계 제작 전통을 이어 나갔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상아제 휴대용 앙부일구'는 강익수가 만든 것이고 '앙부일구'는 강문수가 제작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시계제작은 주로 중인 신분이 하는 데 비해, 이들 집안처럼 고위층 양반 가문에서 제작을 주도한 점이 특별하다. 한편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안전한 관람을 위해 관람객 마스크 착용, 앞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 전시실 내부 한 방향 관람, 영상실 미운영 등 정부 지침에 따른 안전수칙을 관람객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담긴 해시계 ‘앙부일구’ 내달 28일까지 전시

김미라 기자 승인 2020.05.06 13:01 의견 0
'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회 포스터 (자료=문화재청)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담긴 해시계‘앙부일구’가 경기도 여주 세종대왕유적관리소에서 다음달 28일까지 전시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세종대왕역사문화관에서 '조선시대 해시계와 앙부일구' 전시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절기와 시간을 동시에 알 수 있는 해시계이자 세종대왕의 자랑스러운 과학 문화재인 앙부일구를 소개하고자 마련됐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는 '평면 해시계의 역사', 2부는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 3부는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로 구성됐다.

1부 '평면 해시계의 역사'에서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먼저 사용된 평면 해시계에 대한 소개글을 전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시계인 6~7세기경의 신라 시대 해시계 ‘잔편(殘片)’, 조선 시대 사용한 휴대용 평면 해시계를 보여준다.

2부 '앙부일구의 역사와 구조'에서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의 앙부일구(仰釜日晷)를 선보인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公衆)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종묘와 혜정교(惠政橋, 지금의 서울 종로1가)에 설치했다. 세종대왕 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전시장에서는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앙부일구(보물 제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제품을 공개한다.

3부 '조선후기 휴대용 앙부일구의 제작자들'에서는 조선 후기 해시계로 대표적인 휴대용 앙부일구가 전시된다. 강윤(1830~1898)과 동생 강건(1843~1909)은 조선 후기 해시계 제작 가문으로 유명한데, 강건의 두 아들인 강익수(1871~1908)와 강문수(1878~1931)도 가문의 시계 제작 전통을 이어 나갔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상아제 휴대용 앙부일구'는 강익수가 만든 것이고 '앙부일구'는 강문수가 제작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시계제작은 주로 중인 신분이 하는 데 비해, 이들 집안처럼 고위층 양반 가문에서 제작을 주도한 점이 특별하다.

한편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안전한 관람을 위해 관람객 마스크 착용, 앞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 전시실 내부 한 방향 관람, 영상실 미운영 등 정부 지침에 따른 안전수칙을 관람객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