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가와 유업계의 원유 기본 가격 협상 마감 시한이 6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낙농진흥회는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고 원유 수매 가격 추가 협상을 오는 21일까지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로 구성된 원유가격조정 협상위원회는 올해 상반기 다섯차례에 걸쳐  원유 가격에 대한 의견을 나눴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양 업계의 입장은 고무줄처럼 팽팽하다. 낙농가와 유업계의 원유 기본 가격 협상 마감 시한이 6일 앞으로 다가왔다. (자료=연합뉴스) 우선 수요측인 유업계는 코로나19 사태로 학교 급식이 중단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저출산으로 인해 우유 소비량이 줄어든 점을 내세우며 원유 가격을 인하하거나 동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공급 측인 낙농가는 생산비 인상 등을 이유로 원유 가격을 1리터 당 21~26원 인상을 내세우며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구제역 파동 이후 낙농가를 돕기 위한 취지로 지난 2013년 8월 원유가격 연동제를 도입했다. 해당 제도는 우유 생산비 증감분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우유회사가 낙농가에서 구매하는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도 도입 후 원유 기본가격은 매년 5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우유 생산비와 물가상승률을 연계해 전년도 우유 생산비 증감률이 ±4% 이상일 경우 당해 연도 가격을 정하고, 미만일 경우 2년마다 조정한다. 연동제 도입 첫해인 2013년 원유가격은 리터 당 834원에서 940원으로 올랐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가격을 동결했으며 2016년에는 리터 당 18원을 내렸다. 2018년에는 리터 당 가격을 4원 인상했다. 지난해에는 우유 생산비가 전년 대비 2% 올랐다. 원유 가격이 인상된다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비용과 마진까지 모두 더해져 가격이 결정되므로 소비자들은 큰 폭의 인상 가격을 감내해야 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지난달 30일 성명서를 내고 유업계와 낙농계의 이익다툼은 결국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진다고 꼬집었다. 협의회는 “글로벌낙농전문연구기관(IFCN)의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우유 소비 부진으로 세계 원유가격은 올해 4.6% 하락했고 특히 미국과 인도의 원유가격은 각각 29%, 19% 하락한 상황”이라며 “국내 역시 전 산업이 크게 위축되는 상황에서 민간 소비 부분이 크게 위축됐고 개학 연기에 따른 우유 소비량 감소로 인한 유가공업체의 매출손실은 약 334억원에 이르며 15% 이상 남아도는 원유 처리를 위한 비용도 막대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낙농업계와 유가공업체가 치열하게 각자의 이익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협상하는 동안 낙농업계의 생산비 인상분, 유가공업체의 제조비 인상분이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는 것이 당연시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아 원윳값을 올리기 곤란한 유업계와 생산비 증가로 인한 원윳값 인상을 주장하는 낙농가 양 측의 입장은 둘 다 일리가 있다. 하지만 양측의 줄다리기에서 소비자는 철저하게 배제돼 있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원유 가격이 인상된다면 우유를 비롯해 아이스크림과 빵, 커피 등 관련 상품의 가격도 함께 오르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지난 2018년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우유와 아이스크림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허리띠를 졸라매고 생필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위해 양측의 절충안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심영범의 플래시] D-6 원유가격 협상, 소비자 피해 없는 절충안 나와야

유업계는 코로나19 인한 학교 급식 타격 등 이유 가격 인하 혹은 동결 주장
낙농가는 생산비 인상 등 인해 원유 가격 인상 주장
소비자단체협의회, "유업계와 낙농가 다툼은 결국 소비자 피해로 이어져"

심영범 기자 승인 2020.07.15 08:00 의견 0

낙농가와 유업계의 원유 기본 가격 협상 마감 시한이 6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낙농진흥회는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고 원유 수매 가격 추가 협상을 오는 21일까지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로 구성된 원유가격조정 협상위원회는 올해 상반기 다섯차례에 걸쳐  원유 가격에 대한 의견을 나눴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양 업계의 입장은 고무줄처럼 팽팽하다.

낙농가와 유업계의 원유 기본 가격 협상 마감 시한이 6일 앞으로 다가왔다. (자료=연합뉴스)


우선 수요측인 유업계는 코로나19 사태로 학교 급식이 중단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저출산으로 인해 우유 소비량이 줄어든 점을 내세우며 원유 가격을 인하하거나 동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공급 측인 낙농가는 생산비 인상 등을 이유로 원유 가격을 1리터 당 21~26원 인상을 내세우며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구제역 파동 이후 낙농가를 돕기 위한 취지로 지난 2013년 8월 원유가격 연동제를 도입했다. 해당 제도는 우유 생산비 증감분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우유회사가 낙농가에서 구매하는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도 도입 후 원유 기본가격은 매년 5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우유 생산비와 물가상승률을 연계해 전년도 우유 생산비 증감률이 ±4% 이상일 경우 당해 연도 가격을 정하고, 미만일 경우 2년마다 조정한다.

연동제 도입 첫해인 2013년 원유가격은 리터 당 834원에서 940원으로 올랐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가격을 동결했으며 2016년에는 리터 당 18원을 내렸다. 2018년에는 리터 당 가격을 4원 인상했다. 지난해에는 우유 생산비가 전년 대비 2% 올랐다.

원유 가격이 인상된다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비용과 마진까지 모두 더해져 가격이 결정되므로 소비자들은 큰 폭의 인상 가격을 감내해야 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지난달 30일 성명서를 내고 유업계와 낙농계의 이익다툼은 결국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진다고 꼬집었다.

협의회는 “글로벌낙농전문연구기관(IFCN)의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우유 소비 부진으로 세계 원유가격은 올해 4.6% 하락했고 특히 미국과 인도의 원유가격은 각각 29%, 19% 하락한 상황”이라며 “국내 역시 전 산업이 크게 위축되는 상황에서 민간 소비 부분이 크게 위축됐고 개학 연기에 따른 우유 소비량 감소로 인한 유가공업체의 매출손실은 약 334억원에 이르며 15% 이상 남아도는 원유 처리를 위한 비용도 막대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낙농업계와 유가공업체가 치열하게 각자의 이익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협상하는 동안 낙농업계의 생산비 인상분, 유가공업체의 제조비 인상분이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는 것이 당연시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아 원윳값을 올리기 곤란한 유업계와 생산비 증가로 인한 원윳값 인상을 주장하는 낙농가 양 측의 입장은 둘 다 일리가 있다. 하지만 양측의 줄다리기에서 소비자는 철저하게 배제돼 있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원유 가격이 인상된다면 우유를 비롯해 아이스크림과 빵, 커피 등 관련 상품의 가격도 함께 오르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지난 2018년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우유와 아이스크림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허리띠를 졸라매고 생필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위해 양측의 절충안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