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 Paro The Strike, 2018, 린넨에 기름, 137.2 x 161.3 x 2.5 cm (사진=리만머핀) 칠레 출신 작가 세실리아 비쿠냐의 아시아 첫 개인전이 열린다. 리만머핀은 세실리아 비쿠냐(b.1948)의 개인전 ‘키푸 기록(Quipu Girok)’을 오는 18일부터 개최한다. 이 전시는 작가가 처음으로 직물 위에 ‘회화 작업을 한’ 키푸1 신작과 영상 근작, 채색한 판화, 드로잉, 그리고 한국과 안데스의 텍스타일 전통 및 직조 기술 간의 관계를 담은 프레카리오스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비쿠냐는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 시인, 그리고 운동가로서 그의 작업은 환경파괴와 인권 그리고 문화 동질화 현상 등 현대 사회가 당면한 문제에 접근하는 퍼포먼스, 회화, 시(詩), 그리고 대형 설치 작업을 아우른다. 이번 전시는 리만머핀과 함께하는 비쿠냐의 두 번째 전시이자 아시아에서 열리는 작가의 첫 개인전으로 제13회 광주비엔날레와 시기를 같이하여 열린다. Amados, 1969, 캔버스에 오일, 91.4 x 72.4 cm (사진=리만머핀) 비쿠냐는 오는 4월 개최되는 광주비엔날레에서 1970 년대부터 지속해온 회화 작품과 직물에 한 판화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판화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여성들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1975 년에서 1977 년 사이에 작가가 천에 그렸던 일련의 회화를 다시 제작한 것이다. 전시 제목 ‘키푸 기록(Quipu Girok)’은 고대 안데스어와 한국어를 조합한 것으로 각각 ‘매듭(키푸)’과 ‘기록’으로 번역될 수 있다. 키푸란 염색한 끈으로 만든 매듭을 이용해 시각과 촉각적 의사소통 및 기록을 남기는 고대 안데스의 언어 체계로 1960 년대와 70 년대부터 비쿠냐 작업 전반에 주요 제재로 등장해왔다. 비쿠냐의 다양한 작업 속에서 키푸는 공간 속 개념적이고 공연성을 가진 시(詩)이자, 이제는 잊혀진 선대의 문자 체계를 되찾고자 하는 작가의 바람에 기초한 저항적 행동이다. 카밀로 토레스, 1978, 면화 캔버스에 유채, 139.4 x 118.7 cm (사진=리만머핀) 이번 전시의 대표작이자 전시 제목과 동명의 작품 키푸 기록은 오래된 직조물 위에 일종의 토속화를 상기시키는 채색한 거즈와 한복에 사용된 실크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한국의 전통적인 직조에 사용되어 온 면으로 이루어진 설치 작품으로 울퉁불퉁한 대나무 막대기에 수직으로 걸려 있는 대형 키푸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가가 1970 년대에 제작했던 태양 회화 시리즈로부터 영감을 받았으며 안료와 파스텔 크레용으로 채색한 투명한 천의 줄기가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이 회화 시리즈는 ‘키푸 기록’ 설치작품과 마찬가지로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하기 이전 시기에 제작된 안데스의 초기 직물 회화 와도 같이 단순화된 표식 및 기하학적 기호와 도식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니냐 마 푸체 , 1975-2021, 에디션 Variée 대나무와 붉은 실이있는 뽕나무 종이에 손으로 채색(수채화)이있는 리소그래피, 76.2 x 50.8 cm (사진=리만머핀) 작가는 이번 개인전 키푸 기록을 위해 기존의 독자적인 프레카리오 설치에 새로운 요소들을 도입한 신작을 준비했다. 이 작품은 프레카리오 조각들로 구성된 일종의 복합적인 설치작으로서 선과 제스처로 이루어진 프레카리오 드로잉, 그리고 한 장의 수제 종이 위에 설치된 발견된 오브제 그리고 나비가 엮인 철사 조끼를 입은 영상이 담긴 아이패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영상은 작가가 이 조끼를 입고 허드슨 강 강둑 위를 걷는 퍼포먼스가 담겨 있다. 허드슨 강은 기후의 변화와 살충제 사용 그리고 서식지의 손실로 인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황제나비가 따뜻한 곳을 찾아 이동하던 길로 알려져 있다. 프레카리오 설치 작품은 개별적 역사성, 물성, 그리고 소비 이후 버려진 쓰레기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이 끼친 영향에 대한 범국가적인 언어를 담는다. 영상은 비쿠냐의 퍼포먼스 작업을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상은 설치 작업의 요소이자 그 자체로 시적인 작업이 된다. 비쿠냐 영상 작품의 다수는 생태계 시스템의 연약함과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한 멸종에 대한 애도를 담고 있다. 이번 전시 키푸 기록에 포함된 근작 영상 작품 ‘Que la verdad despierte/ Let truth awake’는 비쿠냐의 매혹적인 주술과 리카르도 갈로가 작곡하고 연주한 음악에 맞춰 텍사스 주 말파에서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 Ver Dad(1974/2020)를 담고 있다. 깃발 속 이미지는 작가가 칠레의 피노체트 정권을 피해 런던에서 거주하던 무렵인 1974 년 제작한 드로잉을 재현한 것이다. 공간에 설치된 작가의 복잡하고 덧없는 시는 역사와 직조의 촉각적 의식, 아상블라주, 시구, 그리고 퍼포먼스를 결합한다. 이 전시는 비쿠냐의 다른 작업들과 같이 시공간을 시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세계의 역사, 고대와 현재의 기억, 그리고 여러 언어가 한데 모여 작가의 너그럽고 애정 어린 작업이 직물에 표현된 것이다. 전시는 4월 24일까지.

리만머핀 서울, 세실리아 비쿠냐...아시아 첫 개인전 열려

제13회 광주비엔날레에서 회화, 판화 작품 선보여

이동현 기자 승인 2021.02.15 11:34 의견 0
El Paro The Strike, 2018, 린넨에 기름, 137.2 x 161.3 x 2.5 cm (사진=리만머핀)


칠레 출신 작가 세실리아 비쿠냐의 아시아 첫 개인전이 열린다.

리만머핀은 세실리아 비쿠냐(b.1948)의 개인전 ‘키푸 기록(Quipu Girok)’을 오는 18일부터 개최한다. 이 전시는 작가가 처음으로 직물 위에 ‘회화 작업을 한’ 키푸1 신작과 영상 근작, 채색한 판화, 드로잉, 그리고 한국과 안데스의 텍스타일 전통 및 직조 기술 간의 관계를 담은 프레카리오스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비쿠냐는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 시인, 그리고 운동가로서 그의 작업은 환경파괴와 인권 그리고 문화 동질화 현상 등 현대 사회가 당면한 문제에 접근하는 퍼포먼스, 회화, 시(詩), 그리고 대형 설치 작업을 아우른다.

이번 전시는 리만머핀과 함께하는 비쿠냐의 두 번째 전시이자 아시아에서 열리는 작가의 첫 개인전으로 제13회 광주비엔날레와 시기를 같이하여 열린다.

Amados, 1969, 캔버스에 오일, 91.4 x 72.4 cm (사진=리만머핀)


비쿠냐는 오는 4월 개최되는 광주비엔날레에서 1970 년대부터 지속해온 회화 작품과 직물에 한 판화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판화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여성들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1975 년에서 1977 년 사이에 작가가 천에 그렸던 일련의 회화를 다시 제작한 것이다.

전시 제목 ‘키푸 기록(Quipu Girok)’은 고대 안데스어와 한국어를 조합한 것으로 각각 ‘매듭(키푸)’과 ‘기록’으로 번역될 수 있다. 키푸란 염색한 끈으로 만든 매듭을 이용해 시각과 촉각적 의사소통 및 기록을 남기는 고대 안데스의 언어 체계로 1960 년대와 70 년대부터 비쿠냐 작업 전반에 주요 제재로 등장해왔다. 비쿠냐의 다양한 작업 속에서 키푸는 공간 속 개념적이고 공연성을 가진 시(詩)이자, 이제는 잊혀진 선대의 문자 체계를 되찾고자 하는 작가의 바람에 기초한 저항적 행동이다.

카밀로 토레스, 1978, 면화 캔버스에 유채, 139.4 x 118.7 cm (사진=리만머핀)


이번 전시의 대표작이자 전시 제목과 동명의 작품 키푸 기록은 오래된 직조물 위에 일종의 토속화를 상기시키는 채색한 거즈와 한복에 사용된 실크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한국의 전통적인 직조에 사용되어 온 면으로 이루어진 설치 작품으로 울퉁불퉁한 대나무 막대기에 수직으로 걸려 있는 대형 키푸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가가 1970 년대에 제작했던 태양 회화 시리즈로부터 영감을 받았으며 안료와 파스텔 크레용으로 채색한 투명한 천의 줄기가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이 회화 시리즈는 ‘키푸 기록’ 설치작품과 마찬가지로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하기 이전 시기에 제작된 안데스의 초기 직물 회화 와도 같이 단순화된 표식 및 기하학적 기호와 도식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니냐 마 푸체 , 1975-2021, 에디션 Variée 대나무와 붉은 실이있는 뽕나무 종이에 손으로 채색(수채화)이있는 리소그래피, 76.2 x 50.8 cm (사진=리만머핀)


작가는 이번 개인전 키푸 기록을 위해 기존의 독자적인 프레카리오 설치에 새로운 요소들을 도입한 신작을 준비했다. 이 작품은 프레카리오 조각들로 구성된 일종의 복합적인 설치작으로서 선과 제스처로 이루어진 프레카리오 드로잉, 그리고 한 장의 수제 종이 위에 설치된 발견된 오브제 그리고 나비가 엮인 철사 조끼를 입은 영상이 담긴 아이패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영상은 작가가 이 조끼를 입고 허드슨 강 강둑 위를 걷는 퍼포먼스가 담겨 있다. 허드슨 강은 기후의 변화와 살충제 사용 그리고 서식지의 손실로 인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황제나비가 따뜻한 곳을 찾아 이동하던 길로 알려져 있다.

프레카리오 설치 작품은 개별적 역사성, 물성, 그리고 소비 이후 버려진 쓰레기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이 끼친 영향에 대한 범국가적인 언어를 담는다. 영상은 비쿠냐의 퍼포먼스 작업을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상은 설치 작업의 요소이자 그 자체로 시적인 작업이 된다.

비쿠냐 영상 작품의 다수는 생태계 시스템의 연약함과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한 멸종에 대한 애도를 담고 있다. 이번 전시 키푸 기록에 포함된 근작 영상 작품 ‘Que la verdad despierte/ Let truth awake’는 비쿠냐의 매혹적인 주술과 리카르도 갈로가 작곡하고 연주한 음악에 맞춰 텍사스 주 말파에서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 Ver Dad(1974/2020)를 담고 있다.

깃발 속 이미지는 작가가 칠레의 피노체트 정권을 피해 런던에서 거주하던 무렵인 1974 년 제작한 드로잉을 재현한 것이다.

공간에 설치된 작가의 복잡하고 덧없는 시는 역사와 직조의 촉각적 의식, 아상블라주, 시구, 그리고 퍼포먼스를 결합한다. 이 전시는 비쿠냐의 다른 작업들과 같이 시공간을 시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세계의 역사, 고대와 현재의 기억, 그리고 여러 언어가 한데 모여 작가의 너그럽고 애정 어린 작업이 직물에 표현된 것이다. 전시는 4월 24일까지.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