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 관련 이미지. [자료=픽사베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코로나19 잔여 백신 접종 예약 경로를 네이버·카카오앱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일원화한 데 대해 우려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지난 4일부터 잔여 백신이 발생할 경우 60세 미만은 SNS를 통한 예약을 원칙으로 하고, 60세 이상에 대해서는 기존 전화 예약 등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 의협은 "백신 접종은 환자에 대한 세심한 예진이 필수 조건"이라며 "기존 전화 예약 방식은 SNS만을 통한 예약방식보다 더 세심한 예진이 가능하다"고 지난 7일 밝혔다.

또 "SNS만을 통한 예약방식은 젊은층에 유리해 고령자 접종률 제고를 통해 사망률을 낮추려는 정부 의도와도 맞지 않고 형평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면서 "백신 접종을 위해서는 늦어도 17시까지 의료기관에 도착해야 하는데 SNS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전화 예약방식 보다 원거리 환자가 많아 근본적으로 접종 불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오히려 백신 폐기량만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SNS만을 통한 예약방식은 오후 4~5시 경에 SNS에 신청된 사람에게만 통보가 이뤄져 통보되지 않은 환자들은 예약확인을 위해 의료기관으로 전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전화 폭주현상 등 의료기관의 행정업무 가중이 불가피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의협은 "정부가 SNS만을 통한 예약 방식으로 일원화할 경우 접종 의료기관의 혼란과 그로 인한 국민 불편 가중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료기관의 혼란과 국민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SNS만을 통한 백신 예약 방식 일원화는 매우 신중하게 추진돼야 하고 보다 합리적인 대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보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