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장애인 고용부담금 납부 상위 5위. (단위=억원) (자료=이정문 의원실)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장애인 고용을 외면해 최근 5년간 은행권이 물어낸 부담금이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은행이 새로 채용한 장애인은 과거 소폭이나마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에는 오히려 줄어드는 등 '퇴행적'인 행태를 보였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 19곳이 2016∼2020년 5년간 부담한 장애인 고용부담금 납부액은 총 1066억원이다. 은행권이 물어낸 부담금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 167억3000만원 ▲2017년 172억8000만원 ▲2018년 202억5000만원 ▲2019년 234억9000만원 ▲2020년 289억4000만원이었다. 장애인고용부담금은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에 미달할 경우 미달하는 수에 따라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부담금을 말한다. 부담금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5대 시중은행의 부담금 규모는 상당했다. 5년 간 국민은행은 179억1000만원을 납부했다. 이어 ▲하나은행 173억6000만원 ▲우리은행 161억3000만원 ▲신한은행 151억8000만원 ▲농협은행 117억6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국책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수출입은행은 5년간 각각 26억9000만원, 35억7000만원, 5억원 등 총 67억6000만원의 부담금을 냈다. 신규 채용 역시 부진했다. 이들 은행이 새로 채용한 장애인은 2016년 73명에서 2017년 86명, 2018년 101명, 2019년 211명까지 늘었다가 2020년 125명으로 꺾였다. 특히 우리·SC제일·씨티·수협·전북·광주·제주은행과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 9곳은 지난해 아예 장애인 직원을 1명도 뽑지 않았다. 이 의원은 “장애인 고용 확산에 모범을 보여야 할 국책은행들조차 장애인 고용을 외면하며 부담금 납부로 대신할 정도로 은행권의 장애인 고용 기피 현상이 여전히 만연해있다”며 “장애인 고용 촉진에 적극 나서는 은행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금융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은행권, '장애인 고용 외면' 5년간 부담금 1천억 넘어…채용 인원도 줄어

장원주 기자 승인 2021.09.19 16:32 | 최종 수정 2021.09.19 18:02 의견 0
국내은행 장애인 고용부담금 납부 상위 5위. (단위=억원) (자료=이정문 의원실)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장애인 고용을 외면해 최근 5년간 은행권이 물어낸 부담금이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은행이 새로 채용한 장애인은 과거 소폭이나마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에는 오히려 줄어드는 등 '퇴행적'인 행태를 보였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 19곳이 2016∼2020년 5년간 부담한 장애인 고용부담금 납부액은 총 1066억원이다.

은행권이 물어낸 부담금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 167억3000만원 ▲2017년 172억8000만원 ▲2018년 202억5000만원 ▲2019년 234억9000만원 ▲2020년 289억4000만원이었다.

장애인고용부담금은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에 미달할 경우 미달하는 수에 따라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부담금을 말한다. 부담금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5대 시중은행의 부담금 규모는 상당했다. 5년 간 국민은행은 179억1000만원을 납부했다. 이어 ▲하나은행 173억6000만원 ▲우리은행 161억3000만원 ▲신한은행 151억8000만원 ▲농협은행 117억6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국책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수출입은행은 5년간 각각 26억9000만원, 35억7000만원, 5억원 등 총 67억6000만원의 부담금을 냈다.

신규 채용 역시 부진했다. 이들 은행이 새로 채용한 장애인은 2016년 73명에서 2017년 86명, 2018년 101명, 2019년 211명까지 늘었다가 2020년 125명으로 꺾였다.

특히 우리·SC제일·씨티·수협·전북·광주·제주은행과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 9곳은 지난해 아예 장애인 직원을 1명도 뽑지 않았다.

이 의원은 “장애인 고용 확산에 모범을 보여야 할 국책은행들조차 장애인 고용을 외면하며 부담금 납부로 대신할 정도로 은행권의 장애인 고용 기피 현상이 여전히 만연해있다”며 “장애인 고용 촉진에 적극 나서는 은행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금융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