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은 철저하게 '경제'에 방점이 찍혔다. 안보와 경제라는 키워드로 순방 목적을 밝혔던 바이든 정부의 진의가 드러난 대목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전략은 인도를 축으로 하는 아시아태평양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과정에서 철저하게 지엽적인 문제에 천착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동선을 보면 사실상 ‘비즈니스 외교’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번 방한을 통해서만 바이든 대통령은 현대차에선 대규모 ‘대미(對美) 투자’를, 삼성전자와는 ‘한·미 경제안보 동맹’을 통한 반도체 패권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우리 기업들은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열렬히 구애하는 모습을 보였을 뿐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주최한 환영만찬에 재계 수장들이 총출동했다. 문제는 정작 우리 기업들의 구애에도 구체적으로 얻은 성과는 없다는 점이다. 재계는 한국과 미국이 경제안보동맹으로 나아가며 경제 및 기술 파트너십을 강화하게 됐다는 것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큰 성과로 꼽고 있다. 한‧미 관계를 전통적 안보동맹에서 미래지향적 경제안보동맹으로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그러나 이는 우리 기업들이 '선물 보따리'를 알아서 챙겨주지 않아도 글로벌 밸류체인(가치사슬)과 공급망이 복잡히게 얽혀 있는 현실에서 풀릴 수밖에 없는 문제일 뿐이다. 국내 배터리 3사와 주요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 증설이나 신규 투자에 이미 나선 것이 그 방증이다. 물론 우리 기업들도 대통령 순방외교에 동행하며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하려 애쓴다이 과정에서 일방적인 호혜주의는 없다. 과거와 같이 온정주의에 기반을 둔 원조는 없다. 다분히 실무적이고 자기 잇속 챙기기가 우선한다. 더욱이 전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비판하며 당선된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행보는 철저하게 트럼트 전 대통령보다 더해면 더했지 덜하지 않은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1조2000억달러(약 1522조8000억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에 서명했다. 여기에는 미국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 설비 50만기를 설치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는 철저하게 미국 전기차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이 깔려 있다. 국내 기업들은 부품 공급 등 외에 별다른 수혜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와중에 대국(大國)을 숭상하는 사대주의에 경도돼 얻는 것 없이 '퍼주기'를 하는것이 온당한 비즈니스 전략인지 재계는 돌아봐야 할 때다. 해외 투자에 '올인'하는 만큼 국내 투자에도 열심히 나서는지 의문이 드는 요즘이다.

[장원주의 시선] 과감한 투자인가? 일방적 사대주의인가?

장원주 기자 승인 2022.05.23 15:51 | 최종 수정 2022.05.23 17:06 의견 0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은 철저하게 '경제'에 방점이 찍혔다. 안보와 경제라는 키워드로 순방 목적을 밝혔던 바이든 정부의 진의가 드러난 대목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전략은 인도를 축으로 하는 아시아태평양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과정에서 철저하게 지엽적인 문제에 천착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동선을 보면 사실상 ‘비즈니스 외교’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번 방한을 통해서만 바이든 대통령은 현대차에선 대규모 ‘대미(對美) 투자’를, 삼성전자와는 ‘한·미 경제안보 동맹’을 통한 반도체 패권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우리 기업들은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열렬히 구애하는 모습을 보였을 뿐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주최한 환영만찬에 재계 수장들이 총출동했다.

문제는 정작 우리 기업들의 구애에도 구체적으로 얻은 성과는 없다는 점이다. 재계는 한국과 미국이 경제안보동맹으로 나아가며 경제 및 기술 파트너십을 강화하게 됐다는 것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큰 성과로 꼽고 있다. 한‧미 관계를 전통적 안보동맹에서 미래지향적 경제안보동맹으로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그러나 이는 우리 기업들이 '선물 보따리'를 알아서 챙겨주지 않아도 글로벌 밸류체인(가치사슬)과 공급망이 복잡히게 얽혀 있는 현실에서 풀릴 수밖에 없는 문제일 뿐이다. 국내 배터리 3사와 주요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 증설이나 신규 투자에 이미 나선 것이 그 방증이다.

물론 우리 기업들도 대통령 순방외교에 동행하며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하려 애쓴다이 과정에서 일방적인 호혜주의는 없다. 과거와 같이 온정주의에 기반을 둔 원조는 없다. 다분히 실무적이고 자기 잇속 챙기기가 우선한다.

더욱이 전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비판하며 당선된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행보는 철저하게 트럼트 전 대통령보다 더해면 더했지 덜하지 않은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1조2000억달러(약 1522조8000억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에 서명했다. 여기에는 미국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 설비 50만기를 설치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는 철저하게 미국 전기차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이 깔려 있다. 국내 기업들은 부품 공급 등 외에 별다른 수혜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와중에 대국(大國)을 숭상하는 사대주의에 경도돼 얻는 것 없이 '퍼주기'를 하는것이 온당한 비즈니스 전략인지 재계는 돌아봐야 할 때다. 해외 투자에 '올인'하는 만큼 국내 투자에도 열심히 나서는지 의문이 드는 요즘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