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관계자들이 MEC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을 통해 지상파 방송 송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KBS 및 SKT와 싱클레어의 미디어 테크 합작회사인 캐스트닷에라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5G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9월 ‘차세대 방송 송출 서비스를 위한 상호 협약’을 체결한 3사는 지난달 KBS 본관에서 MEC 기술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 시스템 가상화 및 인공지능(AI)반도체 사피온을 적용한 AI 업스케일러를 통해 방송 영상을 고품질로 변환하는 1차 시연을 마쳤다.

캐스트닷에라의 AI 업스케일러는 AI 반도체 사피온 ‘X220’을 활용해 고성능·저전력 연산 처리를 기반으로 방송 영상의 해상도를 FHD에서 UHD로 실시간 업그레이드하는 등 고품질의 방송 영상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어 지난 26일에는 1차 시연 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 지역 KBS 1TV UHD 전용 채널(9-3)에 실제 방송을 송출해 세계 최초로 MEC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 시연에 성공했다.

또 현대모비스와 함께 수도권 일대에 가상화 플랫폼 기반의 ATSC3.0 지상파 이동 방송 송출 시연도 함께 진행해 상용 수준의 초저지연·고화질 이동 방송 수신 및 차량의 위치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검증에도 성공했다.

이번 MEC 기술 기반의 지상파 방송 송출 시연 성공으로 향후 본격적인 UHD 방송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SKT와 KBS, 캐스트닷에라는 국내 최초로 5G MEC, AI 기술, 방송 소프트웨어 가상화 기술 등을 기반으로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협력을 이어왔다.

SKT는 캐스트닷에라와 2020년 4월 제주도에서 정부기관, 방송사, 협력기업 등과 함께 차세대 5G-ATSC3.0 융합방송 서비스 실증을 성공적으로 진행했고 작년 9월에는 KBS와 차세대 방송 송출 서비스를 위한 상호협약을 체결한바 있다.

아울러 사피온과 함께 지난 4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방송장비 전시회인 ‘국제방송장비전시회(NAB) 2022’에 참가해 MEC 기반의 차세대 방송 송출 서비스를 선보이며 해외 방송사 및 관련 업계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

3사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지속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동기 SKT Cloud/MEC Tech 담당은 “세계 최초로 MEC 기술을 지상파 방송 송출에 적용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MEC·클라우드와 같은 SKT의 핵심 디지털 인프라 기술을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국 KBS 기술본부장은 “지상파 UHD 방송의 차량 내 이동 수신 및 국지적 재난·재해 상황에서 5G 통신망과 융합된 지역 맞춤형 재난방송 영상의 송출 가능성을 실제 검증했다”며 “향후에도 지상파 방송망과 통신망이 융합된 혁신서비스 모델을 지속 발굴하는 데 국내 기업들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케빈 게이지 캐스트닷에라 대표는 “미래 방송 혁신을 선도하는 대표 방송사인 KBS와 SKT의 가상화 플랫폼 기술력이 결합된 캐스트닷에라의 이동방송 가상화 송출 솔루션을 한국에 최초로 선보임에 따라 차세대 방송 혁신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표명했다.

■ KT, 9월까지 가입시 서비스 1개월 무료...로고 및 이미지 표출 서비스도 포함

민원인의 스마트폰 화면에 전화번호와 함께 울릉군청의 발신 전화임을 알리는 ‘울릉군청’ 문구, 울릉군청에서 설정한 이미지가 표출된 모습 (사진=KT)

KT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관공서를 비롯한 공공기관에 ‘발신정보알리미’ 서비스를 1개월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오는 9월 30일까지 진행한다.

KT는 공공기관이 국민들에게 더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행사기간 동안 발신정보알리미 서비스에 가입하면 1개월 간 무료체험이 가능하며 지자체와 관공서를 상징하는 자체 로고 및 이미지 표출 기능도 별도 비용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발신정보알리미는 KT유선(인터넷)전화 고객이 이동전화로 발신시 수신자의 휴대폰 통화연결 화면에 발신고객이 미리 설정한 상호명(브랜드명)을 표시해주는 부가서비스다. 서비스 가입시 대상 전화번호를 KT가 전수 조사해 기관명을 연동하므로 신뢰도가 높다. 070 번호를 받지 않는 고객과도 통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고 부재중 전화 기록에도 상호명이 함께 남는다.

최근 신뢰도 높은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울릉군청을 비롯해 강릉시청, 이천시청, 안성시청, 제주시청 등 전국 35개 지방자치단체와 해양경찰청, 한국농어촌공사 등 38개 관공서가 발신정보알리미 서비스를 도입해 사용 중이다.

발신정보알리미 요금제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오피스형은 월 2750원~1만6500원, 중소형은 월 4만9500원~33만원, 기업형은 월 407만원으로 구성돼 고객이 통신 환경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서비스 문의는 KT 기업고객센터에서 가능하다.

임건호 KT 커뮤니케이션플랫폼사업담당은 “공공기관의 대민업무의 신뢰도와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발신정보알리미 1개월 무료 서비스를 준비했다”며 “통신 DX(디지털전환)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