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소재 LG유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LG유플러스)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 실시하고 있는 LG유플러스가 희망퇴직의 성격을 놓고 노조와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며 향후 난고 일축을 예고하고 있다. 노측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의 첫 단계라는 입장인 반면 사측은 단순한 희망퇴직이자 직무전환 배치일 뿐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통신업계가 신산업 진출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및 '젊은 피' 수혈을 위해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KT가 지난해 9월 임단협을 통해 3000여명의 직무전환을 발표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것이다.
23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9일 LG유플러스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안내를 시작했다.
희망퇴직 대상자는 만 50세 이상, 만 10년 이상 근속 대상자다. 희망퇴직자에게는 3년치 연봉, 자녀 대학 학자금 지급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사측이 도매점 직원 일부를 소매점으로 재배치하면서 노조가 반발하고 나섰다. 노조는 지난 22일부터 본사 앞에서 천막농성을 시작하고 “사실상 정리해고”라고 주장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2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소속 민주유플러스노동조합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다음달 18일부터 도매직영점 근무자의 70%(약 330명)를 소매직영점으로 전환배치하기로 결정했다. 노조측은 “사측이 이 과정에서 문제제기를 한 직원들에게도 예외는 없다는 원칙을 고수했다”며 “LG유플러스가 이미 지난해 소매직영점 인원과 규모를 축소한 바 있다”면서 사실상 구조조정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20년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명예퇴직을 진행하려 했지만 논란이 되자 잠정 보류한 바 있다. 당시 LG유플러스에는 영업정규직 2336명·영업촉탁직 806명으로 총 3142명의 영업직 노동자가 있었다. 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소매직영점이 줄어들면서 지역이동을 감내하지 못해 영업촉탁직 대부분이 일을 그만둬 지난해에는 영업직 노동자가 2378명까지 감소했다. 764명의 인력이 줄었지만 충원을 하지 않고 있는 것도 구조조정 흐름 중 하나라는 것이다.
노조측은 “회사는 강제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나이 많은 직원들에게 압박으로 다가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는 "구조조정이 아니다"고 명백히 선을 그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노조가 주장하는 것과 달리 희망퇴직은 비조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며 "회사가 강제할 수도 없고 희망퇴직을 신청하더라도 회사 내부 검토를 통해 대상자가 추려지는 만큼 노조의 반발은 과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 전략상 소매채널을 강화하면서 일부 인원이 이동하는 것”이라며 “회사는 수년에 걸쳐 충분히 회사의 전략 방향을 설명했고 이동하는 구성원들의 거주지를 고려하고 평가 등 개인 처우에 대해 충분히 보장하고 있으며 희망퇴직과는 무관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