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중단은 인플레로, 금리인하는 대량 해고로 판단 기준을 삼으면 된다." SK증권은 28일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경기침체의 핵심은 '대량해고' 여부에 달렸다"면서 이 같이 전망했다. 안영진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경기침체라는 큰 산을 앞두고 최선은 과거 사례를 되돌아보고 따져보는 것"이라며 195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글로벌 추이를 분석했다. 보고서에선 1950년대~1960년대 초, 1970년대~1980년대 초중반까지의 스태그플레이션기, 1990년대~2008년 금융위기 이전, 2008년 금융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4가지 국면을 살펴봤다. 분석 결과 1) 실업률의 급등은 그 즉시 경기침체를 반영한다. 2) 기업이익은 대량 해고(실업률 급등)과 맞물려 전후로 부진했다. 3) 실업률 급등기에는 예외없이 Fed 금리 인하(경기 부양)가 동원됐다. 4) 경기침체를 선행해 장단기금리차는 역전됐다가 정책금리 인하와 함께 스프레드는 급격히 확대된다. 5) 주가는 실업률 급등기 중 ‘전약후강’의 패턴이 관찰된다로 정리됐다. 안영진 이코노미스트는 "위 사례 분석이 투자자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경기침체에서의 핵심이 '대량해고' 여부에 있다는 것"이라며 "1950년대에서 2008년 금융위기까지 9번의 경기 침체(전분기대비 마이너스 성장) 중 9번 전부는 대량 해고를 동반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금융위기 이후 4번에 걸친 역성장 사례의 3번은 실업률 급등을 볼 수가 없었다. 사이클 상의 경기침체가 아닌 기술적인 침체(역성장)인 셈이다. 그 차이는 Fed의 금리 인하 대응 여부로 직결됐고, 예상 가능하듯 기술적 침체시 Fed의 금리 인하는 없었다 안 이코노미스트는 이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력 감원과 해고 소식이 연이어 들려온다"며 "아무리 유연한 노동구조를 가졌다고 평가되는 미국도 고용/해고라는 행위는 비탄력적일 수밖에 없다. 탄탄한 매출과 이익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업체들의 인력 감원이 어느 정도의 전파력을 갖는지가 변수"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선 미국 경제의 경착륙보다 연착륙에 무게를 두는 입장이긴 하나 실업률의 상승은 상수에 가까운 경로일 것"이라며 "최근 세(勢)를 더해 가는 ‘금리 인상 중단’은 인플레가 판단의 기준이라면, ‘금리 인하’는 대량 해고 여부에 그 시기와 정도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애널픽] 빅테크 인력감축 ‘속속’...미 금리인하 시기 다가오나

홍승훈 기자 승인 2022.11.28 09:29 의견 0

"금리인상 중단은 인플레로, 금리인하는 대량 해고로 판단 기준을 삼으면 된다."

SK증권은 28일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경기침체의 핵심은 '대량해고' 여부에 달렸다"면서 이 같이 전망했다.

안영진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경기침체라는 큰 산을 앞두고 최선은 과거 사례를 되돌아보고 따져보는 것"이라며 195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글로벌 추이를 분석했다.

보고서에선 1950년대~1960년대 초, 1970년대~1980년대 초중반까지의 스태그플레이션기, 1990년대~2008년 금융위기 이전, 2008년 금융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4가지 국면을 살펴봤다.

분석 결과 1) 실업률의 급등은 그 즉시 경기침체를 반영한다. 2) 기업이익은 대량 해고(실업률 급등)과 맞물려 전후로 부진했다. 3) 실업률 급등기에는 예외없이 Fed 금리 인하(경기 부양)가 동원됐다. 4) 경기침체를 선행해 장단기금리차는 역전됐다가 정책금리 인하와 함께 스프레드는 급격히 확대된다. 5) 주가는 실업률 급등기 중 ‘전약후강’의 패턴이 관찰된다로 정리됐다.

안영진 이코노미스트는 "위 사례 분석이 투자자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경기침체에서의 핵심이 '대량해고' 여부에 있다는 것"이라며 "1950년대에서 2008년 금융위기까지 9번의 경기 침체(전분기대비 마이너스 성장) 중 9번 전부는 대량 해고를 동반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금융위기 이후 4번에 걸친 역성장 사례의 3번은 실업률 급등을 볼 수가 없었다. 사이클 상의 경기침체가 아닌 기술적인 침체(역성장)인 셈이다. 그 차이는 Fed의 금리 인하 대응 여부로 직결됐고, 예상 가능하듯 기술적 침체시 Fed의 금리 인하는 없었다

안 이코노미스트는 이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력 감원과 해고 소식이 연이어 들려온다"며 "아무리 유연한 노동구조를 가졌다고 평가되는 미국도 고용/해고라는 행위는 비탄력적일 수밖에 없다. 탄탄한 매출과 이익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업체들의 인력 감원이 어느 정도의 전파력을 갖는지가 변수"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선 미국 경제의 경착륙보다 연착륙에 무게를 두는 입장이긴 하나 실업률의 상승은 상수에 가까운 경로일 것"이라며 "최근 세(勢)를 더해 가는 ‘금리 인상 중단’은 인플레가 판단의 기준이라면, ‘금리 인하’는 대량 해고 여부에 그 시기와 정도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