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좌)과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우) 금융회사들에게 글로벌 금융 영토 확장은 하나의 숙명처럼 돼 버렸다. 제한된 국내 시장을 넘어 넓은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성장성을 이어가야 한다는 주문이 시장 안팎에서 이어진다. 국내 투자금융업계 각 분야 1,2위를 다투는 미래에셋그룹과 한국금융지주. 두 오너가 이끄는 이들은 지금보다 한발 앞서 2000년대 초반 해외로 눈을 돌렸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과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의 진두지휘 하에 각각 해외 시장으로 향했던 이들 회사는 지금 어떤 가시적인 성과물을 쟁취했을까. (사진=2010년 10월 열린 'KIS Vietnam Corporation' 출범식에 참석한 당시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부회장과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 베트남 'True Friend'의 꿈…이머징 공략한 한투증권 해외 시장으로 먼저 시선을 돌린 이는 김남구 회장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995년 4월 영국 런던에 첫 해외법인을 설립했다. 당시 증권사들의 해외법인들은 통상 국내 투자에 관심있는 해외 투자자들에 대한 중개역할을 했던 만큼 한국투자증권 런던법인 역시 브로커리지 법인의 역할을 맡은 하나의 기지였다. 이후 김남구 회장이 본격적으로 주목한 시장은 베트남. 한국금융지주는 지난 2006년 당시 한국투자신탁운용을 통해 베트남 호치민에 사무소를 열고 국내 최초 베트남 펀드를 내놨다. 당시 시장에선 “베트남 주식은 한국투자증권이 다 산다”는 말이 회자됐을 정도로 베트남 투자 열풍이 일었다. 실제 해당 펀드의 판매잔액은 10억달러를 돌파하며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베트남 증시 부진으로 수익률이 곤두박질치면서 한투증권의 아픔은 상당히 컸다. 그럼에도 김 회장은 2010년 12월 EPS증권의 지분 (49%)을 인수, 한국투자증권 합작법인인 KISV(KIS 베트남)를 설립하며 리테일 중심의 베트남 시장에서 입지를 키워나가겠는 의지를 이어갔다. 당시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베트남 증권시장에서 5년내 탑5, 10년 후 제1 증권사가 될 것”이라며 블루오션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함께 현장을 찾았던 김 회장 역시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을 믿는다”며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이보다 앞서 홍콩법인(1997년)과 뉴욕법인(2000년), 싱가폴법인(2008년) 등을 통해 해외 네트워크를 확대했던 한국투자증권은 2010년 진우투자자문유한공사 인수를 기점으로 중국에도 거점을 마련한다. 2018년에는 인도네시아 현지 증권사 인수를 통해 자기자본 420억원 규모의 KIS인도네시아도 설립했다. 하지만 신흥 시장들에서의 성과는 더뎠다. 특히 베트남 자본시장 성장은 더 느렸다. 2010년 당시 90% 수준이었던 브로커리지 비중은 여전히 70%대를 웃돌며 비즈니스 확대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심지어 브로커리지 시장에서의 입지조차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지난 2015년말 기준 브로커리지 시장 점유율 4.3%로 전체 7위 수준이었던 KISV는 2022년말 기준 9위로 밀려났다. 또다른 자회사 한투운용도 지난 2020년 6월 베트남에 유일한 해외법인을 출범시켰지만 지난 2020년 13억2000만원 손실, 2021년 7억원 순익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한국투자증권이 해외법인을 통해 거둬들인 이익은 총 49억5000만원. 회사 전체 순이익 중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에 한투증권은 2년여 전부터 글로벌 진출 전략에 변화를 줬다. 뉴욕이나 홍콩 등 선진화된 시장 공략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설립한 뉴욕 IB법인을 통해 미국 IB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 하에 2억5000만달러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가 하면 지난해 9월 스티펄과 인수금융 및 사모대출 전문 합작회사 설립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 24일 김 회장은 주주총회서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의 비즈니스 확대는 물론 스티펄과의 합작을 통한 미국 인수금융 시장 진출 등 선진국 시장에 대한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2020년 3월 대표이사 회장 선임 당시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과 진출에 과감하게 나서겠다”던데 이어 두번째 선언이다. 한국금융지주는 주력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이머징 시장과 선진 시장에서 글로벌 IB로 도약하기 위한 투트랙 전략을 구사 중이다. (사진=2011년 1월 홍콩증권거래소(SEHK)에서 열린 '미래에셋 타이거 코스피200 상장지수펀드' 상장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는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연합뉴스) ■ 홍콩으로 향한 미래에셋, 先운용 後증권 전략 2003년,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글로벌 무대 진출을 위해 가장 먼저 공략한 곳은 홍콩이었다. 당시 아시아권 대표적 ‘금융허브’로 꼽히던 홍콩. 특히 박 회장은 증권이 아닌 자산운용사 홍콩법인을 설립하며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증권사가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브로커리지 영업을 위한 리서치, 법인영업, 에쿼티세일즈 등 많은 인프라가 필요하고 성과 창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운용사는 펀드 운용역들이 현지 자금을 운용하는 형식인 만큼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시 단기간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 박 회장은 홍콩 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운용사가 현지 시장에 먼저 진출해 입지를 확보한 이후 증권사가 진입할 수 있는 물꼬를 터주는 전략을 구사했다. 현재 미래에셋그룹은 해외 진출 18년 만에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는 물론 중국, 홍콩, 브라질, 인도, 베트남 등 전세계 16개 지역 39개 현지법인 및 사무소를 운영하며 네트워크를 확장 중이다. 이중 미국, 베트남, 영국, 인도, 중국, 홍콩 등 대부분 지역은 운용사와 증권사가 함께 진출한 상태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각 현지마다 최적화된 온라인 시스템 구축을 통해 빠르게 현지 시장을 공략한다. 인도네시아 법인의 경우 지난 2020년 이후 현지에서 주식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수성 중이다. 현지 최초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제공하며 리테일 위탁매매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미래에셋은 기관 및 고액자산가 대상 오프라인 위탁매매 사업 영역을 확대해 인도네시아 건강보험 등 연기금과 현지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 기관 고객 확보에서도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한국투자증권과의 또다른 격전지인 베트남에서도 미래에셋은 외국계 증권사 기준 시장점유율 기준 1위, 전체 순위 4위다.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이에 그치지 않고 박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인도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영역 확대에도 적극 나섰다. 지난해 기준 미래에셋증권이 해외법인을 통해 거둬들인 이익 규모는 1427억원. 전체 순이익 중 17.3%(세전 기준)에 달한다. 여기에 미래에셋자산운용 해외법인의 순이익(2407억원)까지 합치면 미래에셋그룹이 한해동안 해외에서 거둬들인 이익은 전체의 3분의1 수준에 육박한다. 박 회장은 지난 2018년 GISO(글로벌 투자전략 고문)로 취임한 이후 전세계 무대에서 직접 발로 뛴다. 미래에셋증권 통합법인 출범 당시 "금융산업과 자본시장의 DNA를 바꿔보겠다"던 박 회장의 포부가 글로벌 IB로서 미래에셋의 위상을 더 높일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는 요즘이다.

박현주·김남구, 두 오너의 ‘엇갈린 글로벌 성과’

숙명이 된 '글로벌 금융영토 확장', 선두주자들의 15년 성과는
증권 중심 '한국금융지주' vs 운용·증권 투트랙 '미래에셋'

박민선 기자 승인 2023.03.28 14:17 | 최종 수정 2023.03.28 15:37 의견 0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좌)과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우)

금융회사들에게 글로벌 금융 영토 확장은 하나의 숙명처럼 돼 버렸다. 제한된 국내 시장을 넘어 넓은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성장성을 이어가야 한다는 주문이 시장 안팎에서 이어진다.

국내 투자금융업계 각 분야 1,2위를 다투는 미래에셋그룹과 한국금융지주. 두 오너가 이끄는 이들은 지금보다 한발 앞서 2000년대 초반 해외로 눈을 돌렸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과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의 진두지휘 하에 각각 해외 시장으로 향했던 이들 회사는 지금 어떤 가시적인 성과물을 쟁취했을까.

(사진=2010년 10월 열린 'KIS Vietnam Corporation' 출범식에 참석한 당시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부회장과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 베트남 'True Friend'의 꿈…이머징 공략한 한투증권

해외 시장으로 먼저 시선을 돌린 이는 김남구 회장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995년 4월 영국 런던에 첫 해외법인을 설립했다. 당시 증권사들의 해외법인들은 통상 국내 투자에 관심있는 해외 투자자들에 대한 중개역할을 했던 만큼 한국투자증권 런던법인 역시 브로커리지 법인의 역할을 맡은 하나의 기지였다.

이후 김남구 회장이 본격적으로 주목한 시장은 베트남. 한국금융지주는 지난 2006년 당시 한국투자신탁운용을 통해 베트남 호치민에 사무소를 열고 국내 최초 베트남 펀드를 내놨다. 당시 시장에선 “베트남 주식은 한국투자증권이 다 산다”는 말이 회자됐을 정도로 베트남 투자 열풍이 일었다. 실제 해당 펀드의 판매잔액은 10억달러를 돌파하며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베트남 증시 부진으로 수익률이 곤두박질치면서 한투증권의 아픔은 상당히 컸다. 그럼에도 김 회장은 2010년 12월 EPS증권의 지분 (49%)을 인수, 한국투자증권 합작법인인 KISV(KIS 베트남)를 설립하며 리테일 중심의 베트남 시장에서 입지를 키워나가겠는 의지를 이어갔다.

당시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베트남 증권시장에서 5년내 탑5, 10년 후 제1 증권사가 될 것”이라며 블루오션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함께 현장을 찾았던 김 회장 역시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을 믿는다”며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이보다 앞서 홍콩법인(1997년)과 뉴욕법인(2000년), 싱가폴법인(2008년) 등을 통해 해외 네트워크를 확대했던 한국투자증권은 2010년 진우투자자문유한공사 인수를 기점으로 중국에도 거점을 마련한다. 2018년에는 인도네시아 현지 증권사 인수를 통해 자기자본 420억원 규모의 KIS인도네시아도 설립했다.

하지만 신흥 시장들에서의 성과는 더뎠다. 특히 베트남 자본시장 성장은 더 느렸다. 2010년 당시 90% 수준이었던 브로커리지 비중은 여전히 70%대를 웃돌며 비즈니스 확대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심지어 브로커리지 시장에서의 입지조차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지난 2015년말 기준 브로커리지 시장 점유율 4.3%로 전체 7위 수준이었던 KISV는 2022년말 기준 9위로 밀려났다.

또다른 자회사 한투운용도 지난 2020년 6월 베트남에 유일한 해외법인을 출범시켰지만 지난 2020년 13억2000만원 손실, 2021년 7억원 순익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한국투자증권이 해외법인을 통해 거둬들인 이익은 총 49억5000만원. 회사 전체 순이익 중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에 한투증권은 2년여 전부터 글로벌 진출 전략에 변화를 줬다. 뉴욕이나 홍콩 등 선진화된 시장 공략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설립한 뉴욕 IB법인을 통해 미국 IB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 하에 2억5000만달러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가 하면 지난해 9월 스티펄과 인수금융 및 사모대출 전문 합작회사 설립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 24일 김 회장은 주주총회서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의 비즈니스 확대는 물론 스티펄과의 합작을 통한 미국 인수금융 시장 진출 등 선진국 시장에 대한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2020년 3월 대표이사 회장 선임 당시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과 진출에 과감하게 나서겠다”던데 이어 두번째 선언이다.

한국금융지주는 주력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이머징 시장과 선진 시장에서 글로벌 IB로 도약하기 위한 투트랙 전략을 구사 중이다.

(사진=2011년 1월 홍콩증권거래소(SEHK)에서 열린 '미래에셋 타이거 코스피200 상장지수펀드' 상장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는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연합뉴스)


■ 홍콩으로 향한 미래에셋, 先운용 後증권 전략

2003년,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글로벌 무대 진출을 위해 가장 먼저 공략한 곳은 홍콩이었다. 당시 아시아권 대표적 ‘금융허브’로 꼽히던 홍콩. 특히 박 회장은 증권이 아닌 자산운용사 홍콩법인을 설립하며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증권사가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브로커리지 영업을 위한 리서치, 법인영업, 에쿼티세일즈 등 많은 인프라가 필요하고 성과 창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운용사는 펀드 운용역들이 현지 자금을 운용하는 형식인 만큼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시 단기간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 박 회장은 홍콩 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운용사가 현지 시장에 먼저 진출해 입지를 확보한 이후 증권사가 진입할 수 있는 물꼬를 터주는 전략을 구사했다.

현재 미래에셋그룹은 해외 진출 18년 만에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는 물론 중국, 홍콩, 브라질, 인도, 베트남 등 전세계 16개 지역 39개 현지법인 및 사무소를 운영하며 네트워크를 확장 중이다. 이중 미국, 베트남, 영국, 인도, 중국, 홍콩 등 대부분 지역은 운용사와 증권사가 함께 진출한 상태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각 현지마다 최적화된 온라인 시스템 구축을 통해 빠르게 현지 시장을 공략한다. 인도네시아 법인의 경우 지난 2020년 이후 현지에서 주식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수성 중이다. 현지 최초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제공하며 리테일 위탁매매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미래에셋은 기관 및 고액자산가 대상 오프라인 위탁매매 사업 영역을 확대해 인도네시아 건강보험 등 연기금과 현지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 기관 고객 확보에서도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한국투자증권과의 또다른 격전지인 베트남에서도 미래에셋은 외국계 증권사 기준 시장점유율 기준 1위, 전체 순위 4위다.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이에 그치지 않고 박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인도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영역 확대에도 적극 나섰다.

지난해 기준 미래에셋증권이 해외법인을 통해 거둬들인 이익 규모는 1427억원. 전체 순이익 중 17.3%(세전 기준)에 달한다. 여기에 미래에셋자산운용 해외법인의 순이익(2407억원)까지 합치면 미래에셋그룹이 한해동안 해외에서 거둬들인 이익은 전체의 3분의1 수준에 육박한다.

박 회장은 지난 2018년 GISO(글로벌 투자전략 고문)로 취임한 이후 전세계 무대에서 직접 발로 뛴다. 미래에셋증권 통합법인 출범 당시 "금융산업과 자본시장의 DNA를 바꿔보겠다"던 박 회장의 포부가 글로벌 IB로서 미래에셋의 위상을 더 높일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는 요즘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