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형 공공주택의 활성화 방안과 리츠를 활용한 재원마련 모색’ 세미나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H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B국민은행과 함께 20일 영등포구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임차형 공공주택의 활성화 방안과 리츠를 활용한 재원마련 모색’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임차형 공공주택의 임차인 편의제고 및 임대인, 중개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제도 지원 방안과 공공기관의 수익사업 및 비수익사업의 조화로운 시행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표자로 나선 이영민 SH도시연구원 기술연구부장은 SH공사와 KB국민은행이 지난 6월 7일 맺은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플랫폼 구축 업무협약’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임차형 공공주택 전용 플랫폼 개발 사업을 소개했다.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플랫폼’은 KB부동산 플랫폼(홈페이지 및 모바일앱) 내 ‘SH전용관’을 통해 자격 요건에 맞는 임차형 공공주택 매물을 지도에서 검색하고, 대출가능금액, 월 부담금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르면 올해 하반기 내로 시범서비스를 제공을 목표로 양사가 개발 중이다.
이어 SH공사 주요 사업인 건물분양주택(토지임대부 분양주택), 노후 공공임대 재정비사업, 한강사업, 주택매입사업 등의 추진 재원으로 연기금을 활용한 ‘모자(母-子)리츠’ 등 금융모델 구상안을 제안했다.
모자리츠는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해 상장리츠에 투자하는 ‘앵커리츠’와 같이 기금이나 각 공제회의 대규모 자금을 모태로 SH의 수익 사업과 비수익사업에 균형 있게 재투자하는 금융을 활용한 수익 교차보전 모델이다.
발표가 끝난 뒤에는 학계, 연구계, 산업계 등 관련 전문가들이 임차형 공공주택 활성화 및 리츠를 활용한 재원마련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이어졌다.
전재범 강원대학교 교수를 사회로 성현탁 KB국민은행 KB부동산플랫폼부 부장, 김상진 경희대학교 교수, 박사유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노후계획도시TF팀 연구위원, 강상선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전문위원 등이 토론을 벌였다.
성현탁 KB국민은행 부장은 “KB부동산의 ‘찾아줘 내집’은 개인별 조건에 맞춰 매물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로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플랫폼에 탑재될 예정이다”며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SH의 인센티브를 공인중개사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상진 경희대 교수는 “모자리츠는 쉽지 않은 방법이지만 또한 바람직한 방향이다”며 “완벽하게 리츠를 구성하여 출발하는 것 보다, 거칠더라도 모리츠 출자자 협의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사유 HUG 연구위원은 “HUG에서도 도시정비사업을 위한 기금의 지원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며 “제안해주신 모자리츠는 금융지원의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상선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전문위원은 “다른 측면으로 리츠도 결국 투자 사업이므로 비수익사업과 수익사업의 조화로운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확보해야 대규모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SH와 KB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안심전세은행은 공공과 민간이 임대차 시장 안정을 위해 협력하는 의미있는 사업”이라며 “건물분양주택 등 SH의 중요한 사업들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재원마련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