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구동모터가 적용된 친환경차 모형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최근 북미와 유럽에서 전기차와 수소차용 부품계약을 잇달아 성공시켰다. 친환경차 부품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미국 메이저 완성차 업체와 친환경차 부품 3000억원의 수주를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전기차 부품은 감속기로 전기차 구동시스템의 핵심 부품이자 전기차 시대에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대표 부품. 계약 규모는 약 3000억원이다. 오는 2024년부터 2032년까지 북미 메이저 자동차사에 단계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추가 수주를 진행 중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기차의 또 다른 핵심부품인 영구자석과 샤프트 등에 대한 수주도 확대하며 전기차 구동시스템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에는 프랑스 완성차 업체 하이비아(HYVIA)와 총 1000억원 규모의 수소차 부품 수주를 확정했다. 글로벌 완성차사와 수소차 부품계약을 직접 맺은 것은 이 사례가 처음이다.

하이비아는 프랑스 르노와 미국 플러그파워가 설립한 합작사다. 이 회사는 수소전지 상용차 출시를 앞두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부품 제조사와 함께 하이비아의 신형 차량용 전력변환장치를 2025년부터 공급할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전기차 구동시스템 주요부품 현황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글로벌 자동차사들과 친환경차 부품 계약을 연달아 체결하고 있다. 이는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를 일찌감치 미래사업으로 낙점하고 역량을 집중한 덕분이다. 오는 2027년엔 친환경차 부품사업 비중이 내연기관차 부품사업을 역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기차 핵심부품인 구동모터코어 생산시스템을 국내외 걸쳐 구축하며 친환경차 사업역량을 지속 키우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멕시코에서 총 6만3925m²(약 1만9371평) 대지에 구동모터코아 생산을 위한 제1공장을 준공했다. 추가로 제2공장도 내년 상반기 착공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200만대 이상, 해외 500만대 등 연 700만대 이상의 생산체제를 마련할 예정이다.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시장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탈탄소 시대에 대비해 기존 내연기관차 위주의 사업에서 친환경차 부품사업으로 발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며 “향후 국내 강소기업들과 다양한 사업모델을 함께 개발해 필요시 북미 현지공장 설립도 추진할 계획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