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2일 ‘With Korea Team(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품 국산화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왼쪽부터) 세아창원특수강 이정훈 대표이사,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를 가속화한다. KAI는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2일 ‘With Korea Team(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품 국산화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KAI는 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세아창원특수강을 비롯해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7개 협력사와 함께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 항공기용 압출 및 단조소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전 과정에 협력할 수 있게 됐다. KAI는 공정기술 개발과 승인 등 전 과정을 주관하고, 세아창원특수강은 원소재 생산과 공정 진행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KAI 관계자는 “소재 국산화를 통해 공급 안정으로 원가경쟁력과 생산일정 단축, 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알루미늄 압출재는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부품으로 소재 국산화 성공 시 공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줄여 최근 유럽·미국 등 글로벌 고객이 요구하는 탄소중립도 충족이 가능하다. KAI는 2019년 ‘항공소재개발연합’을 발족하고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한 qk 있다. 군수품뿐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 소재를 적용한다. 현재 알루미늄 압출재와 타이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 총 35종의 국산화가 완료됐다. KAI는 지난해부터 민수용 윙(Wing) 단조품 개발에 자체 투자해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올해 고객사로부터 초도품검사(FAI) 승인을 받아 양산에 착수한다. 양산 시 년간 22억원 이상의 원가가 절감된다.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은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1조1200억원 규모”라며 “소재부품 국산화를 확대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KAI는 중장기적으로 동체, 난삭재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사업영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고객인 보잉, 에어버스에서 벗어나 중형기, 비즈니스 제트기 OEM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민수기체사업 매출 2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KAI-세아, 항공기용 부품 국산화 협력…“수출 경쟁력 확보”

손기호 기자 승인 2022.06.03 09:03 의견 0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2일 ‘With Korea Team(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품 국산화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왼쪽부터) 세아창원특수강 이정훈 대표이사,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를 가속화한다.

KAI는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2일 ‘With Korea Team(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품 국산화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KAI는 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세아창원특수강을 비롯해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7개 협력사와 함께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 항공기용 압출 및 단조소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전 과정에 협력할 수 있게 됐다.

KAI는 공정기술 개발과 승인 등 전 과정을 주관하고, 세아창원특수강은 원소재 생산과 공정 진행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KAI 관계자는 “소재 국산화를 통해 공급 안정으로 원가경쟁력과 생산일정 단축, 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알루미늄 압출재는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부품으로 소재 국산화 성공 시 공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줄여 최근 유럽·미국 등 글로벌 고객이 요구하는 탄소중립도 충족이 가능하다.

KAI는 2019년 ‘항공소재개발연합’을 발족하고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한 qk 있다. 군수품뿐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 소재를 적용한다.

현재 알루미늄 압출재와 타이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 총 35종의 국산화가 완료됐다.

KAI는 지난해부터 민수용 윙(Wing) 단조품 개발에 자체 투자해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올해 고객사로부터 초도품검사(FAI) 승인을 받아 양산에 착수한다. 양산 시 년간 22억원 이상의 원가가 절감된다.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은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1조1200억원 규모”라며 “소재부품 국산화를 확대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KAI는 중장기적으로 동체, 난삭재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사업영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고객인 보잉, 에어버스에서 벗어나 중형기, 비즈니스 제트기 OEM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민수기체사업 매출 2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