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라면·포장김치를 포함해 서민 먹거리 가격이 오르면서 민생 체감 물가가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환율까지 치솟으며 수입 물가에 상승 압력을 불어넣고 있다. 설상가상 다음 달 전기·가스료 인상도 예정돼 있어 국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는 10월 이후 물가상승률이 꺾인다는 내용의 ‘10월 물가 정점론’을 유지하고 있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민생물가점검회의’를 연다. 기재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각부의 장관이 참석해 추석 이후 상승하고 있는 민생 물가의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한다. 이달 들어 배추 등 농산물에 이어 가공식품의 가격까지 오르고 있다. 서민 식품으로 불리는 라면이 대표적이다. 농심은 지난 15일부터 라면 출고 가격을 1년 만에 평균 11.3% 인상했다. 신라면은 10.9%, 너구리는 9.9%씩 올렸다. 팔도는 다음달 1일부터 라면 12종의 가격을 평균 9.8% 인상한다. 오뚜기는 다음달 10일부터 1년 2개월 만에 라면값을 평균 11% 올리기로 했다. 김치 가격도 올랐다. 김치 업계 1위인 대상은 다음 달 1일부터 '종가집 김치' 제품 가격을 평균 9.8% 인상한다. CJ제일제당은 지난 16일부터 비비고 포장김치 가격을 평균 11.3% 올렸다. 집중 호우와 태풍 ‘힌남노’ 피해로 인해 배추·열무·마늘 등 가격이 오른 결과로 풀이된다. 과자 가격도 인상됐다. 오리온은 초코파이·포카칩 등 16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8% 인상했다. 농심도 새우깡, 꿀꽈배기 등 스낵 23개 브랜드 출고가를 5.7% 높였다. 공공요금과 에너지 비용도 오를 전망이다. 다음달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예정된 가운데, 11월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첫 겨울철을 맞아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예상대로 10월 물가 정점이 찾아오더라도 고물가 상황은 연말·연시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가 정점에 이르더라도 당분간 5%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며 “높은 물가 오름세가 정점과 관계없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내년 초까지도 5%대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8월부터 소비자물가지수가 본격 상승했던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예상처럼 향후 역기저효과로 인해 지표 상 물가 오름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점 이후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세가 장기화되면 민생고는 오히려 깊어질 수 있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가 완화를 최우선 국정 과제로 꼽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경기회복이 우선이냐 또 국민의 실질임금 하락을 가져오는 물가상승을 잡는 게 우선이냐는 논란이 있다”면서 “일단 서민의 실질임금 하락을 가져오는 물가를 먼저 잡는 것이 우선이라는 기조가 일반적"이라며 "우리 서민 민생을 정부가 각별히 챙기겠다”고 말했다.

서민 먹거리 가격 상승에 국민 부담 가중…정부, ‘10월 물가 정점론’ 유지

추경호 부총리 19일 ‘민생물가점검회의’ 연다

탁지훈 기자 승인 2022.09.19 09:37 의견 0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라면·포장김치를 포함해 서민 먹거리 가격이 오르면서 민생 체감 물가가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환율까지 치솟으며 수입 물가에 상승 압력을 불어넣고 있다. 설상가상 다음 달 전기·가스료 인상도 예정돼 있어 국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는 10월 이후 물가상승률이 꺾인다는 내용의 ‘10월 물가 정점론’을 유지하고 있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민생물가점검회의’를 연다. 기재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각부의 장관이 참석해 추석 이후 상승하고 있는 민생 물가의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한다.

이달 들어 배추 등 농산물에 이어 가공식품의 가격까지 오르고 있다. 서민 식품으로 불리는 라면이 대표적이다.

농심은 지난 15일부터 라면 출고 가격을 1년 만에 평균 11.3% 인상했다. 신라면은 10.9%, 너구리는 9.9%씩 올렸다. 팔도는 다음달 1일부터 라면 12종의 가격을 평균 9.8% 인상한다. 오뚜기는 다음달 10일부터 1년 2개월 만에 라면값을 평균 11% 올리기로 했다.

김치 가격도 올랐다. 김치 업계 1위인 대상은 다음 달 1일부터 '종가집 김치' 제품 가격을 평균 9.8% 인상한다. CJ제일제당은 지난 16일부터 비비고 포장김치 가격을 평균 11.3% 올렸다. 집중 호우와 태풍 ‘힌남노’ 피해로 인해 배추·열무·마늘 등 가격이 오른 결과로 풀이된다.

과자 가격도 인상됐다. 오리온은 초코파이·포카칩 등 16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8% 인상했다. 농심도 새우깡, 꿀꽈배기 등 스낵 23개 브랜드 출고가를 5.7% 높였다.

공공요금과 에너지 비용도 오를 전망이다. 다음달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예정된 가운데, 11월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첫 겨울철을 맞아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예상대로 10월 물가 정점이 찾아오더라도 고물가 상황은 연말·연시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가 정점에 이르더라도 당분간 5%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며 “높은 물가 오름세가 정점과 관계없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내년 초까지도 5%대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8월부터 소비자물가지수가 본격 상승했던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예상처럼 향후 역기저효과로 인해 지표 상 물가 오름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점 이후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세가 장기화되면 민생고는 오히려 깊어질 수 있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가 완화를 최우선 국정 과제로 꼽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경기회복이 우선이냐 또 국민의 실질임금 하락을 가져오는 물가상승을 잡는 게 우선이냐는 논란이 있다”면서 “일단 서민의 실질임금 하락을 가져오는 물가를 먼저 잡는 것이 우선이라는 기조가 일반적"이라며 "우리 서민 민생을 정부가 각별히 챙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