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재건축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대형건설사가 늘어난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으로 재무건전성에 위협을 받으며 미청구공사액이 건설사의 시한폭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서는 미청구공사 손실 가능성을 낮게보는 것은 물론 손실이 현실화 되더라도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바로 수주 물량의 분양이 본격화되면서 일시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늘어나는 분양사업의 특성 때문이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의 지난해 말 미청구공사 잔액은 1조5558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삼성물산을 제외하고 2022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4개 상장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비율로 미청구공사액이 늘었다. GS건설의 미청구공사액 대부분은 건축·주택부문이다. 전체 미청구공사액 1조5558억원 중 61%에 해당하는 9560억원 가량이 건축·주택 부문에서 발생했다. 현대건설도 3조2473억원에서 3조7347억원으로 늘었다. 이 중 주택·건축부문 미청구 공사액은 1조4717억원이다. 대우건설의 지난해 미청구공사액은 1조2053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했다.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은 7561억원이다. 미청구공사는 시공사가 일정 부분의 공사를 진행하고도 발주처에 대금지급을 요청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당장은 재무재표에서 자산으로 잡히지만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 부실 자산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대형건설사의 미청구공사액 증가는 공격적인 분양사업과 관련이 있다. 지난 몇 년간 부동산 호황기를 거치면서 건설사의 주택사업 수주가 늘었고 확보한 프로젝트에 분양 사업을 위해 본격적으로 공정률을 올리면서다. 실제로 현대건설은 지난 3년간 매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에서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며 지난해에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인 9조3395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대우건설도 2년 연속으로 도시정비사업 최대 수주 실적을 갈아치웠다. 지난해에는 5조2763억원의 수주 실적으로 창사 이래 첫 '5조 클럽'에 입성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공격적으로 확보한 주택 사업 수주 물량 분양이 본격화되면서 일시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늘어난 것으로 크게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A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공정을 진행하면서 받지 못한 금액은 분양 이후 잔금 처리와 함께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미청구공사액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한다"며 "대형건설사의 사업지는 대부분 사업성이 양호하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설령 일부 미청구공사액이 현실화되더라도 회사가 휘청거릴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GS건설의 미청구공사액 760억원 가량이 쌓인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는 지난해말 청약 당시 1순위 경쟁률이 0.97대1에 그치면서 미분양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최근 완판에 성공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포레온) 사업으로도 미청구공사액이 크게 늘었다. 현대건설은 3701억원 가량의 미청구공사액을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에서 쌓았다.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에 차지하는 비중은 25.1% 가량이다. 대우건설도 2993억원의 미청구공사액이 같은 사업지에서 발생했다. 둔촌주공 사업지에서만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 40%에 육박하는 미청구공사액이 발생했다. 다만 해당 미청구공사액도 해소될 전망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인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무순위 청약을 통해 지난 22일 분양을 마쳤다. 지난달 전체 4768가구 중 899가구가 미계약 됐으나 무순위 계약 시작 이틀 만에 모두 팔렸다. 건설사에서도 자체적으로 대규모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는 사업지와 관련해서는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도 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울산 동구 주상복합 건설 현장에 첫 삽을 뜨기 전에 400억원을 지불하고 손절에 나섰다. 금리인상과 원자잿값 상승 등을 고려했을 때 사업성이 없어 추후 대규모 미수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보고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한 것이다. 플랜트 부문에서도 대형건설사의 미청구 공사액이 쌓이고 있으나 대규모 미청구공사액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B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플랜트 사업도 준공 이후 발주처와 정산협의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잿값이 늘어난 부분이나 설계 변경 등에 대한 합의를 하는 경우가 있고 환율 차이도 있어 미청구 공사액이 발생한다"며 "다만 사업 전체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발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말했다.

대형건설사, 늘어난 미청구공사액 ‘불안요소?’…본격적 분양에 따른 "일시적 현상"

정지수 기자 승인 2023.03.27 15:57 의견 0
아파트 재건축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대형건설사가 늘어난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으로 재무건전성에 위협을 받으며 미청구공사액이 건설사의 시한폭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서는 미청구공사 손실 가능성을 낮게보는 것은 물론 손실이 현실화 되더라도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바로 수주 물량의 분양이 본격화되면서 일시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늘어나는 분양사업의 특성 때문이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의 지난해 말 미청구공사 잔액은 1조5558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삼성물산을 제외하고 2022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4개 상장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비율로 미청구공사액이 늘었다.

GS건설의 미청구공사액 대부분은 건축·주택부문이다. 전체 미청구공사액 1조5558억원 중 61%에 해당하는 9560억원 가량이 건축·주택 부문에서 발생했다.

현대건설도 3조2473억원에서 3조7347억원으로 늘었다. 이 중 주택·건축부문 미청구 공사액은 1조4717억원이다.

대우건설의 지난해 미청구공사액은 1조2053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했다.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은 7561억원이다.

미청구공사는 시공사가 일정 부분의 공사를 진행하고도 발주처에 대금지급을 요청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당장은 재무재표에서 자산으로 잡히지만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 부실 자산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대형건설사의 미청구공사액 증가는 공격적인 분양사업과 관련이 있다. 지난 몇 년간 부동산 호황기를 거치면서 건설사의 주택사업 수주가 늘었고 확보한 프로젝트에 분양 사업을 위해 본격적으로 공정률을 올리면서다.

실제로 현대건설은 지난 3년간 매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에서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며 지난해에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인 9조3395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대우건설도 2년 연속으로 도시정비사업 최대 수주 실적을 갈아치웠다. 지난해에는 5조2763억원의 수주 실적으로 창사 이래 첫 '5조 클럽'에 입성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공격적으로 확보한 주택 사업 수주 물량 분양이 본격화되면서 일시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늘어난 것으로 크게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A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공정을 진행하면서 받지 못한 금액은 분양 이후 잔금 처리와 함께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미청구공사액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한다"며 "대형건설사의 사업지는 대부분 사업성이 양호하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설령 일부 미청구공사액이 현실화되더라도 회사가 휘청거릴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GS건설의 미청구공사액 760억원 가량이 쌓인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는 지난해말 청약 당시 1순위 경쟁률이 0.97대1에 그치면서 미분양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최근 완판에 성공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포레온) 사업으로도 미청구공사액이 크게 늘었다. 현대건설은 3701억원 가량의 미청구공사액을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에서 쌓았다.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에 차지하는 비중은 25.1% 가량이다.

대우건설도 2993억원의 미청구공사액이 같은 사업지에서 발생했다. 둔촌주공 사업지에서만 주택·건축 부문 미청구공사액 40%에 육박하는 미청구공사액이 발생했다.

다만 해당 미청구공사액도 해소될 전망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인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무순위 청약을 통해 지난 22일 분양을 마쳤다. 지난달 전체 4768가구 중 899가구가 미계약 됐으나 무순위 계약 시작 이틀 만에 모두 팔렸다.

건설사에서도 자체적으로 대규모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는 사업지와 관련해서는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도 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울산 동구 주상복합 건설 현장에 첫 삽을 뜨기 전에 400억원을 지불하고 손절에 나섰다. 금리인상과 원자잿값 상승 등을 고려했을 때 사업성이 없어 추후 대규모 미수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보고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한 것이다.

플랜트 부문에서도 대형건설사의 미청구 공사액이 쌓이고 있으나 대규모 미청구공사액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B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플랜트 사업도 준공 이후 발주처와 정산협의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잿값이 늘어난 부분이나 설계 변경 등에 대한 합의를 하는 경우가 있고 환율 차이도 있어 미청구 공사액이 발생한다"며 "다만 사업 전체적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발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