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전자 업체 2018~2023 1분기 인건비 비율 변동 현황 (자료=한국CXO연구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전자업계가 업황 악화로 인해 매출 대비 인건비 부담이 커졌다. 반면 현대차와 기아 등 자동차 기업은 매출·영업이익이 상승하면서 인건비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

25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18년~2023년 1분기 기준 전자 및 자동차 주요 대기업 인건비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이처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주요 전자 업체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등이다. 전자 업체 5곳 중 LG전자를 제외하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4곳은 지난해 1분기 대비 올해 같은 기간 인건비율이 모두 올랐다. 4개 기업 모두 올 1분기 인건비율이 지난 2018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1분기 기준 매출은 42조6069억원이고, 성격별 비용 항목에 기재된 인건비 규모는 2조7829억원이었다. 당시 인건비율은 6.5%에 불과했지만, 올 1분기에는 10.1%까지 늘어났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보다 인건비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8년 1분기 매출 8조7458억원에 당시 인건비 규모 7143억원으로 인건비율은 8.2%를 기록했다. 이후 2019년 11.6%, 2020년 10.8%, 2021년 10.7%, 2022년 12.3% 등 10% 이상을 꾸준히 기록하다가 올해 1분기 인건비율은 19.1%까지 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8%p 늘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18년 1분기 인건비율이 13.5%였다. 이후 2019년 11.7%, 2020년 11.5%, 2021년 9.3%로 인건비율이 점점 낮아지다가 올해 1분기 인건비율이 16%까지 올랐다.

삼성전기도 지난해 1분기 인건비율은 19.5%에서 올해 1분기 인건비율이 23.2%로 증가해 1년 만에 3.7%p 상승했다.

다만 LG전자의 올해 1분기 인건비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 하락했다. LG전자의 올 1분기 인건비율은 15.6%로, 지난 2021년 1분기 16.1%과 2022년 1분기 18.7%보다 낮아졌다.

주요 자동차 업체 1분기 인건비 비율 변동 현황 (자료=한국CXO연구소)


자동차 기업들의 인건비 비율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현대차는 지난 2018년 1분기 당시 매출은 9조6724억원이고 인건비는 1853억원으로 매출 대비 인건비율은 14.8%나 됐다. 이후 2019년 13.9%, 2020년 13.7%, 2021년 11.6%로 점점 낮아지다가 지난해 13.8%로 다시 이전해보다 2.2%P 높아졌다. 올해 1분기에는 10%로 뚝 떨어졌다. 1년새 인건비율이 3.8%P로 낮아진 것. 이는 지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인건비율이다.

기아도 2018년(13.8%)과 2020년(13.7%) 1분기 때는 인건비율이 13%대를 기록했었는데, 올 동기간에는 9.1%로 10% 미만대로 뚝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19년 1분기 때 9.6% 수준의 인건비율을 보일 때보다 더 낮은 수치다.

현대모비스 인건비율도 2018년 5.6%였는데, 올 1분기에는 4.2%를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와 함께 현대모비스도 올 1분기에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인건비율을 보여 주목을 받았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높은 인건비 때문에 경영진의 시름이 깊었는데, 올해는 전자 업체들의 경영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상화은 역전됐다”며 “단기적으로 반도체 등 주요 전자 업체들의 경우 인건비를 선제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 낮추는 작업을 통해 인건비 부담을 다소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