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이미지 더블클릭)
(사진=GS리테일)

GS25가 지난 7월 개인정보노출 사고 이후 4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소비자들에게 보상 등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과정에서 사측이 소비자의 전화를 차단하고 개인분쟁조정위원회가 움직이자 마지못해 합의서를 보내는 등의 대응으로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16일 소비자 A씨는 지난 7월 ‘코로나19 백신 접종 1000만명 돌파 기념 감사 이벤트’에서 개인정보 노출 사건 이후 지금까지 GS25 측에서 명확한 답변이 없다가 최근 합의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문제는 지난 7월 발생했다. GS25는 지난 6월 14일부터 7월 4일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 1000만명 돌파 기념 감사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후 7월 6일 당첨자 발표 과정에서 개인정보노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당일 오후 6시 30분부터 오후 10시 10분까지 일부 당첨자들의 이름과 연락처 등이 노출됐다. 이날 발표된 당첨자는 약 6000여명이다.

해당 사건 이후 GS리테일은 정확한 피해자 수를 고지하지 않았다. 이벤트 당첨자가 약 6000여명이므로 피해자는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당시 GS25 측은 “이벤트를 담당한 협력사 직원의 실수로 소비자들의 개인정보가 SNS에 노출됐다. 신속한 삭제 조치와 더불어 소비자들에게 관련 피해 사실을 고지했다”고 밝혔다. 이후 GS리테일은 7월 7일 한국인터넷진흥원에 개인정보노출 관련 자진 신고를 진행했다.

소비자 A씨는 “당첨자 발표일이었던 7월 6일부터 며칠간 광고성 문자와 전화가 수시로 왔다. 이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했다. 그래서 본사에 연락했더니 담당자가 내부 회의 중이고 보상 방안 등을 협의 중이라는 답변 뿐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개인정보 유출 관련 안내 문자를 받은 이후 10월까지 꾸준히 GS25에 연락을 시도했다. 그런데 10월부터 연락이 되지 않았다. 확인해본 결과 저의 전화를 차단했다. 연락할 수단이 없어 이후 국민신문고에 이같은 사실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A씨에 따르면 국민신문고에 글이 게재된 이후 GS25 관계자와 연락이 닿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사 직원은 해당 사건으로 담당자는 퇴사했으며 관련 사안에 대한 진행여부는 인수인계 이후 연락드리겠다는 답변만 전달했다.

A씨는 “국민신문고에 다시 연락했다. 담당자는 개인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문의하라 했다. 이후 위원회 협의관은 GS25 측과 연락했으며 공공기관이 아니므로 처벌은 불가능하며 서로 합의를 봐야 한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GS25가 제시한 합의금액은 얼마되지 않았다. 너무 화가나 사측에 따졌더니 그 이상의 금액은 곤란하다고 답변했다. 다른 피해자들도 그 금액으로 합의본 것이냐고 물었더니 그 부분은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면서 “GS리테일이 장장 4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현재 A씨는 GS25 측으로부터 받은 합의서에 서명하지 않았다.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사측의 진심어린 사과와 신속한 대응이 아쉽다는 것이다.

A씨는 “저는 막대한 합의금을 받아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 돈은 안 받아도 된다. 다만 그동안 사측이 저의 전화번호를 차단하고 국가기관에 이를 알리니 그제서야 합의서만 보냈다. 미안하다는 사과조차 한 마디 없었다. 대기업이 피해자인 소비자들에게 이런 식으로 응대한다니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같은 논란에 대해 GS25 관계자는 "피해고객들에게는 별도 안내고지를 진행했다. 프로세스 정비를 통해 철저한 재발 방지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해당 소비자가 과도한 금액의 무리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고 있어 협의에 어려움이 있다. 당사는 분쟁조정위 등 공기관의 결정을 성실히 따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