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라이프자산운용(공동대표 남두우, 강대권)이 SK의 자기주식 10%(180만주, 시가 약 4600억원)에 대한 조속한 소각을 요구하는 주주서한을 SK에 보냈다고 26일 밝혔다. 이와 함께 재무적 잠재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리스크전담임원(CRO) 선임,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신설도 요구했다. 강대권 라이프운용 대표는 "SK는 최근 적극적인 자본 운용을 통해 계열사 지배를 위한 단순 지주회사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영역을 개척하고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투자회사'로 구조혁신에 성공했다"면서 "그럼에도 SK의 뛰어난 투자성과는 여전히 시장으로부터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SK는 지난 2017년 이후 연 11.5%의 주당 순자산가치(BPS) 성장을 창출했다. 같은 기간 세계 최고의 투자회사로 불리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BPS 성장률이 연 12% 수준임을 감안하면, SK는 이미 투자회사로서의 역량을 증명한 셈. 하지만 우수한 실적과 사업구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SK의 시장가치는 여전히 5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다. 무엇보다 여타 지주사들과 마찬가지로 고질적인 지주사 할인(디스카운트)에 시달리고 있다. 강 대표는 이러한 주가 저평가의 원인으로 SK를 전통적인 지주회사로 인식하고 관습적인 디스카운트를 적용하는 시장의 오해를 꼽는다. 또, 자사주의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이슈로 인해 주주 가치를 제고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시장이 믿지 못하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강 대표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대대적인 사업 포트폴리오의 전환에 따른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SK를 저평가하는 또 다른 이유라고 설명했다. 라이프자산운용은 저평가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자기주식의 일부 소각'을 조속히 시행할 것을 제안했다. 지난해 말 기준 SK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은 발행 주식 총수의 24%에 달한다. 강 대표는 "지난 주총에서 자기주식 소각을 언급한 점에 대해 환영을 표하지만, ‘자기주식 소각’은 회사가 주총에서 말한 “고려할 만한 옵션”이 아닌 최우선 주주환원 정책이 돼야 한다"고 했다. 실제 올해 약 20여개의 국내 상장사들이 자기주식 소각을 발표했고, 이러한 발표 이후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한 사례가 많았다. 이에 라이프자산운용은 SK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의 10%에 해당하는 180만주의 소각을 시행할 것을 주주서한을 통해 요구했다. 또 라이프자산운용은 SK의 급격한 구조변화에 따른 위기대응능력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투자 리스크의 총량을 관리하는 리스크전담임원(CRO)을 임명하고,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강 대표는 "SK의 주된 재원 조달 원천은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이지만 최근 지주회사와 자회사들이 동시에 투자규모를 확대하면서 배당금이 축소되고 단기차입 의존도가 증가했다"며 "SK의 현금흐름에 대한 우려는 기업가치 할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표적인 글로벌 투자회사로 꼽히는 소프트뱅크의 경우, SK보다 더 심한 디스카운트를 받고 있는데, 그런 저평가의 주된 원인으로 재무적 리스크에 대한 부담과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내부통제 시스템 부재가 꼽힌다. 강 대표는 특히 "최근 국제정세의 혼돈 속에 탈세계화 흐름은 더욱 가속화되고 인플레이션은 장기화되고 있다"며 "시장 위기 대응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이유”라고 전했다. 이어 "SK가 최고의사결정기구로서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신규 투자 등 자본배분 및 운용에 관한 사항을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라이프자산운용은 SK에 대한 주주서한과 관련된 내용을 웹사이트(http://sk-valueup.com)를 통해 공개하고 SK의 다른 주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한편 ESG 우호적 행동주의를 표방하며 지난 2021년 출범한 라이프자산운용은 '가치투자 1세대'인 이채원 전 한국투자밸류 대표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강대권 대표와 라이프자산운용의 전신 다름자산운용의 설립자 남두우 대표가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현재 2700억원 수준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대표 펀드로 '라이프 한국기업ESG향상 펀드'가 있다.

라이프운용, SK에 주주서한...자사주 소각, CRO 선임 요구

홍승훈 기자 승인 2022.04.26 11:02 의견 0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라이프자산운용(공동대표 남두우, 강대권)이 SK의 자기주식 10%(180만주, 시가 약 4600억원)에 대한 조속한 소각을 요구하는 주주서한을 SK에 보냈다고 26일 밝혔다. 이와 함께 재무적 잠재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리스크전담임원(CRO) 선임,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신설도 요구했다.

강대권 라이프운용 대표는 "SK는 최근 적극적인 자본 운용을 통해 계열사 지배를 위한 단순 지주회사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영역을 개척하고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투자회사'로 구조혁신에 성공했다"면서 "그럼에도 SK의 뛰어난 투자성과는 여전히 시장으로부터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SK는 지난 2017년 이후 연 11.5%의 주당 순자산가치(BPS) 성장을 창출했다. 같은 기간 세계 최고의 투자회사로 불리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BPS 성장률이 연 12% 수준임을 감안하면, SK는 이미 투자회사로서의 역량을 증명한 셈.

하지만 우수한 실적과 사업구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SK의 시장가치는 여전히 5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다. 무엇보다 여타 지주사들과 마찬가지로 고질적인 지주사 할인(디스카운트)에 시달리고 있다.

강 대표는 이러한 주가 저평가의 원인으로 SK를 전통적인 지주회사로 인식하고 관습적인 디스카운트를 적용하는 시장의 오해를 꼽는다. 또, 자사주의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이슈로 인해 주주 가치를 제고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시장이 믿지 못하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강 대표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대대적인 사업 포트폴리오의 전환에 따른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SK를 저평가하는 또 다른 이유라고 설명했다.

라이프자산운용은 저평가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자기주식의 일부 소각'을 조속히 시행할 것을 제안했다. 지난해 말 기준 SK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은 발행 주식 총수의 24%에 달한다.

강 대표는 "지난 주총에서 자기주식 소각을 언급한 점에 대해 환영을 표하지만, ‘자기주식 소각’은 회사가 주총에서 말한 “고려할 만한 옵션”이 아닌 최우선 주주환원 정책이 돼야 한다"고 했다. 실제 올해 약 20여개의 국내 상장사들이 자기주식 소각을 발표했고, 이러한 발표 이후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한 사례가 많았다. 이에 라이프자산운용은 SK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의 10%에 해당하는 180만주의 소각을 시행할 것을 주주서한을 통해 요구했다.

또 라이프자산운용은 SK의 급격한 구조변화에 따른 위기대응능력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투자 리스크의 총량을 관리하는 리스크전담임원(CRO)을 임명하고,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강 대표는 "SK의 주된 재원 조달 원천은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이지만 최근 지주회사와 자회사들이 동시에 투자규모를 확대하면서 배당금이 축소되고 단기차입 의존도가 증가했다"며 "SK의 현금흐름에 대한 우려는 기업가치 할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표적인 글로벌 투자회사로 꼽히는 소프트뱅크의 경우, SK보다 더 심한 디스카운트를 받고 있는데, 그런 저평가의 주된 원인으로 재무적 리스크에 대한 부담과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내부통제 시스템 부재가 꼽힌다.

강 대표는 특히 "최근 국제정세의 혼돈 속에 탈세계화 흐름은 더욱 가속화되고 인플레이션은 장기화되고 있다"며 "시장 위기 대응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이유”라고 전했다. 이어 "SK가 최고의사결정기구로서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신규 투자 등 자본배분 및 운용에 관한 사항을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라이프자산운용은 SK에 대한 주주서한과 관련된 내용을 웹사이트(http://sk-valueup.com)를 통해 공개하고 SK의 다른 주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한편 ESG 우호적 행동주의를 표방하며 지난 2021년 출범한 라이프자산운용은 '가치투자 1세대'인 이채원 전 한국투자밸류 대표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강대권 대표와 라이프자산운용의 전신 다름자산운용의 설립자 남두우 대표가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현재 2700억원 수준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대표 펀드로 '라이프 한국기업ESG향상 펀드'가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