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합뉴스) 네이버와 카카오가 긴장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인 구글과 유튜브에 공세로 안방을 위협받고 있고, 정치권이 플랫폼 규제 논의를 다시 시동을 걸면서다. 플랫폼 규제가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기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경쟁력 약화로 해외 기업에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플랫폼 MAU(월간 실사용자수) 1위는 국민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 4145만8675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3888만5316명으로 3위. 문제는 2위 유튜브가 빠르게 좇아오고 있다는 것. 유튜브는 4095만1188명으로 네이버를 넘어선 뒤 3년 연속 국내 플랫폼 MAU 1위인 카카오톡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이용자 차이는 153만명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50만명으로 감소했다. 네이버는 구글에게 따라잡힐 위기다. 구글은 2915만8266명의 MAU를 기록하면서 6위를 차지했다. 구글이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웹브라우저인 크롬은 3141만924명으로 4위를 차지했다. 구글의 3개 플랫폼 MAU가 네이버와 카카오톡 이용자보다 더 많은 셈이다. 구글 산하 플랫폼에 안방을 내줄 위기다. 위기감을 느낀 네이버는 AI(인공지능)을 활용한 검색 서비스를 개편하고 쇼핑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이용자 이탈을 막고 유입을 늘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불필요한 검색 과정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하고 숏폼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노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도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별도 탭으로 만들고 '채팅방 조용히 나가기' 기능을 추가하는 등 그간 이용자가 불편함을 느꼈던 부분에 대한 개선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포털 다음을 사내독립법인(CIC)으로 분리하면서 독자적인 검색 플랫폼 운영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개선점을 찾아나가고 있으나 PC에서 모바일 접속 비중이 높아지는 등 인터넷 생태계가 재편되는 환경에서 구글 대세론을 뒤집기는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OS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기본 검색이 구글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AI 기술을 통한 돌파구 마련도 쉽지 않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이 오픈 AI 챗GPT 서비스를 일찌감치 제공하면서 이슈를 선점했다. 이에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존재감이 옅었던 '빙'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이 1.5% 수준이었으나 지난달 말 기준으로는 3.0%까지 상승했다. 플랫폼 기업에 대한 국내 정치권의 규제도 부담이다. 플랫폼 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 독과점 규율을 위한 법률 제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 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태스크포스(TF)는 지난달 말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사전 규제' 필요성에 뜻을 모은 만큼 구체적인 규제안도 곧 공개될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TF에서 논의하고 있는 규제 방식은 유럽연합(EU)이 시행하는 디지털시장법(DMA)와 유사한 방식으로 알려졌다. 규제 대상이 되는 플랫폼 기업을 정해 놓고 의무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 경쟁 플랫폼의 이용을 방해하거나 자사 우대와 끼워팔기를 금지 등을 의무적으로 이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외 기업에게 이 같은 의무를 부여하더라도 지킬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국내에서 구글을 겨냥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을 도입했으나 구글은 아웃링크 금지 정책을 도입해 인앱결제를 유도한 사례도 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해외 기업처럼 현행법에 대한 '꼼수'를 부려 빠져나가기에는 여러모로 부담이 있다고 본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규제가 도입됐을 때 국내 기업은 법에 최대한 맞추려고 하지만 해외 기업 입장은 법률적 다툼을 벌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해외에서도 최근에는 플랫폼 규제 보다는 자국 내 플랫폼 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으로 토종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이 사실상 전멸한 것처럼 기타 플랫폼 기업도 어떻게 될 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네이버·카카오, 구글에 밀리고 규제에 치이고…“토종 플랫폼 사라질라”

카카오톡, 유튜브에 추월 당할 위기...네이버 검색시장 점유율, 구글에 위협
"토종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전멸 사례 기억해야"

정지수 기자 승인 2023.06.07 16:16 의견 0
(자료=연합뉴스)

네이버와 카카오가 긴장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인 구글과 유튜브에 공세로 안방을 위협받고 있고, 정치권이 플랫폼 규제 논의를 다시 시동을 걸면서다. 플랫폼 규제가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기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경쟁력 약화로 해외 기업에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플랫폼 MAU(월간 실사용자수) 1위는 국민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 4145만8675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3888만5316명으로 3위.

문제는 2위 유튜브가 빠르게 좇아오고 있다는 것. 유튜브는 4095만1188명으로 네이버를 넘어선 뒤 3년 연속 국내 플랫폼 MAU 1위인 카카오톡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이용자 차이는 153만명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50만명으로 감소했다.

네이버는 구글에게 따라잡힐 위기다. 구글은 2915만8266명의 MAU를 기록하면서 6위를 차지했다. 구글이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웹브라우저인 크롬은 3141만924명으로 4위를 차지했다. 구글의 3개 플랫폼 MAU가 네이버와 카카오톡 이용자보다 더 많은 셈이다. 구글 산하 플랫폼에 안방을 내줄 위기다.

위기감을 느낀 네이버는 AI(인공지능)을 활용한 검색 서비스를 개편하고 쇼핑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이용자 이탈을 막고 유입을 늘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불필요한 검색 과정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하고 숏폼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노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도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별도 탭으로 만들고 '채팅방 조용히 나가기' 기능을 추가하는 등 그간 이용자가 불편함을 느꼈던 부분에 대한 개선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포털 다음을 사내독립법인(CIC)으로 분리하면서 독자적인 검색 플랫폼 운영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개선점을 찾아나가고 있으나 PC에서 모바일 접속 비중이 높아지는 등 인터넷 생태계가 재편되는 환경에서 구글 대세론을 뒤집기는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OS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기본 검색이 구글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AI 기술을 통한 돌파구 마련도 쉽지 않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이 오픈 AI 챗GPT 서비스를 일찌감치 제공하면서 이슈를 선점했다. 이에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존재감이 옅었던 '빙'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이 1.5% 수준이었으나 지난달 말 기준으로는 3.0%까지 상승했다.

플랫폼 기업에 대한 국내 정치권의 규제도 부담이다. 플랫폼 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 독과점 규율을 위한 법률 제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 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태스크포스(TF)는 지난달 말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사전 규제' 필요성에 뜻을 모은 만큼 구체적인 규제안도 곧 공개될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TF에서 논의하고 있는 규제 방식은 유럽연합(EU)이 시행하는 디지털시장법(DMA)와 유사한 방식으로 알려졌다. 규제 대상이 되는 플랫폼 기업을 정해 놓고 의무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 경쟁 플랫폼의 이용을 방해하거나 자사 우대와 끼워팔기를 금지 등을 의무적으로 이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외 기업에게 이 같은 의무를 부여하더라도 지킬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국내에서 구글을 겨냥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을 도입했으나 구글은 아웃링크 금지 정책을 도입해 인앱결제를 유도한 사례도 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해외 기업처럼 현행법에 대한 '꼼수'를 부려 빠져나가기에는 여러모로 부담이 있다고 본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규제가 도입됐을 때 국내 기업은 법에 최대한 맞추려고 하지만 해외 기업 입장은 법률적 다툼을 벌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해외에서도 최근에는 플랫폼 규제 보다는 자국 내 플랫폼 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으로 토종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이 사실상 전멸한 것처럼 기타 플랫폼 기업도 어떻게 될 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