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가 2025년까지 4년간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 전동화·친환경을 비롯해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래 사업 허브’로서 한국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 전동화·친환경차 16조2000억 투자 계획 밝혀 2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미래 성장 핵심축인 전동화와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에서 총 16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순수 전기차를 비롯 수소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등 전동화와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서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과 내연기관차·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부품과 선행기술, 고성능 전동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시설 구축 등에도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동화와 친환경 제품 라인업 다양화, 제품 성능의 핵심인 배터리와 모터 등 PE 시스템 고도화, 1회 충전 주행거리(AER) 증대 기술 개발 등 통합적인 제품 경쟁력 향상을 추진한다. 순수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차세대 플랫폼 확보도 추진한다. 그룹은 2025년까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체계 아래서 개발된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일 예정이다.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전기차 확산을 위해서는 충전소가 핵심 기반이기 때문이다. 이에 2025년까지 외부와 협업을 통해 국내에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배터리, 충전,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하는 UBESS 등 사업 다각화도 추진한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는 연간 최대 15만대 규모의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이 세워진다. 2025년 하반기 양산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수소 사업도 강화한다. 승용, 버스, 트럭 등 차세대 제품과 함께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개선과 원가절감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전용 부품 연구시설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광범위한 활용을 위한 실증 사업과 수소 관련 원천기술, 요소기술 강화를 위해 외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투진할 예정이다. 현대차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그룹) ■ 미래 신기술 개발 8조9000억 투입 발표 현대차·기아·모비스는 미래 신기술인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의 개발을 의해 8조9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완성차를 넘어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의미가 있다. 로보틱스 분야에선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과 서비스 로봇, 모바일 로봇 기술·모델 등을 개발한다. 또 로보틱스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에서 사업화하기 위한 본격 실증 사업도 진행한다. 도심형 항공기로 알려진 미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에도 나선다. 이를 위한 핵심 기술 내재화와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커넥티비티 분야에서는 차량 제어기술 무선 업데이트(OTA), 제어기 통합, 서버 음성 인식, 위치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 등 미래 스마트카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고도화한다. 자율주행 분야는 차량 제어기, 라이다와 카메라 등 센서를 비롯해 자율주행기술 상용화 시 비상 상황을 대비한 리던던시(이중안전기술) 시스템 등 레벨4 자율주행 요소기술 개발도 가속화한다. 로보라이드 등 로보택시와 로보셔틀은 상용화를 대비한 도심 실증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PBV, 로보트럭과 셔틀 등 디바이스 콘셉트 모델·실물 개발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분야에선 미래 신사업을 뒷받침할 소프트웨어 기술 내재화를 진행한다. PBV 전용공장이 신설될 기아 오토랜드 화성 전경 (사진=현대자동차그룹) 내연기관에도 38조원이 투입된다. 선행연구와 차량성능 등 내연기관 차량의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 등에 나선다. 2025년에도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량의 80%가량을 차지하는 내연기관 차량 고객들을 위한 측면이다. 현대차·기아는 내연기관 제품 라인업도 최적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되는 부품 품질 향상에 집중한다. 이러한 국내 투자 계획들을 위해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동시에 장비·설비 증설과 생산라인 효율화 등 안정적 생산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생산과 판매의 경쟁력 우위를 유지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한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미래 신사업·신기술과 전동화 투자에 더해 기존 사업에 대한 지속 국내 투자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전동화와 로봇 신사업 등 자동차산업 대전환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기아·모비스, 국내 63조 투자…“한국, 미래사업 허브 만든다”

2025년까지 4년간 전동화·신사업 집중 육성
16조2000억 투자 전기차 등 생산능력 확대
미래신기술, 8조9000억…자동차산업 전환 주도

손기호 기자 승인 2022.05.24 15:16 의견 0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가 2025년까지 4년간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 전동화·친환경을 비롯해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래 사업 허브’로서 한국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 전동화·친환경차 16조2000억 투자 계획 밝혀

2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미래 성장 핵심축인 전동화와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에서 총 16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순수 전기차를 비롯 수소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등 전동화와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서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과 내연기관차·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부품과 선행기술, 고성능 전동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시설 구축 등에도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동화와 친환경 제품 라인업 다양화, 제품 성능의 핵심인 배터리와 모터 등 PE 시스템 고도화, 1회 충전 주행거리(AER) 증대 기술 개발 등 통합적인 제품 경쟁력 향상을 추진한다.

순수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차세대 플랫폼 확보도 추진한다. 그룹은 2025년까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체계 아래서 개발된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일 예정이다.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전기차 확산을 위해서는 충전소가 핵심 기반이기 때문이다. 이에 2025년까지 외부와 협업을 통해 국내에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배터리, 충전,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하는 UBESS 등 사업 다각화도 추진한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는 연간 최대 15만대 규모의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이 세워진다. 2025년 하반기 양산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수소 사업도 강화한다. 승용, 버스, 트럭 등 차세대 제품과 함께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개선과 원가절감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전용 부품 연구시설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광범위한 활용을 위한 실증 사업과 수소 관련 원천기술, 요소기술 강화를 위해 외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투진할 예정이다.

현대차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그룹)


■ 미래 신기술 개발 8조9000억 투입 발표

현대차·기아·모비스는 미래 신기술인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의 개발을 의해 8조9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완성차를 넘어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의미가 있다.

로보틱스 분야에선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과 서비스 로봇, 모바일 로봇 기술·모델 등을 개발한다. 또 로보틱스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에서 사업화하기 위한 본격 실증 사업도 진행한다.

도심형 항공기로 알려진 미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에도 나선다. 이를 위한 핵심 기술 내재화와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커넥티비티 분야에서는 차량 제어기술 무선 업데이트(OTA), 제어기 통합, 서버 음성 인식, 위치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 등 미래 스마트카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고도화한다.

자율주행 분야는 차량 제어기, 라이다와 카메라 등 센서를 비롯해 자율주행기술 상용화 시 비상 상황을 대비한 리던던시(이중안전기술) 시스템 등 레벨4 자율주행 요소기술 개발도 가속화한다. 로보라이드 등 로보택시와 로보셔틀은 상용화를 대비한 도심 실증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PBV, 로보트럭과 셔틀 등 디바이스 콘셉트 모델·실물 개발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분야에선 미래 신사업을 뒷받침할 소프트웨어 기술 내재화를 진행한다.

PBV 전용공장이 신설될 기아 오토랜드 화성 전경 (사진=현대자동차그룹)


내연기관에도 38조원이 투입된다. 선행연구와 차량성능 등 내연기관 차량의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 등에 나선다. 2025년에도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량의 80%가량을 차지하는 내연기관 차량 고객들을 위한 측면이다.

현대차·기아는 내연기관 제품 라인업도 최적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되는 부품 품질 향상에 집중한다.

이러한 국내 투자 계획들을 위해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동시에 장비·설비 증설과 생산라인 효율화 등 안정적 생산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생산과 판매의 경쟁력 우위를 유지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한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미래 신사업·신기술과 전동화 투자에 더해 기존 사업에 대한 지속 국내 투자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전동화와 로봇 신사업 등 자동차산업 대전환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