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전원. (사진=카카오모빌리티) "공급자·이용자들에게 페널티(처벌·불이익)를 주는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맹 택시에 좋은 구간에 대한 콜을 몰아주고 있지 않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가 그동안 논란이 된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 택시의 '콜 몰아주기' 의혹에 대해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위원회는 다만 공정위와 서울시가 제기한 의혹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 코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지난 1월 카카오모빌리티가 발족한 독립기구로 카카오T 택시 배차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진단을 목표로 출범했다. 활동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대한교통학회가 추천한 교통분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4월 전달한 알고리즘 소스 코드 약 17억건을 바탕으로 택시 콜 발송 데이터를 전수분석했다. 이들은 ▲배차로직 ▲소스 코드 ▲소스코드와 서버 운영의 일치성 ▲배차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배차 로직 운영 현황 등 네 가지 기준으로 검증을 진행했다. 이진우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4월 공개한 소스 코드를 한 줄 한 줄 읽으며 분석했다"면서 "기계 학습 모형의 경우 동작 분석까지 필요했기 때문에 반 년 정도 시간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 모빌리티 대학원 이진우 교수.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위원회 "택시 영업 방식과 승객 호출 거리에 따른 차별 로직 존재하지 않는다"로 결론 위원회는 우선 일반호출 배차 로직 소스코드 전문을 입수해 분석 및 검증한 결과, 택시 영업방식(가맹/일반/직영)과 승객이 호출한 영업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대한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배차 로직이 실제 시스템과 일치해 위원회가 확인한 소스 코드대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목적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 기사와 목적지 정보 표시 없이 자동 배차 방식인 가맹기사 사이에 배차 수락률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 기사의 선택적인 콜 수락 행태에 의한 차이라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정황은 기사 선택 자유도 문제 가맹 택시 콜 몰아주기와 관련해서 위원회는 "영업 방식에 관계 없이 충분한 콜카드가 발송되고 있으며 많은 기회가 고루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 T 플랫폼 운영 실적에 근거한 배차 순서에 있어 99%에 달하는 대부분의 콜카드는 AI 시스템이 아닌 기사의 과거 운행 행태가 반영되지 않는 ETA 스코어 배차에서 발송되고 있다는 게 근거다. 특히 위원회에 따르면 일반 택시 기사의 대기시간당 콜 카드 발송 건수는 10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가 기계학습 모형에 기반한 AI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기사의 수락률과 승객에게 도착하는 예상 도착 시간(ETA)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위원회는 "해당 기계학습 모형은 가중치 모형은 아니어서 인자별 가중치에 대해서 분석은 어렵다"고 말했다. 일반 기사의 배차 수락률이 가맹 기사보다 낮은 이유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위원회는 "일반 기사는 선택의 자유도가 가맹 기사에 비하여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기사 선택의 자유도’의 문제를 차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 승객 호출에 따른 영업 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따른 차별 로직도 확인 안돼 승객 호출 영업 거리에 따른 기사 차별 검증 결과에서도 위원회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위원회는 "실적 데이터 분석 결과, 콜 카드 발송 대비 수락률은 가맹/일반 기사군 사이에 편차가 있고, 이는 목적지 미표시 자동배차와 목적지 표시 선택배차 시스템에 따른 골라잡기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며 "이는 예상 운행 거리에 따른 발송 대비 수락률 차이로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반 기사는 목적지 정보 표시 기반의 배차 수락이 선택 가능한 시스템으로 예상 운행 거리를 콜 카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수익성이 좋은 장거리 호출의 수락률이 단거리 보다 높다"며 "반면 가맹기사는 목적지 정보 미표시 기반의 배차 자동 수락 시스템이라 예상 운행 거리를 수락 시점에 알 수 없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수락률 차이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다만 서울시와 경기도,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제기한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을 제기한 부분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이날 사회를 맡은 여화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는 "공정위나 서울시의 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고, 어떻게 결론을 냈는지 모른다"고 말을 아꼈다. 위원회는 향후 공급 대비 수요가 많은 경우와 수요 대비 공급이 많은 경우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또 수락률이 콜카드 수신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들을 시간대 및 지역별로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개선할 사항들이 있는지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위원회는 호출 승객, 가맹 기사, 일반 기사, 운수 사업자와 학계를 포함해 호출 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에 대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카카오 T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할 예정이다. 김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검증 과정을 통해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이 사회와 교통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심도있게 모색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승객, 가맹기사, 운수사업자, 학계, 정부,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승객-기사-카카오모빌리티 3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배차 방향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카카오T ‘콜 몰아주기’ 로직 찾을 수 없었다”

정지수 기자 승인 2022.09.06 14:34 의견 0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전원. (사진=카카오모빌리티)

"공급자·이용자들에게 페널티(처벌·불이익)를 주는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맹 택시에 좋은 구간에 대한 콜을 몰아주고 있지 않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가 그동안 논란이 된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 택시의 '콜 몰아주기' 의혹에 대해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위원회는 다만 공정위와 서울시가 제기한 의혹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 코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지난 1월 카카오모빌리티가 발족한 독립기구로 카카오T 택시 배차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진단을 목표로 출범했다. 활동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대한교통학회가 추천한 교통분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4월 전달한 알고리즘 소스 코드 약 17억건을 바탕으로 택시 콜 발송 데이터를 전수분석했다. 이들은 ▲배차로직 ▲소스 코드 ▲소스코드와 서버 운영의 일치성 ▲배차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배차 로직 운영 현황 등 네 가지 기준으로 검증을 진행했다.

이진우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4월 공개한 소스 코드를 한 줄 한 줄 읽으며 분석했다"면서 "기계 학습 모형의 경우 동작 분석까지 필요했기 때문에 반 년 정도 시간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 모빌리티 대학원 이진우 교수.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위원회 "택시 영업 방식과 승객 호출 거리에 따른 차별 로직 존재하지 않는다"로 결론

위원회는 우선 일반호출 배차 로직 소스코드 전문을 입수해 분석 및 검증한 결과, 택시 영업방식(가맹/일반/직영)과 승객이 호출한 영업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대한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배차 로직이 실제 시스템과 일치해 위원회가 확인한 소스 코드대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목적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 기사와 목적지 정보 표시 없이 자동 배차 방식인 가맹기사 사이에 배차 수락률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 기사의 선택적인 콜 수락 행태에 의한 차이라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정황은 기사 선택 자유도 문제

가맹 택시 콜 몰아주기와 관련해서 위원회는 "영업 방식에 관계 없이 충분한 콜카드가 발송되고 있으며 많은 기회가 고루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 T 플랫폼 운영 실적에 근거한 배차 순서에 있어 99%에 달하는 대부분의 콜카드는 AI 시스템이 아닌 기사의 과거 운행 행태가 반영되지 않는 ETA 스코어 배차에서 발송되고 있다는 게 근거다. 특히 위원회에 따르면 일반 택시 기사의 대기시간당 콜 카드 발송 건수는 10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가 기계학습 모형에 기반한 AI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기사의 수락률과 승객에게 도착하는 예상 도착 시간(ETA)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위원회는 "해당 기계학습 모형은 가중치 모형은 아니어서 인자별 가중치에 대해서 분석은 어렵다"고 말했다.

일반 기사의 배차 수락률이 가맹 기사보다 낮은 이유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위원회는 "일반 기사는 선택의 자유도가 가맹 기사에 비하여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기사 선택의 자유도’의 문제를 차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 승객 호출에 따른 영업 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따른 차별 로직도 확인 안돼

승객 호출 영업 거리에 따른 기사 차별 검증 결과에서도 위원회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위원회는 "실적 데이터 분석 결과, 콜 카드 발송 대비 수락률은 가맹/일반 기사군 사이에 편차가 있고, 이는 목적지 미표시 자동배차와 목적지 표시 선택배차 시스템에 따른 골라잡기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며 "이는 예상 운행 거리에 따른 발송 대비 수락률 차이로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반 기사는 목적지 정보 표시 기반의 배차 수락이 선택 가능한 시스템으로 예상 운행 거리를 콜 카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수익성이 좋은 장거리 호출의 수락률이 단거리 보다 높다"며 "반면 가맹기사는 목적지 정보 미표시 기반의 배차 자동 수락 시스템이라 예상 운행 거리를 수락 시점에 알 수 없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수락률 차이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다만 서울시와 경기도,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제기한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을 제기한 부분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이날 사회를 맡은 여화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는 "공정위나 서울시의 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고, 어떻게 결론을 냈는지 모른다"고 말을 아꼈다.

위원회는 향후 공급 대비 수요가 많은 경우와 수요 대비 공급이 많은 경우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또 수락률이 콜카드 수신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들을 시간대 및 지역별로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개선할 사항들이 있는지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위원회는 호출 승객, 가맹 기사, 일반 기사, 운수 사업자와 학계를 포함해 호출 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에 대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카카오 T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할 예정이다.

김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검증 과정을 통해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이 사회와 교통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심도있게 모색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승객, 가맹기사, 운수사업자, 학계, 정부,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승객-기사-카카오모빌리티 3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배차 방향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