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et은 ‘오디션 명가(名家)’ ‘오디션 왕국(王國)’으로 불린다. ‘슈퍼스타K’ 이후 ‘쇼미더머니’ ‘보이스코리아’ ‘댄싱9’ 등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성공시켰다. CJ ENM은 이런 Mnet의 성공을 바탕으로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온스타일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 등을 소유한 모든 채널에서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관심을 못 끈 몇몇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대다수 성공해 시리즈를 이어나갔다. 그런 Mnet에게 ‘오디션’이란 분야는 자긍심이었을 것이다. 특정 음악만 선호한다거나, ‘악마의 편집’ 비판을 받더라도 꿋꿋하게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자긍심 때문일 것이다.  Mnet은 ‘대국민 오디션’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슈퍼스타K’에서 ‘국민’을 끌어왔다. 시청자들은 자신이 가수를 뽑는다는 신선한 경험을 했고, 그 경험은 고스란히 연이은 시즌으로 이어가게 했다. 열기가 주춤해질 즈음, ‘국민’이 아닌 전문가들을 동원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이어나갔다. 화제성은 높았지만, 뭔가 부족했다.  그런 Mnet이 꺼낸 카드가 ‘국민 프로듀서’라는 타이틀을 가져와 ‘프로듀스’ 시리즈를 만들었다. 이제는 시청자들이 아이돌을 뽑는 시대로 바뀌었다. 각 기획사에서 준비하던 (혹은 준비하려던) 연습생들의 모습은 가수가 되려고 ‘슈퍼스타K’에 도전하던 일반인들 못지않게 시청자들을 끌어당겼다. 그러면서 아이돌 가수가 되는 과정이 얼마나 힘든 지를 ‘일부’ 보여줬다.  ‘오디션 명가’답게 ‘프로듀스’ 시리즈도 성공시켰다. 각 기획사 연습생들을 모아 그들이 커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데뷔시킨 그룹들은 모두 쉽게 가요계에서 자리 잡았다. 짧은 활동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팬덤이 형성됐다. ‘국민 프로듀서’라 불린 투표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멤버들을 데뷔시키기 위해, 본인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투표 촉구 문자를 보냈다. 지인 뿐 아니라, 무작위로 보내는 경우도 많았다. 단기 활동을 마치고 해체하는 과정을 아쉬워했고, 다른 그룹에 들어가거나, 솔로로 활동하면 또다시 지지를 해줬다. ‘악마의 편집’ 논란, 원래 기획사와의 법적 분쟁 등은 ‘프로듀스’ 시리즈가 끝날 때마다 나오는 문제였지만, 이 역시도 ‘슈퍼스타K’ 때처럼 ‘국민이 뽑은’이라는 전제 아래 묻혔다.  그러나, Mnet은 자신들의 온갖 잘못을 희석시킨 ‘국민’을 우롱했다. ‘국민 프로듀서’들의 투표는 무의미했고, 담당 PD가 기획사로부터 얼마나 접대 받고, 어느 정도의 뒷거래를 했는지에 따라 데뷔조가 만들어졌다. 아이돌 그룹 데뷔를 꿈꾸면, 경쟁하고 기쁨을 맛보거나 혹은 좌절을 맛보면서 ‘치열한 사회’를 알아가던 10~20대 연습생들은, 부정 청탁과 뒷거래, 순위 조작이라는 ‘저열하고 썩은 사회’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Mnet은 그 사회를 ‘국민’들에게도 적용시켜 보여줬다. “당신들이 투표해봤자, 어차피 PD인 내가 스타를 뽑는다. 단, 나에게 잘해주는 기획사 애들로”라는 마음으로 말이다.  아이오아이, 워너원, 아이즈원, 엑스원 멤버들은 모두 피해자다. 그리고 그들에게 투표한 ‘국민’도 피해자다. 궁금하다. Mnet은 향후 보여줄 사회가 말이다.

[유명준의 시선] 뒷거래‧조작…Mnet 보여준 ‘부정한 사회’

유명준 기자 승인 2019.11.19 09:30 | 최종 수정 2019.11.25 13:09 의견 0
 


Mnet은 ‘오디션 명가(名家)’ ‘오디션 왕국(王國)’으로 불린다. ‘슈퍼스타K’ 이후 ‘쇼미더머니’ ‘보이스코리아’ ‘댄싱9’ 등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성공시켰다. CJ ENM은 이런 Mnet의 성공을 바탕으로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온스타일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 등을 소유한 모든 채널에서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관심을 못 끈 몇몇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대다수 성공해 시리즈를 이어나갔다. 그런 Mnet에게 ‘오디션’이란 분야는 자긍심이었을 것이다. 특정 음악만 선호한다거나, ‘악마의 편집’ 비판을 받더라도 꿋꿋하게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자긍심 때문일 것이다. 

Mnet은 ‘대국민 오디션’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슈퍼스타K’에서 ‘국민’을 끌어왔다. 시청자들은 자신이 가수를 뽑는다는 신선한 경험을 했고, 그 경험은 고스란히 연이은 시즌으로 이어가게 했다. 열기가 주춤해질 즈음, ‘국민’이 아닌 전문가들을 동원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이어나갔다. 화제성은 높았지만, 뭔가 부족했다. 

그런 Mnet이 꺼낸 카드가 ‘국민 프로듀서’라는 타이틀을 가져와 ‘프로듀스’ 시리즈를 만들었다. 이제는 시청자들이 아이돌을 뽑는 시대로 바뀌었다. 각 기획사에서 준비하던 (혹은 준비하려던) 연습생들의 모습은 가수가 되려고 ‘슈퍼스타K’에 도전하던 일반인들 못지않게 시청자들을 끌어당겼다. 그러면서 아이돌 가수가 되는 과정이 얼마나 힘든 지를 ‘일부’ 보여줬다. 

‘오디션 명가’답게 ‘프로듀스’ 시리즈도 성공시켰다. 각 기획사 연습생들을 모아 그들이 커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데뷔시킨 그룹들은 모두 쉽게 가요계에서 자리 잡았다. 짧은 활동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팬덤이 형성됐다. ‘국민 프로듀서’라 불린 투표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멤버들을 데뷔시키기 위해, 본인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투표 촉구 문자를 보냈다. 지인 뿐 아니라, 무작위로 보내는 경우도 많았다. 단기 활동을 마치고 해체하는 과정을 아쉬워했고, 다른 그룹에 들어가거나, 솔로로 활동하면 또다시 지지를 해줬다.

‘악마의 편집’ 논란, 원래 기획사와의 법적 분쟁 등은 ‘프로듀스’ 시리즈가 끝날 때마다 나오는 문제였지만, 이 역시도 ‘슈퍼스타K’ 때처럼 ‘국민이 뽑은’이라는 전제 아래 묻혔다. 

그러나, Mnet은 자신들의 온갖 잘못을 희석시킨 ‘국민’을 우롱했다. ‘국민 프로듀서’들의 투표는 무의미했고, 담당 PD가 기획사로부터 얼마나 접대 받고, 어느 정도의 뒷거래를 했는지에 따라 데뷔조가 만들어졌다.

아이돌 그룹 데뷔를 꿈꾸면, 경쟁하고 기쁨을 맛보거나 혹은 좌절을 맛보면서 ‘치열한 사회’를 알아가던 10~20대 연습생들은, 부정 청탁과 뒷거래, 순위 조작이라는 ‘저열하고 썩은 사회’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Mnet은 그 사회를 ‘국민’들에게도 적용시켜 보여줬다.

“당신들이 투표해봤자, 어차피 PD인 내가 스타를 뽑는다. 단, 나에게 잘해주는 기획사 애들로”라는 마음으로 말이다. 

아이오아이, 워너원, 아이즈원, 엑스원 멤버들은 모두 피해자다. 그리고 그들에게 투표한 ‘국민’도 피해자다. 궁금하다. Mnet은 향후 보여줄 사회가 말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