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병식 삼성물산 ENG실장(사진 좌측)과 박구용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이 지난 11일 업무협약 체결 이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삼성물산)
미분양 물량이 10만호에 육박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건설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돈줄이 마른 건설사들의 줄폐업도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형건설사들도 피튀기던 도시정비 사업에서의 경쟁을 멈추고 협력 관계로 돌아서고 있다. 주택사업 돌파구로 떠오른 신사업과 해외 수주에서도 힘을 모으고 있다.
2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오는 30일 울산 중구 B-04구역 재개발 조합이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 시공사 선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총회를 연다. 이 사업은 중구 교동 일대를 재개발해 지하 4층~지상 29층, 공동주택 55개 동 4080가구를 짓는 프로젝트다.
해당 프로젝트는 공사비만 1조원 이상이다. 지난해 시공사 선정을 위한 절차를 밟으면서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경쟁을 예고하기도 했다. 지방 정비사업 최대어로 떠올랐으나 지난해 11월 첫 시공사 선정에서는 양 사 모두 투찰하지 않으면서 시공사 선정이 미뤄졌다.
조합은 당초 컨소시엄 불가 입장을 고수했으나 최근 정비사업지 다수가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등 사업에 난항이 예상됐다. 이에 조합 측도 공동도급을 허용하면서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입찰했다.
경쟁관계였던 양 사는 공동도급을 통해 시공사 선정이 이뤄지면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에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시공단 관계자는 "단지명은 아직까지 확정된 사안이 없다"며 "원활하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 경기 침체에 따라 도시정비사업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건설사의 이 같은 컨소시엄 구성 움직임도 활발하다. SK에코플랜트도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뤄 부산 괴정7구역 개재발 사업을 수주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주택시장 호황기에도 컨소시엄 구성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은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더욱 컨소시엄 구성이 늘어날 수 있는 환경"이라며 "특히 시공사 선정에 난항을 겪는 사업지가 늘면서 조합 입장에서도 컨소시엄을 허용하지 않는 것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형건설사의 협업은 도시정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주택 사업에서 친환경·신사업으로 눈길을 돌린 건설사들도 협력 관계 구축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SK에코플랜트는 미국의 MMR(초소형모듈원전) 전문 기업 USNC와 함께 손을 잡고 탄소배출 없는 수소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에 뛰어들었다.
3사의 협약은 수소 마이크로 허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향후 5년 간 공동으로 MMR-SOEC 연계 통합 플랜트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가격 경쟁력이 있는 수소 생산 체계 구축을 검토하고 수소 생산 및 공급 사업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
지난 11일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에서 ‘건설 로봇 분야 Eco-System 구축 및 공동 연구 개발’에 대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사의 협약은 건설 로봇 분야의 생태계 구축 차원에서 이뤄졌다. 지금까지 개발한 로봇을 서로간의 현장에 적용하는 등 로봇 활용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관 산업계와 기관의 적극적 참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대한민국 건설 로봇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입증해 글로벌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