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소니(사진=워너브라더스 코리아) [뷰어스=남우정 기자] “맨날 흔들려요. 근데 그 흔들림이 좋아요” 심지가 굳건하지 않으면 나올 수 없는 말이 아닐까. 무모한 신인의 패기로 보이지 않는다. 이제 상업영화 고작 두 작품 째인 신인 배우 전소니는 말 한 마디에도 주체적인 생각과 마음을 담아냈다.  ‘뒷돈은 챙기고 비리는 눈감는 쓰레기 같은 악질경찰 조필호(이선균)가 폭발사건 용의자로 몰리고 거대 기업의 음모에 휘말리며 벌어지는 범죄 드라마인 ‘악질경찰’에서 전소니는 세월호 참사로 친구를 잃고 방황하는 미나 역을 연기했다. 어디서든 주눅 들지 않는 미나와 전소니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나한테 그런 부분이 없어서 더 하고 싶었는지 모르겠어요. 정말 멋있다고 생각했거든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자신을 던질 수 있다는 게 멋있죠. 그런 사람은 나이와 상관없이 많이 없으니까요. 그렇게 되고 싶고 노력하고 싶은데 사실 쉬운 일은 아니에요” ‘악질경찰’의 이정범 감독은 단편영화에서 전소니를 발견하고 그에게 미나 역을 제안했다. 하지만 전소니는 쉽지 않은 소재에 한 차례 거절 의사를 전했다가 다시 미나를 찾게 됐다.  “시나리오의 문제 보다는 나의 개인적 문제가 컸어요. 심리적으로 예민했던 시기였고 이 영화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내가 확신을 가지고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했죠. 내가 할 몫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거절을 했죠. 그 후에 다른 시나리오를 보다가도 문득 미나가 떠올랐어요. 이정범 감독님께 다시 연락을 해서 ‘미나 역 정해졌냐’고 물어보고 내가 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꺼냈죠. 그랬더니 ‘이제 무를 수 없어’라고 하시더라고요. 결심을 하고 나면 몰아붙이는 스타일이에요. 그래서 이 영화에 대해서도, 내 연기에 대해서도 아쉬움이 없어요. 내 손을 떠난 건 놔주고 바라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악질경찰’은 범죄물로 포장되어 있지만 그 안에 세월호 참사로 상처를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녹여냈다. 상업영화에선 첫 시도나 다름이 없다. 출연하는 배우로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전소니는 미나에 대한 전사를 쌓아가며 미나를 이해했다.  “오히려 촬영 전엔 자료도 찾아보고 들었어요. 고민이 많았는데 막상 촬영을 시작하고 나서 믿음이 생겼어요. 그 일을 계속 안고 있다면 너무 많은 영향을 받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미나에 집중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어요. TV에서 이영자 선배님이 하신 말씀이었나? ‘사랑이 세상을 버티게 한다’는 말을 들었어요. 그 말이 뭔지 알겠더라고요. 나를 보듬어줄 수 있는 마음이, 사랑하는 경험에서 충전이 되는 것 같다고 생각했고 내가 아는 미나에겐 그런 바탕이 부족했다고 봤죠. 미나가 소희를 지키고 싶은 마음이 그냥 언니라서 끝나는 게 아니라 굉장히 강한 마음인데 그게 미나의 삶의 목표고 동기라고 봤어요” ‘악질경찰’을 통해서 전소니는 상업영화에선 제법 큰 롤을 맡았다. 상업 영화 주연으론 ‘여자들’에 이어서 두 번째나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소니는 그 부담감보단 캐릭터를 좀 더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이 이야기, 역할을 잘 하고 싶은 마음 외에는 주연, 분량에 대한 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었어요. 물론 이 역할로 보여줄 수 있는 부분이 많은 것에 대해선 좋았죠. 단편보다 장편을 할 때 역할로 보여줄 수 있는 신이 많아서 조금 더 말을 많이 하는 느낌이에요” 극 중 전소니가 가장 많이 마주하는 사람은 조필호 역의 이선균이다. 미나를 통해서 쓰레기 같은 삶을 살았던 조필호는 각성하게 된다. 특히 미나는 어른인 조필호에게도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은 물론 그를 제압하기도 한다. 실제로 어마어마한 경력차를 자랑하는 선배와 호흡을 맞춘 소감을 묻자 “신기했죠”라며 웃었다.  “처음 봤을 때 이상하고 신기했는데 내가 약간 오기가 있는 스타일이거든요. 그런 것 때문에 신기해한다던가 선배 경력을 떠올리며 기죽고 싶진 않았던 것 같아요. 얼른 적응하려고 했죠. 거기에 선배들이 도와줘서 어색함 없이 금방 가까워졌어요. 이선균 선배님은 각 잡고 조언을 해주거나 그런 분은 아니에요(웃음) 생각날 때마다 툭툭 던지시는데 그래서 더 그 말의 의미를 알겠더라고요” ■ “한번 하기로 한 건 의심하지 않아요” 전소니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타이틀은 가수 바니걸스 고재숙의 딸이다. 뒤늦게야 이들의 가족관계가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배우를 꿈꾸게 된 것도 어머니 영향이었는지 묻자 전소니는 오히려 ‘허구를 만드는 일’에 관심을 가졌을 뿐이라고 말했다.  “영화나 연기처럼 현실에 없는 걸 현실에 보여주는 일이 멋있다고 생각을 했어요. 아마 연예계라고 생각해서 관심을 가졌다면 힘들게 느껴졌을 것 같아요. 처음에 연기하면서 갑갑하고 힘들었거든요. 좁은 우물을 파서 나를 던져놓고 기어 올라오는 느낌이었어요. 내 연기를 보는 게 싫었어요. 자꾸 실망해서. 어떤 역할이 나랑 맞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게 나에 대한 평가라고 생각했어요. 근데 그 시간을 겪으면서 점점 나를 분리하게 됐던 것 같아요. 답답하고 어려운데 이상한 쾌감이 있어요. 성취감이죠. 그래서 또 하고 싶은 것 같아요” 이 희한한 감정 때문에 전소니는 꾸준히 ‘도장깨기’ 하듯 연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우로는 벌써 6년차가 됐다. 처음엔 어떤 이미지를 갖고 싶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 역할 자체를 연기하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고 했다. 선택받는 직업이니 스스로 생각하는 강점을 묻자 전소니는 “너무 어렵다”며 손사례를 쳤다. 하지만 깊은 고민 끝에 내놓은 답은 전소니다웠다.  “한번 하기로 했으면 이걸 의심하지 않아요. 작품, 나에 대한 의심을 하기 보단 빨리 가까워지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에요” 작품으로도, 외적 요인으로도 혼란스러울 수 있는 나이고 직업임에도 전소니는 뿌리깊은 나무처럼 흔들림이 없어 보였다. 이에 전소니는 “맨날 흔들린다. 근데 그 흔들림이 좋다”며 현명한 답을 내놓았다. 이 답변마저도 전소니답다. “낯설 때는 힘들고 불안해요. 근데 어느 순간에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안 흔들리게 되면 좋을까? 싫을 것 같아요. 앞으로 새로운 작품을 하면서 내가 역할마다 다가가는 방식과 과정이 있을텐데 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옛날엔 그 방식을 빨리 찾고 싶었거든요. 적립해놓고 연기하고 싶었는데 이제 두 작품 해보니까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웃음) 차라리 마음을 비우고 여러 방법을 찾아가면서 해야겠단 생각을 해요. 그래서 잘 흔들렸으면 좋겠어요”

[남우정의 마주보기] 전소니, 잘 흔들리기 위하여

남우정 기자 승인 2019.03.26 00:57 | 최종 수정 2138.06.18 00:00 의견 0
전소니(사진=워너브라더스 코리아)
전소니(사진=워너브라더스 코리아)

[뷰어스=남우정 기자] “맨날 흔들려요. 근데 그 흔들림이 좋아요”

심지가 굳건하지 않으면 나올 수 없는 말이 아닐까. 무모한 신인의 패기로 보이지 않는다. 이제 상업영화 고작 두 작품 째인 신인 배우 전소니는 말 한 마디에도 주체적인 생각과 마음을 담아냈다. 

‘뒷돈은 챙기고 비리는 눈감는 쓰레기 같은 악질경찰 조필호(이선균)가 폭발사건 용의자로 몰리고 거대 기업의 음모에 휘말리며 벌어지는 범죄 드라마인 ‘악질경찰’에서 전소니는 세월호 참사로 친구를 잃고 방황하는 미나 역을 연기했다. 어디서든 주눅 들지 않는 미나와 전소니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나한테 그런 부분이 없어서 더 하고 싶었는지 모르겠어요. 정말 멋있다고 생각했거든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자신을 던질 수 있다는 게 멋있죠. 그런 사람은 나이와 상관없이 많이 없으니까요. 그렇게 되고 싶고 노력하고 싶은데 사실 쉬운 일은 아니에요”

‘악질경찰’의 이정범 감독은 단편영화에서 전소니를 발견하고 그에게 미나 역을 제안했다. 하지만 전소니는 쉽지 않은 소재에 한 차례 거절 의사를 전했다가 다시 미나를 찾게 됐다. 

“시나리오의 문제 보다는 나의 개인적 문제가 컸어요. 심리적으로 예민했던 시기였고 이 영화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내가 확신을 가지고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했죠. 내가 할 몫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거절을 했죠. 그 후에 다른 시나리오를 보다가도 문득 미나가 떠올랐어요. 이정범 감독님께 다시 연락을 해서 ‘미나 역 정해졌냐’고 물어보고 내가 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꺼냈죠. 그랬더니 ‘이제 무를 수 없어’라고 하시더라고요. 결심을 하고 나면 몰아붙이는 스타일이에요. 그래서 이 영화에 대해서도, 내 연기에 대해서도 아쉬움이 없어요. 내 손을 떠난 건 놔주고 바라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악질경찰’은 범죄물로 포장되어 있지만 그 안에 세월호 참사로 상처를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녹여냈다. 상업영화에선 첫 시도나 다름이 없다. 출연하는 배우로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전소니는 미나에 대한 전사를 쌓아가며 미나를 이해했다. 

“오히려 촬영 전엔 자료도 찾아보고 들었어요. 고민이 많았는데 막상 촬영을 시작하고 나서 믿음이 생겼어요. 그 일을 계속 안고 있다면 너무 많은 영향을 받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미나에 집중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어요. TV에서 이영자 선배님이 하신 말씀이었나? ‘사랑이 세상을 버티게 한다’는 말을 들었어요. 그 말이 뭔지 알겠더라고요. 나를 보듬어줄 수 있는 마음이, 사랑하는 경험에서 충전이 되는 것 같다고 생각했고 내가 아는 미나에겐 그런 바탕이 부족했다고 봤죠. 미나가 소희를 지키고 싶은 마음이 그냥 언니라서 끝나는 게 아니라 굉장히 강한 마음인데 그게 미나의 삶의 목표고 동기라고 봤어요”

‘악질경찰’을 통해서 전소니는 상업영화에선 제법 큰 롤을 맡았다. 상업 영화 주연으론 ‘여자들’에 이어서 두 번째나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소니는 그 부담감보단 캐릭터를 좀 더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이 이야기, 역할을 잘 하고 싶은 마음 외에는 주연, 분량에 대한 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었어요. 물론 이 역할로 보여줄 수 있는 부분이 많은 것에 대해선 좋았죠. 단편보다 장편을 할 때 역할로 보여줄 수 있는 신이 많아서 조금 더 말을 많이 하는 느낌이에요”

극 중 전소니가 가장 많이 마주하는 사람은 조필호 역의 이선균이다. 미나를 통해서 쓰레기 같은 삶을 살았던 조필호는 각성하게 된다. 특히 미나는 어른인 조필호에게도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은 물론 그를 제압하기도 한다. 실제로 어마어마한 경력차를 자랑하는 선배와 호흡을 맞춘 소감을 묻자 “신기했죠”라며 웃었다. 

“처음 봤을 때 이상하고 신기했는데 내가 약간 오기가 있는 스타일이거든요. 그런 것 때문에 신기해한다던가 선배 경력을 떠올리며 기죽고 싶진 않았던 것 같아요. 얼른 적응하려고 했죠. 거기에 선배들이 도와줘서 어색함 없이 금방 가까워졌어요. 이선균 선배님은 각 잡고 조언을 해주거나 그런 분은 아니에요(웃음) 생각날 때마다 툭툭 던지시는데 그래서 더 그 말의 의미를 알겠더라고요”

■ “한번 하기로 한 건 의심하지 않아요”

전소니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타이틀은 가수 바니걸스 고재숙의 딸이다. 뒤늦게야 이들의 가족관계가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배우를 꿈꾸게 된 것도 어머니 영향이었는지 묻자 전소니는 오히려 ‘허구를 만드는 일’에 관심을 가졌을 뿐이라고 말했다. 

“영화나 연기처럼 현실에 없는 걸 현실에 보여주는 일이 멋있다고 생각을 했어요. 아마 연예계라고 생각해서 관심을 가졌다면 힘들게 느껴졌을 것 같아요. 처음에 연기하면서 갑갑하고 힘들었거든요. 좁은 우물을 파서 나를 던져놓고 기어 올라오는 느낌이었어요. 내 연기를 보는 게 싫었어요. 자꾸 실망해서. 어떤 역할이 나랑 맞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게 나에 대한 평가라고 생각했어요. 근데 그 시간을 겪으면서 점점 나를 분리하게 됐던 것 같아요. 답답하고 어려운데 이상한 쾌감이 있어요. 성취감이죠. 그래서 또 하고 싶은 것 같아요”

이 희한한 감정 때문에 전소니는 꾸준히 ‘도장깨기’ 하듯 연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우로는 벌써 6년차가 됐다. 처음엔 어떤 이미지를 갖고 싶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 역할 자체를 연기하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고 했다. 선택받는 직업이니 스스로 생각하는 강점을 묻자 전소니는 “너무 어렵다”며 손사례를 쳤다. 하지만 깊은 고민 끝에 내놓은 답은 전소니다웠다. 

“한번 하기로 했으면 이걸 의심하지 않아요. 작품, 나에 대한 의심을 하기 보단 빨리 가까워지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에요”

작품으로도, 외적 요인으로도 혼란스러울 수 있는 나이고 직업임에도 전소니는 뿌리깊은 나무처럼 흔들림이 없어 보였다. 이에 전소니는 “맨날 흔들린다. 근데 그 흔들림이 좋다”며 현명한 답을 내놓았다. 이 답변마저도 전소니답다.

“낯설 때는 힘들고 불안해요. 근데 어느 순간에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안 흔들리게 되면 좋을까? 싫을 것 같아요. 앞으로 새로운 작품을 하면서 내가 역할마다 다가가는 방식과 과정이 있을텐데 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옛날엔 그 방식을 빨리 찾고 싶었거든요. 적립해놓고 연기하고 싶었는데 이제 두 작품 해보니까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웃음) 차라리 마음을 비우고 여러 방법을 찾아가면서 해야겠단 생각을 해요. 그래서 잘 흔들렸으면 좋겠어요”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