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무책임 ‘전세 대출’로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카카오뱅크) 한발 빠른 대출로 많은 고객을 끌어모았던 카카오뱅크가 무책임 ‘전세 대출’로 논란에 휩싸였다. 무리한 전세 대출 모집으로 인해 심사가 지연되고 있다. 현재 90명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는 인력을 충원해 빠른 시일 내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7일 JT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사흘 안에 전세 대출 심사 결과를 알려준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대출 신청자가 늘어 일부 고객의 심사가 지연됐다. 이로 인해 대출 승인을 기다리던 고객들은 위약금을 물거나 신용점수가 떨어지는 피해를 입었다. 특히 일부 고객은 잔금일 전날까지도 대출이 나오지 않아 구했던 집을 계약할 수 없었다. 이사를 가지 못해 전세계약금을 날릴 위기에 몰린 고객도 발생했다. 또 늦어지는 심사를 기다리다 잔금일을 사흘 앞두고 부결 통보를 받아 피해를 입은 고객도 나타났다. 현재 파악된 피해자만 9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를 입은 고객들은 카카오뱅크의 대출 심사 자체를 의심하기도 했다. 이들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최근 구인·구직 사이트에 직원을 구한다는 글을 올렸으며 해당 글에는 ‘초보도 가능’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 카카오뱅크는 최저 금리와 빠른 비대면 대출을 통해 고객을 확대했다. 특히 전세 대출에 대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했다. 지난 4월 카뱅의 전월세 보증금 대출 상품 공급액은 4조7409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 4조4870억원 대비 2539억원 늘어난 규모다. 카카오뱅크의 전세 대출을 찾는 고객들은 점차 늘어났지만 시스템 개발, 인력 충원 등은 더뎌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도 이번 사태가 전산 자동 승인 등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전세 대출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카카오뱅크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피해를 보는 고객들을 위한 대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피해가 점차 늘자 금융감독원도 조사에 착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3일 내 심사가 된다는 것이 허위 과장 광고는 아닌지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라며 “피해 사례는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카카오뱅크 측에 이들에 대한 피해 보상 방안을 강구하라고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논란에 대해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인력을 늘려서 대출 신청자의 심사가 빨리 진행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일내 결과 나온다더니” 카카오뱅크, 전세대출 지연에 피해 속출

빠른 대출 가능하다고 광고했지만 시스템 미비연
금감원, 조사 착수...허위 과장 광고 조사 예정

최동수 기자 승인 2021.07.27 14:24 의견 0
카카오뱅크가 무책임 ‘전세 대출’로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카카오뱅크)

한발 빠른 대출로 많은 고객을 끌어모았던 카카오뱅크가 무책임 ‘전세 대출’로 논란에 휩싸였다. 무리한 전세 대출 모집으로 인해 심사가 지연되고 있다. 현재 90명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는 인력을 충원해 빠른 시일 내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7일 JT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사흘 안에 전세 대출 심사 결과를 알려준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대출 신청자가 늘어 일부 고객의 심사가 지연됐다. 이로 인해 대출 승인을 기다리던 고객들은 위약금을 물거나 신용점수가 떨어지는 피해를 입었다.

특히 일부 고객은 잔금일 전날까지도 대출이 나오지 않아 구했던 집을 계약할 수 없었다. 이사를 가지 못해 전세계약금을 날릴 위기에 몰린 고객도 발생했다.

또 늦어지는 심사를 기다리다 잔금일을 사흘 앞두고 부결 통보를 받아 피해를 입은 고객도 나타났다. 현재 파악된 피해자만 9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를 입은 고객들은 카카오뱅크의 대출 심사 자체를 의심하기도 했다. 이들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최근 구인·구직 사이트에 직원을 구한다는 글을 올렸으며 해당 글에는 ‘초보도 가능’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

카카오뱅크는 최저 금리와 빠른 비대면 대출을 통해 고객을 확대했다. 특히 전세 대출에 대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했다. 지난 4월 카뱅의 전월세 보증금 대출 상품 공급액은 4조7409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 4조4870억원 대비 2539억원 늘어난 규모다.

카카오뱅크의 전세 대출을 찾는 고객들은 점차 늘어났지만 시스템 개발, 인력 충원 등은 더뎌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도 이번 사태가 전산 자동 승인 등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전세 대출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카카오뱅크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피해를 보는 고객들을 위한 대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피해가 점차 늘자 금융감독원도 조사에 착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3일 내 심사가 된다는 것이 허위 과장 광고는 아닌지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라며 “피해 사례는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카카오뱅크 측에 이들에 대한 피해 보상 방안을 강구하라고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논란에 대해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인력을 늘려서 대출 신청자의 심사가 빨리 진행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