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 본점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가 국내 은행들의 실질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허용하면서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0여년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등장이다. 다만 금융권 안팎에선 이번 정부 발표를 상징적인 의미 정도로만 인식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당국의 의도대로 지방은행이 메기 역할을 하며 현 시중은행의 잠재적 경쟁자가 되기엔 역부족이란 반응이 지배적이다. 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기존 금융회사의 시중은행 전환을 허용하고 인터넷전문은행 혹은 지방은행에 대한 신규 인가를 추진하는 등 은행산업을 '경합 시장'으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의 핵심은 은행산업에 신규 플레이어를 풀어 단시일내 실질적 경쟁 촉진을 야기하겠다는 것.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은행산업을 언제든 경쟁자가 진입할 수 있는 경합시장으로 바꿀 것"이라며 "실제 경쟁자가 들어오지 않더라도 잠재적 경쟁자에 대해 인식할 경우 경쟁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장 먼저 손을 들고 나선 곳이 대구은행이다. 김태오 DGB금융그룹 회장은 이날 은행연합회서 열린 금융위원장, 금감원장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연내에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검토하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중은행 인가를 받더라도 본점은 대구에 두며 지역 대표은행으로서 지역은행 본연의 역할에도 충실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더라도 지역은행으로서의 역할을 놓지않겠다는 의지다. 이번 정부 정책에 대한 금융권 안팎의 반응은 다소 냉소적이다. 현재 대구은행 경쟁력으로는 시중은행들에 맞설만한 메기 역할을 하기도 어렵거니와 자칫 지역과 서울 모두에서 밀리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금융당국 출신의 금융권 한 고위 임원은 "현재도 지방은행은 한 지역을 빼면 어떠한 규제 없이 전국 영업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경쟁력과 영업전략의 문제이지 현 시장에서 시중은행 전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전국구로 나갔을때 대부분의 지역에선 기존 시중은행에 밀리고 대구 경북에서도 충성도 높은 고객 이탈이 생기는 최악의 상황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금융권 고위 임원은 "대구은행도 정부 정책에 등떠밀려 손든 것으로 본다. 이번 결정은 상당히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해석했다. 더이상 기존 시중은행들을 쥐어짜기 힘드니 불가피하게 만들어낸 정책이란 의미다. 다만 대구은행으로선 새로운 기회일 수 있다는 점은 강조했다. 그는 "경쟁 효과는 크게 없어도 대구은행 입장에선 영업권이 더 넓어지는 것이니 나쁠 게 없다"면서 "하지만 본사를 대구에 두고선 대구 경북에 국한된 인력풀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근본적인 경쟁력을 높이기도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지금도 전국영업 가능한데”...대구은행의 ‘애매한’ 시도 왜?

정부 "메기 풀어 기존 시중은행에 경쟁효과 야기"
금융권 "전국구 리스크 감내해야...정치적인 결정"

홍승훈 기자 승인 2023.07.05 18:08 | 최종 수정 2023.07.05 18:11 의견 0
DGB대구은행 본점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가 국내 은행들의 실질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허용하면서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0여년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등장이다.

다만 금융권 안팎에선 이번 정부 발표를 상징적인 의미 정도로만 인식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당국의 의도대로 지방은행이 메기 역할을 하며 현 시중은행의 잠재적 경쟁자가 되기엔 역부족이란 반응이 지배적이다.

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기존 금융회사의 시중은행 전환을 허용하고 인터넷전문은행 혹은 지방은행에 대한 신규 인가를 추진하는 등 은행산업을 '경합 시장'으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의 핵심은 은행산업에 신규 플레이어를 풀어 단시일내 실질적 경쟁 촉진을 야기하겠다는 것.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은행산업을 언제든 경쟁자가 진입할 수 있는 경합시장으로 바꿀 것"이라며 "실제 경쟁자가 들어오지 않더라도 잠재적 경쟁자에 대해 인식할 경우 경쟁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장 먼저 손을 들고 나선 곳이 대구은행이다. 김태오 DGB금융그룹 회장은 이날 은행연합회서 열린 금융위원장, 금감원장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연내에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검토하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중은행 인가를 받더라도 본점은 대구에 두며 지역 대표은행으로서 지역은행 본연의 역할에도 충실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더라도 지역은행으로서의 역할을 놓지않겠다는 의지다.

이번 정부 정책에 대한 금융권 안팎의 반응은 다소 냉소적이다. 현재 대구은행 경쟁력으로는 시중은행들에 맞설만한 메기 역할을 하기도 어렵거니와 자칫 지역과 서울 모두에서 밀리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금융당국 출신의 금융권 한 고위 임원은 "현재도 지방은행은 한 지역을 빼면 어떠한 규제 없이 전국 영업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경쟁력과 영업전략의 문제이지 현 시장에서 시중은행 전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전국구로 나갔을때 대부분의 지역에선 기존 시중은행에 밀리고 대구 경북에서도 충성도 높은 고객 이탈이 생기는 최악의 상황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금융권 고위 임원은 "대구은행도 정부 정책에 등떠밀려 손든 것으로 본다. 이번 결정은 상당히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해석했다. 더이상 기존 시중은행들을 쥐어짜기 힘드니 불가피하게 만들어낸 정책이란 의미다.

다만 대구은행으로선 새로운 기회일 수 있다는 점은 강조했다. 그는 "경쟁 효과는 크게 없어도 대구은행 입장에선 영업권이 더 넓어지는 것이니 나쁠 게 없다"면서 "하지만 본사를 대구에 두고선 대구 경북에 국한된 인력풀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근본적인 경쟁력을 높이기도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