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결혼 안 하니?” 나이 서른 즈음의 여성들을 몸서리를 치게 하는 질문이다. ‘명절에 가장 듣기 싫은 말’ 설문조사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하던 이 말은, 명절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듯 365일 여성들을 괴롭히는 흔해 빠진 질문이 됐다. 김현정 작가 역시 서른의 보통 여성과 다를 바 없었다. “올해는 우리 딸이 시집가는 게 소원”이라는 엄마의 한 마디가 이번 ‘계란 한 판, 결혼할 나이’의 시작이었다. 김현정 작가는 “결혼, 출산, 육아에 대한 생각과 감정, 그리고 한국의 결혼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화폭에 담았다”며 “현재의 나에게 있어서 결혼은 머릿속에 늘 자리 잡고 있는 최대의 화두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나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일이기도 했다”고 했다. 그런 면에서 이번 전시에 실린 그림들은 스스로가 던진 화두에 대한 답인 셈이다. 작품은 크게 결혼 전과 후로 나뉜다. 결혼 전의 환상을 그리고 결혼 후의 현실을 담아냈다. 눈여겨볼만한 점은 작가의 섬세한 묘사와 그 속에 담긴 해학적 정서다. 형식과 내용이 가히 파격적이다. 놀랍게도 이 파격적 내용이 그다지 불편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이는 우리 전통회화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인물의 표현법에 있어서 한국의 전통적인 기법인 수묵과 담채 기법을 사용했어요. 이 기법의 서양화의 콜라주와 함께 사용해 대비가 되게 했어요. 그림의 내용도 마찬가지죠. 한국의 전통적인 의상인 한복을 입고 있지만 치마는 시스루이고, 구두도 꽃신의 무늬를 띄고 있지만 힐처럼 굽이 높아요. 그림 속에 작은 소품들도 동서양이 함께 녹아 있고요.” 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작가가 작품을 제작한 과정을 담아낸 그림도 전시장에 내걸었다. 사진 촬영을 하거나 밑그림을 통해 초석을 깔아놓고 채색을 한다. 이후 수묵담채 또는 한지 콜라주를 이용해 인물에 옷을 입힌다. 마치 어린 시절 즐겼던 종이인형놀이를 연상케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 속에서의 여인은 전통사회에서 으레 볼 수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탄생된다. 한복 저고리에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치마를 입고, 과감한 자세도 서슴지 않는다. 주변에 널린 소품들도 지극히 현대적이다. 이러한 화풍은 작가의 자화상으로 불리는 ‘내숭’ 시리즈의 연장선에 있었다. “내숭시리즈의 모델은 제 얼굴을 하고 있지만, 사실 타인의 인격을 대신하고 있을 뿐이었어요. 사람들의 시선에 상처를 받고 이 사람들과 마주해보자는 마음으로 그들의 인격을 그린 거였어요. 그런데 어느 날 제가 그린 그림을 봤는데 저와 꼭 닮은 사람이 있는 거예요. 얼굴이야 당연히 제 얼굴을 하고 있었지만 그 속까지 분명 ‘나’ 자신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결국 나도 그들과 같은 사람이었다는 걸 인정하고 나니 편해지더라고요. 타인으로부터 시작된 이야기가 결국 제 자신을 고백하는 과정이 되어 버린 셈이죠.” ‘내숭’ 시리즈와 이번 ‘결혼’에 다른 지점이 있다면 주체의 확장으로 볼 수 있겠다. ‘내숭’ 시리즈에서는 작가 자신의 내면을 그리는 데 집중했다면 이번 전시는 주제가 ‘결혼’인 만큼 자신을 비롯해 타인이 함께 등장한다. 주체의 확장은 작가의 성장을 보여준다. 자신 안의 세계를 시작으로 이제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나’를 그리면서 성숙하는 과정을 내보인 셈이다.

[마주보기①] 김현정 작가 ‘계란 한 판, 결혼할 나이’의 시작

박정선 기자 승인 2019.09.04 02:47 | 최종 수정 2139.05.12 00:00 의견 0
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결혼 안 하니?”

나이 서른 즈음의 여성들을 몸서리를 치게 하는 질문이다. ‘명절에 가장 듣기 싫은 말’ 설문조사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하던 이 말은, 명절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듯 365일 여성들을 괴롭히는 흔해 빠진 질문이 됐다. 김현정 작가 역시 서른의 보통 여성과 다를 바 없었다. “올해는 우리 딸이 시집가는 게 소원”이라는 엄마의 한 마디가 이번 ‘계란 한 판, 결혼할 나이’의 시작이었다.

김현정 작가는 “결혼, 출산, 육아에 대한 생각과 감정, 그리고 한국의 결혼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화폭에 담았다”며 “현재의 나에게 있어서 결혼은 머릿속에 늘 자리 잡고 있는 최대의 화두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나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일이기도 했다”고 했다. 그런 면에서 이번 전시에 실린 그림들은 스스로가 던진 화두에 대한 답인 셈이다.

작품은 크게 결혼 전과 후로 나뉜다. 결혼 전의 환상을 그리고 결혼 후의 현실을 담아냈다. 눈여겨볼만한 점은 작가의 섬세한 묘사와 그 속에 담긴 해학적 정서다. 형식과 내용이 가히 파격적이다. 놀랍게도 이 파격적 내용이 그다지 불편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이는 우리 전통회화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인물의 표현법에 있어서 한국의 전통적인 기법인 수묵과 담채 기법을 사용했어요. 이 기법의 서양화의 콜라주와 함께 사용해 대비가 되게 했어요. 그림의 내용도 마찬가지죠. 한국의 전통적인 의상인 한복을 입고 있지만 치마는 시스루이고, 구두도 꽃신의 무늬를 띄고 있지만 힐처럼 굽이 높아요. 그림 속에 작은 소품들도 동서양이 함께 녹아 있고요.”

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사진=김현정 아트크리에이티브센터

작가가 작품을 제작한 과정을 담아낸 그림도 전시장에 내걸었다. 사진 촬영을 하거나 밑그림을 통해 초석을 깔아놓고 채색을 한다. 이후 수묵담채 또는 한지 콜라주를 이용해 인물에 옷을 입힌다. 마치 어린 시절 즐겼던 종이인형놀이를 연상케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 속에서의 여인은 전통사회에서 으레 볼 수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탄생된다. 한복 저고리에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치마를 입고, 과감한 자세도 서슴지 않는다. 주변에 널린 소품들도 지극히 현대적이다. 이러한 화풍은 작가의 자화상으로 불리는 ‘내숭’ 시리즈의 연장선에 있었다.

“내숭시리즈의 모델은 제 얼굴을 하고 있지만, 사실 타인의 인격을 대신하고 있을 뿐이었어요. 사람들의 시선에 상처를 받고 이 사람들과 마주해보자는 마음으로 그들의 인격을 그린 거였어요. 그런데 어느 날 제가 그린 그림을 봤는데 저와 꼭 닮은 사람이 있는 거예요. 얼굴이야 당연히 제 얼굴을 하고 있었지만 그 속까지 분명 ‘나’ 자신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결국 나도 그들과 같은 사람이었다는 걸 인정하고 나니 편해지더라고요. 타인으로부터 시작된 이야기가 결국 제 자신을 고백하는 과정이 되어 버린 셈이죠.”

‘내숭’ 시리즈와 이번 ‘결혼’에 다른 지점이 있다면 주체의 확장으로 볼 수 있겠다. ‘내숭’ 시리즈에서는 작가 자신의 내면을 그리는 데 집중했다면 이번 전시는 주제가 ‘결혼’인 만큼 자신을 비롯해 타인이 함께 등장한다. 주체의 확장은 작가의 성장을 보여준다. 자신 안의 세계를 시작으로 이제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나’를 그리면서 성숙하는 과정을 내보인 셈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