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주말마다 질 좋고, 깨끗한 중고 브랜드 신발을 구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중고나라에서 판매했다. 일주일에 10~20켤레 정도의 신발을 1만원~2만원 사이에 판매를 하면 쏠쏠한 용돈벌이가 됐다.  # B씨는 취업준비생으로 간간이 중고폰을 매입해 중고나라에서 판매를 했다. 큰돈이 벌리는 것은 아니지만 취업준비생에게 최소한의 생활비는 마련은 할 수 있게 해줬다.  중고나라를 통해서는 이제 이와 같은 '용돈벌이'를 할 수 없게 됐다. 중고나라가 가맹사업자에 대해 유리한 입지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판매자가 여러 건의 물건을 파는 것이 어려워진 탓이다.  중고나라 카페 회원들이 가맹사업자와 관련한 질문을 하고 있다. 가맹사업자는 가입비 수 백만원과 월 가맹비를 중고나라에 내야 한다. (사진=중고나라 카페 캡처) “중고나라 휴대폰 게시판 가맹점 관련 갑질” 지난 25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게시된 글의 제목이다. 자신을 30대 취업준비생이라고 소개한 청원인은 “중고나라에서 사용하던 휴대폰 단말기를 판매 했던 것을 계기로 간간이 중고폰을 매입해 작게나마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면서 “중고나라에서 가맹사업을 시작한다는 말을 듣고 가맹비 500만원과 광고비 180만원을 매달 내지 않으면 글을 쓸 수 없게 제재한다고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고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전문 업체와 일반 개인을 분류한다고 했지만 업자라고 의심이 된다면 글을 못쓰게 제재를 한다. 기준이 무엇인지 정확히 나와 있지 않고, 적발되면 1회 7일 이용정지, 2회 무기한 이용정지라고 한다”고 말했다.  중고나라의 이 같은 정책에 대해 청원인은 “목적이 사이트 내 사이버 거래사기 근절을 위한 것이 맞는지, 아니면 그들의 틀 안에서 돈을 뜯어내고, 돈 안낸 사람을 글도 못쓰게 제재 하는 게 합당한지 의구심이 든다”고 토로했다.  (자료=중고나라) 중고나라는 2003년 만들어진 네이버 카페다. 지난 2016년 어플을 출시한 후 현재 1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1일 중고나라에 따르면 가입회원이 전 국민의 45% 수준인 2317만 명이다.  커뮤니티였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았고,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은 사기거래 위험을 감안하고서도 중고나라를 이용하는 장점이 됐다. 그야 말로 서민들의 장터가 중고나라였다. 그런 커뮤니티 중고나라가 2014년 법인으로 모양새를 바꾸고 스타트업 기업이 됐다. 기업의 형태를 띈 중고나라로서는 카페 내 사기거래가 늘 골치였던 것은 사실이다.  이를 위해 갖가지 안전거래, 개인 간 카드 결제를 할 수 있는 페이앱 라이트 도입 등은 좋은 시도다. 하지만 ‘안전’을 내세운 가맹사업은 기존에 선량하게 용돈벌이를 하던 이용자들에게까지 무리한 금전적 부담을 안기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생긴다.  청원인의 주장에 대해 중고나라 측은 “중고나라는 개인이 아니라 사업자”라며 “8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용자를 보고하고 중고거래 시장 확장을 위해 성장은 꼭 필요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중고나라에는 일반 사업자, 일반 이용자를 가장한 위험 거래자가 있다. 이들로부터 1800만 명이 넘는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책”이라며 가맹사업자 정책 제시 이유를 전했다.  그렇다면 중고나라와 제휴 업체는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것인가? 중고나라 제휴업체 중고차 판매 회원의 허위 매물이 문제가 됐다. (사진=중고나라 카페 캡처) 중고나라의 제휴 제도는 이전에도 있어왔다. 2016년도에 게시된 글을 보면 중고나라 제휴 업체라고 소개한 중고차 업체가 허위매물을 지속적으로 게시해 회원을의 혼란을 야기했다. 안전거래를 통해 결제를 했지만 사기를 당했다는 피해글은 포털사이트에 ‘중고나라 안전거래’만 입력해 봐도 쏟아져 나오는 마당이다.  이런 피해 사례와 부작용을 막기 위해 가맹사업자 정책을 마련했다는 중고나라의 입장은 어딘지 명분이 부족해 보인다.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장치를 해야 하는 것이지 월 수 백만원에 달하는 가맹비용을 내라고 하는 것은, 여전히 중고나라를 커뮤니티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회원들을 당황하게 할 뿐이다.  중고나라는 일반 중개플랫폼과 다르다.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회원들의 신뢰와 활발한 활동으로 덩치를 키워 기업의 모양새가 갖춰졌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 45%가 이용 경험이 있는 커뮤니티로서의 보편성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의 ‘안전’과 ‘비지니스모델’에 접근해야 마땅하다.

“중고나라에서 판매하려면 돈 내” 이용자 울리는 정책…안전 담보되나?

4월 운영정책 변경하고 제휴업체에 유리한 자리 내준 중고나라

박진희 기자 승인 2020.05.26 15:49 | 최종 수정 2020.05.26 15:56 의견 3

# A씨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주말마다 질 좋고, 깨끗한 중고 브랜드 신발을 구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중고나라에서 판매했다. 일주일에 10~20켤레 정도의 신발을 1만원~2만원 사이에 판매를 하면 쏠쏠한 용돈벌이가 됐다. 

# B씨는 취업준비생으로 간간이 중고폰을 매입해 중고나라에서 판매를 했다. 큰돈이 벌리는 것은 아니지만 취업준비생에게 최소한의 생활비는 마련은 할 수 있게 해줬다. 

중고나라를 통해서는 이제 이와 같은 '용돈벌이'를 할 수 없게 됐다. 중고나라가 가맹사업자에 대해 유리한 입지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판매자가 여러 건의 물건을 파는 것이 어려워진 탓이다. 

중고나라 카페 회원들이 가맹사업자와 관련한 질문을 하고 있다. 가맹사업자는 가입비 수 백만원과 월 가맹비를 중고나라에 내야 한다. (사진=중고나라 카페 캡처)


“중고나라 휴대폰 게시판 가맹점 관련 갑질”

지난 25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게시된 글의 제목이다. 자신을 30대 취업준비생이라고 소개한 청원인은 “중고나라에서 사용하던 휴대폰 단말기를 판매 했던 것을 계기로 간간이 중고폰을 매입해 작게나마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면서 “중고나라에서 가맹사업을 시작한다는 말을 듣고 가맹비 500만원과 광고비 180만원을 매달 내지 않으면 글을 쓸 수 없게 제재한다고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고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전문 업체와 일반 개인을 분류한다고 했지만 업자라고 의심이 된다면 글을 못쓰게 제재를 한다. 기준이 무엇인지 정확히 나와 있지 않고, 적발되면 1회 7일 이용정지, 2회 무기한 이용정지라고 한다”고 말했다. 

중고나라의 이 같은 정책에 대해 청원인은 “목적이 사이트 내 사이버 거래사기 근절을 위한 것이 맞는지, 아니면 그들의 틀 안에서 돈을 뜯어내고, 돈 안낸 사람을 글도 못쓰게 제재 하는 게 합당한지 의구심이 든다”고 토로했다. 

(자료=중고나라)


중고나라는 2003년 만들어진 네이버 카페다. 지난 2016년 어플을 출시한 후 현재 1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1일 중고나라에 따르면 가입회원이 전 국민의 45% 수준인 2317만 명이다. 

커뮤니티였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았고,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은 사기거래 위험을 감안하고서도 중고나라를 이용하는 장점이 됐다. 그야 말로 서민들의 장터가 중고나라였다. 그런 커뮤니티 중고나라가 2014년 법인으로 모양새를 바꾸고 스타트업 기업이 됐다. 기업의 형태를 띈 중고나라로서는 카페 내 사기거래가 늘 골치였던 것은 사실이다. 

이를 위해 갖가지 안전거래, 개인 간 카드 결제를 할 수 있는 페이앱 라이트 도입 등은 좋은 시도다. 하지만 ‘안전’을 내세운 가맹사업은 기존에 선량하게 용돈벌이를 하던 이용자들에게까지 무리한 금전적 부담을 안기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생긴다. 

청원인의 주장에 대해 중고나라 측은 “중고나라는 개인이 아니라 사업자”라며 “8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용자를 보고하고 중고거래 시장 확장을 위해 성장은 꼭 필요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중고나라에는 일반 사업자, 일반 이용자를 가장한 위험 거래자가 있다. 이들로부터 1800만 명이 넘는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책”이라며 가맹사업자 정책 제시 이유를 전했다. 

그렇다면 중고나라와 제휴 업체는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것인가?

중고나라 제휴업체 중고차 판매 회원의 허위 매물이 문제가 됐다. (사진=중고나라 카페 캡처)


중고나라의 제휴 제도는 이전에도 있어왔다. 2016년도에 게시된 글을 보면 중고나라 제휴 업체라고 소개한 중고차 업체가 허위매물을 지속적으로 게시해 회원을의 혼란을 야기했다. 안전거래를 통해 결제를 했지만 사기를 당했다는 피해글은 포털사이트에 ‘중고나라 안전거래’만 입력해 봐도 쏟아져 나오는 마당이다. 

이런 피해 사례와 부작용을 막기 위해 가맹사업자 정책을 마련했다는 중고나라의 입장은 어딘지 명분이 부족해 보인다.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장치를 해야 하는 것이지 월 수 백만원에 달하는 가맹비용을 내라고 하는 것은, 여전히 중고나라를 커뮤니티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회원들을 당황하게 할 뿐이다. 

중고나라는 일반 중개플랫폼과 다르다.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회원들의 신뢰와 활발한 활동으로 덩치를 키워 기업의 모양새가 갖춰졌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 45%가 이용 경험이 있는 커뮤니티로서의 보편성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의 ‘안전’과 ‘비지니스모델’에 접근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