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르넨청담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71억원이라는 역대 최고액 기록이 나왔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청담동 브르넨청담 전용면적 219.96㎡형은 지난 2월 19일 보증금 71억 원(5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이는 아파트 전세 보증금 역대 최고 금액이다. 2019년 6월 준공된 브르넨청담은 지하 3층∼지상 7층, 8가구 규모로 조성된 최고급 아파트다. 3개의 침실과 4개의 욕실을 갖춘 1∼3층의 삼중 복층 구조로 설계됐다. 종전 최고액은 2018년 11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71.38㎡에서 나온 50억 원(44층)이었다. 브레넨청담의 3.3㎡당 보증금은 1억671만원으로 아파트 보증금이 평당 1억원을 넘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들어서도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00.707㎡(43억원·19층)와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전용 195.388㎡(40억원·10층),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06.8953㎡(40억원·7층) 등이 전세 보증금 40억 원 이상에 계약됐다. 지난해 7월 말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이 시행되면서 전세 보증금을 5% 이내에서 올려야만 하는 갱신 계약과 가격 상한 제한을 받지 않는 신규 계약 간 양극화는 점점 심화됐다. 이 때문에 전세 보증금 역대 최고액 기록 경신도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5월 첫째 주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0.02%에서 0.03%로 소폭이나마 다시 상승 폭을 다시 키운 상황이다. 강남권에서는 재건축을 앞둔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와 신반포18차·21차 등 약 4000가구가 올해 안에 이주를 앞두고 있다. 이주에 따른 전·월세 수요가 늘어나면 한동안 숨 고르기를 하던 강남권 전세시장이 불안해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이 밖에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와 전·월세 신고제 시행에 따른 민간 임대사업자 공급 물량 감소,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담 상쇄를 위한 집주인의 조세 부담 전가 등이 전세 시장 불안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역대 최고가 71억원 전세 아파트 등장

서주원 기자 승인 2021.05.10 11:14 의견 0

브르넨청담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71억원이라는 역대 최고액 기록이 나왔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청담동 브르넨청담 전용면적 219.96㎡형은 지난 2월 19일 보증금 71억 원(5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이는 아파트 전세 보증금 역대 최고 금액이다. 2019년 6월 준공된 브르넨청담은 지하 3층∼지상 7층, 8가구 규모로 조성된 최고급 아파트다. 3개의 침실과 4개의 욕실을 갖춘 1∼3층의 삼중 복층 구조로 설계됐다.

종전 최고액은 2018년 11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71.38㎡에서 나온 50억 원(44층)이었다.

브레넨청담의 3.3㎡당 보증금은 1억671만원으로 아파트 보증금이 평당 1억원을 넘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들어서도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00.707㎡(43억원·19층)와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전용 195.388㎡(40억원·10층),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06.8953㎡(40억원·7층) 등이 전세 보증금 40억 원 이상에 계약됐다.

지난해 7월 말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이 시행되면서 전세 보증금을 5% 이내에서 올려야만 하는 갱신 계약과 가격 상한 제한을 받지 않는 신규 계약 간 양극화는 점점 심화됐다. 이 때문에 전세 보증금 역대 최고액 기록 경신도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5월 첫째 주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0.02%에서 0.03%로 소폭이나마 다시 상승 폭을 다시 키운 상황이다.

강남권에서는 재건축을 앞둔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와 신반포18차·21차 등 약 4000가구가 올해 안에 이주를 앞두고 있다.

이주에 따른 전·월세 수요가 늘어나면 한동안 숨 고르기를 하던 강남권 전세시장이 불안해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이 밖에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와 전·월세 신고제 시행에 따른 민간 임대사업자 공급 물량 감소,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담 상쇄를 위한 집주인의 조세 부담 전가 등이 전세 시장 불안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