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국내에도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더 이상 전염병 정정구역이 아닌 한국에서도 관련 약물 개발이 활발해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셀트리온이 자사에서 진행 중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이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모한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분야에서 선정된 것이다.   이번 국책과제는 미해결 치료제의 도전 및 기술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진행됐다. 셀트리온은 정부 지원금 22억을 포함해 총 37억 여 원의 사업비로 메르스 항체 치료제 ‘CT-P38’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됐다. 셀트리온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CT-P38의 비임상시험 및 임상 1상 승인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세부과제는 고려대학교와 협력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이 자사에서 진행 중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이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사진=셀트리온) 이들은 지난 2015년 5월 국내에 첫 메르스 환자가 유입돼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질병이 유행하자 신속히 CT-P38의 연구에 착수해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2018년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중화활성을 갖는 결합분자’로 국내외 특허 취득을 완료했다. 이어 같은 해 11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인플루엔자 및 기타 호흡기질환 학회(ISIRV)’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도 CT-P38이 다국적제약사에서 개발하는 메르스 항체 대비 우월한 동물 효능을 보여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향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메르스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해 중동국가 정부 및 파트너사와도 개발비 관련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그동안 축적된 항체의약품 개발 임상 노하우를 동원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메르스는 전 세계 27개국에서 발병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84%의 확진자가 발생해 중동지역에 토착화된 바이러스가 됐다. 국내에는 지난 2015년 5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입국한 한 남성이 확진 판정을 받으며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메르스는 2015년 7월 국내에서 종식될 때까지 2조 30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끼쳤다. 확진자 186명, 사망자 38명을 발생시켜 20.4%에 이르는 높은 치사율을 보였던 바이러스다.   이 같은 메르스는 중동지역에서 계속 유행하고 있는 상태여서 다시 국내로 유입돼 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2018년에는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61세 남성이 확진 판정을 받은 적도 있어 국가적인 팬데믹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치료제나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계속돼 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봤듯이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바이러스가 확산될 경우 국가 위기 상황으로 치닫을 수 있어, 이에 대응하고 제약바이오기업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CT-P38 개발을 지속해 왔다”며 “메르스는 중동 국가에서 주로 유행하고 있지만, 언제든지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의 확고한 협력체제를 통해 치료제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도 회복 환자의 혈액에서 항체를 선별하는 방식이 CT-P38과 동일하다고 전했다. 당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경쟁사보다 앞선 속도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전염병 사냥꾼’ 셀트리온,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 국책과제 선정

2015년부터 메르스 항체 치료제 ‘CT-P38’ 개발 진행…이번 국책과제 선정으로 치료제 개발 가속화, 국가적 팬데믹 사태에 대비
CT-P38 개발 노하우 바탕으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CT-P59) 개발도 속도

이인애 기자 승인 2020.05.13 18:06 의견 0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국내에도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더 이상 전염병 정정구역이 아닌 한국에서도 관련 약물 개발이 활발해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셀트리온이 자사에서 진행 중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이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모한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분야에서 선정된 것이다.
 
이번 국책과제는 미해결 치료제의 도전 및 기술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진행됐다. 셀트리온은 정부 지원금 22억을 포함해 총 37억 여 원의 사업비로 메르스 항체 치료제 ‘CT-P38’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됐다. 셀트리온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CT-P38의 비임상시험 및 임상 1상 승인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세부과제는 고려대학교와 협력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이 자사에서 진행 중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이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사진=셀트리온)


이들은 지난 2015년 5월 국내에 첫 메르스 환자가 유입돼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질병이 유행하자 신속히 CT-P38의 연구에 착수해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2018년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중화활성을 갖는 결합분자’로 국내외 특허 취득을 완료했다. 이어 같은 해 11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인플루엔자 및 기타 호흡기질환 학회(ISIRV)’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도 CT-P38이 다국적제약사에서 개발하는 메르스 항체 대비 우월한 동물 효능을 보여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향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메르스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해 중동국가 정부 및 파트너사와도 개발비 관련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그동안 축적된 항체의약품 개발 임상 노하우를 동원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메르스는 전 세계 27개국에서 발병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84%의 확진자가 발생해 중동지역에 토착화된 바이러스가 됐다. 국내에는 지난 2015년 5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입국한 한 남성이 확진 판정을 받으며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메르스는 2015년 7월 국내에서 종식될 때까지 2조 30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끼쳤다. 확진자 186명, 사망자 38명을 발생시켜 20.4%에 이르는 높은 치사율을 보였던 바이러스다.
 
이 같은 메르스는 중동지역에서 계속 유행하고 있는 상태여서 다시 국내로 유입돼 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2018년에는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61세 남성이 확진 판정을 받은 적도 있어 국가적인 팬데믹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치료제나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계속돼 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봤듯이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바이러스가 확산될 경우 국가 위기 상황으로 치닫을 수 있어, 이에 대응하고 제약바이오기업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CT-P38 개발을 지속해 왔다”며 “메르스는 중동 국가에서 주로 유행하고 있지만, 언제든지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의 확고한 협력체제를 통해 치료제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도 회복 환자의 혈액에서 항체를 선별하는 방식이 CT-P38과 동일하다고 전했다. 당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경쟁사보다 앞선 속도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