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미지 작가 작업실에서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 미술여행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모습.(사진=예술경영지원센터)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의 스테디 프로그램인 '미술여행'이 한창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장호)가 함께하는 미술여행은 전시 기획자 및 해설사와 함께 미술관·화랑·비엔날레를 감상하는 프로그램이다.

12일 문화계에 따르면 올해 미술여행은 경기·강원, 충청, 경상, 전라, 제주 권역에서 14개 코스가 9월 한 달간 운영된다. 지난해까지 주관사인 예경이 직접 운영하였으나, 올해부터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역 예술 단체가 주관하고 있다. 미술여행을 통해 지역의 대표적인 미술여행 콘텐츠를 발굴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8월 18일 사전 예매를 시작한 이래, 대부분의 티켓이 빠르게 매진되며 관람객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이번 미술여행은 미술축제 기간에 열리는 전국 주요 비엔날레와 연계한 점이 눈에 띈다.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와 청주의 대표 미술 자원을 연계한 청주 코스, 광주디자인비엔날레와 양동전통시장 등 광주 지역의 미술 자원과 관광명소를 연계한 광주 코스, 대구사진비엔날레와 프린지 포토 페스티벌 등을 연계한 대구 코스가 대표적이다.

관람객들은 "비엔날레는 예술적인 안목이 높아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데, 전시해설사의 설명과 함께하니 어려운 현대미술도 제대로 즐길 수 있었다", "비엔날레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 공간들을 함께 갈 수 있어서 가을 나들이로 제격" 등의 소감을 전했다.

또 평소에 방문하기 쉽지 않은 지역의 미술 명소를 연계하여 관람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은 코스도 있다. 뮤지엄 산, 이함캠퍼스, 여주미술관을 연계한 경기·강원 코스는 오픈하자마자 가장 먼저 매진됐다. 본 코스에 참여한 관람객은 "서울·경기권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이번 코스는 '꿈의 여행'으로 불린다. 방문하기 쉽지 않은 곳들인데, 버스로 이동하면서 도슨트의 설명이 곁들여지니 더할 나위 없었다"고 전했다.

지역의 미술 자원을 지역 특색에 맞게 구성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코스도 돋보인다. 부산 코스는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벌, 미술관, 작가 작업실 등의 장소를 연결하여 4개의 코스를 선보이고 있다. 담양 코스는 현대미술, 공예 전시와 담양의 자연유산을 연계하여 ‘여행 콘텐츠’로서의 접근 방법이 신선하다. 제주 코스는 산지천을 따라 걸으며 사진예술을 경험하는 투어 코스로 도슨트, 민속학자, 사진작가의 이야기가 함께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김장호 대표는 "지역의 특색을 가장 잘 아는 지역 예술 단체가 기획한 만큼, 미술의 다양한 모습을 전할 수 있는 지역 특화 코스가 탄생했다"며 "지역의 다양한 미술 자원을 널리 알리는 데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미술여행 참가비는 무료이며, 각 프로그램의 누리집에서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미술축제 소개페이지에서 미술여행 예약 바로 가기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