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난 7일 권대영 당시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업무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권대영 금융위원회 신임 부위원장은 21일 최우선 추진 과제로 '민생 회복'을 꼽았다.

권 부위원장은 이날 취임 직후 기자실을 찾아 "어려운 국민들 회복이 가장 급한 것 같다"며 "민생회복에 금융이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위 DNA가 금융 시스템 안정이기 때문에 시장 안정은 늘 열심히 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부채 문제, 사회적 약자 문제에도 조금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또 "금융권에 넘치는 돈이 생산적인 곳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물꼬를 트고 싶다"고도 했다.

그는 국정기획위원회가 금융위를 해체하고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데 대해선 "제가 말씀드리기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금융위 사무처장으로 주요 정책을 주도해온 그가 이번 인선에서 부위원장을 맡은 만큼 금융위 역할이나 체계가 상당 부분 유지되는 쪽으로 논의 방향이 바뀐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권 부위원장은 "받은 과제들이 많기 때문에 그걸 열심히 하는 게 제 소임"이라며 "맡은 바 소임을 하는 게 공무원(의 역할)"이라고 답했다.

앞서 권 부위원장은 지난달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 대출규제' 정책을 주도했다. 수도권·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고강도로 대출을 묶었다. 이후 서울 집값의 상승 폭은 둔화됐고 '패닉 바잉' 현상도 다소 진정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에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은 대전서 열린 충청 타운홀 미팅에서 당시 권 사무처장에 대해 "이번에 부동산 대출 제한 조치를 만들어낸 그분"이라 직접 소개하며 "잘하셨다"고 공개 칭찬했다.

한편 권 신임 부위원장은 1968년 경남 진해 출생으로 진해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와 1995년 행정고시(38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권 부위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직접 경험한 경제 관료 중 한 명이다. 금융위 출범 이후에는 자산운용과장, 중소금융과장, 은행과장, 금융정책과장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때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실에 파견된 바 있고, 금융혁신기획단장, 금융산업국장, 금융정책국장 등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