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주 생명보험협회 회장(자료=생보협회)
생명보험협회(회장 김철주)는 24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태평양 보험 콘퍼런스(Pacific Insurance Conference(이하 ‘PIC’)'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PI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보험산업 최고위 관계자가 모여 보험산업의 경영 현안과 미래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국제 콘퍼런스로, 1963년 출범한 이후 아시아 태평양 각국을 순회하며 격년제로 개최돼 왔다. 한국은 1985년 주최 이후 40년만에 다시 개최국이 됐다.
이번 PIC 2025는 ‘Transformative Leadership: Reaching New Heights in Insurance’(변화의 리더십: 보험산업의 새로운 도약)를 주제로 한국 생명보험협회가 주최하고 국내외 주요 보험사들이 후원하며, 한국 손해보험협회 및 국제보험학회(IIS)와의 긴밀한 협력하에 아시아 보험리더십 포럼(AILF)이 운영을 주관했다.
한국을 포함하여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 버뮤다 몽골 등 아시아 태평양 19개국의 주요 보험사, 보험협회, 감독당국, 자산운용사 등 80개사 이상의 CEO와 임원급 40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국회 정무위원회 윤한홍 위원장, 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 손해보험협회 이병래 회장이 축사를 통해 축하와 격려를 전했다.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금 우리 보험산업은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과 예측하기 힘든 통상환경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노출돼 있으며, AI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PIC 2025는 아시아 보험산업의 리더들이 함께 보험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우호를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축사에서 “아시아 보험산업의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이번 행사에서 보험산업이 마주한 과제들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평가하며 “우리 보험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고 글로벌 보험시장에서 당당한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국회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함께 축사를 전한 권대영 부위원장은 “이번 컨퍼런스 세션들의 많은 주제가 AI, 고령화 등에 집중돼 있어 보험산업이 많은 혜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와 보험산업의 협업이 절실한 고령화, 시장변동성 확대에 따른 보험사의 건전성 감독 등에 대한 다양한 해법이 공유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 개최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던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은 “변화의 리더십은 단순히 변화에 적응하는 것을 넘어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하고 도약하기 위한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 보험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변화와 발전을 함께 만들어나가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신성욱 AILF 회장은 이번 PIC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보험업 종사자들과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의미가 큰 행사”라고 강조하고, "4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PIC를 통해 보험사들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콘퍼런스에서는 아시아 보험업계가 공통적으로 직면한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성장 전략, 자본 관리, 리스크 및 규제 환경,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 활용 등 다양한 주제를 경영진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다뤘다.
PIC 2025는 코로나19 이후 일시 중단되었던 PIC를 아시아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는 서울에서 C-레벨 임원, 감독당국 고위관료 등 보험산업의 리더들이 참석하는 행사로 리브랜딩되었다는 의미가 크다.
특히, AI·디지털 혁신, 지정학적 리스크, 통상환경 재편 등 빠르게 변화하는 최근의 환경변화를 기반으로 아시아 중심의 보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논의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새로운 포맷의 행사로 재탄생됐다.
PIC는 이번 서울 개최를 시작으로 2년마다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첫째 줄 좌측 3번째부터)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허창언 보험개발원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윤한홍 국회정무위원장, 하태경 보험연수원장, 그외 국내외보험사 CEO(자료=생보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