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상화폐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거래소의 연이은 상장폐지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불과 한두 달 전만 해도 국민들은 가상화폐가 금보다 더 가치 있다며 광풍에 편승했다. 일부 투자자는 대출은 물론 적금까지 깨며 ‘한탕’을 노렸지만 서민 탈출의 마지막 기회인 줄 알았던 가상화폐는 결국 ‘상장폐지’와 엄청난 손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개정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으로 인해 사업자 신고를 앞둔 거래소들의 코인 정리 작업이 줄을 잇고 있다. 4대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을 비롯해 중소 거래소인 코인빗, 후오비코리아 등도 줄줄이 코인 퇴출에 나섰다. 일명 ‘잡코인’은 상장폐지 수순을 밟는 상황이다. 업계와 투자자는 이러한 거래소의 결정이 투자자들을 무시하는 행태라고 지적한다. 상장 코인들이 하루아침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됐다면 이전부터 관리를 부실하게 하고 제대로 된 확인도 없이 상장을 결정한 거래소의 잘못도 크기 때문이다. 현재 업비트와 빗썸에는 100 종목 이상의 가상화폐가 존재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같이 가치가 입증된 가상화폐도 있지만 개발자는 물론 사용처, 개발 이유까지 불분명한 코인도 굉장히 많다. 하지만 불확실한 코인들 역시 투자자들의 돈이 들어가 있다. 이런 상황에도 거래소들은 당장 살아남기 위해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할 것을 알면서도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결국 피해를 본 건 투자자들이다. 거래소가 난데없이 상장폐지를 통보하더라도 사유조차 물을 수 없는 현행법도 문제다. 하루에도 수십 개씩 상장폐지를 하고 있지만 거래소는 정당한 사유는커녕 아예 사유 자체를 밝히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논란이 커지자 정부는 최근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을 내놨다. 신고 마감 100일을 앞두고 금융당국과 관계기관들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거래소 실사 컨설팅 등에 나가고 있다. 3년 전에도 투자자들은 정부의 안일한 대응과 무분별한 규제에 눈물을 흘렸다. 투자자들의 피해는 ‘탓’을 돌리는 정부와 거래소로 인해 커질 수밖에 없다. 당시 논란이 됐던 부분과 지금의 이슈는 좀 다르지만 결국 투자자가 눈물을 흘린다는 사실은 같다. 외양간을 고치지 않은 채 또 소를 들였지만 소는 주인의 부주의에 또다시 집을 나갔다. 냉정해질 때다. 투자자 보호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시장 정화가 절실한 시기다.

[최동수의 머니;View] ‘무대책’ 가상화폐 상폐에 투자자는 눈물만…

투자자 보호와 시장 정화가 절실

최동수 기자 승인 2021.06.25 11:29 의견 1
X
가상화폐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거래소의 연이은 상장폐지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불과 한두 달 전만 해도 국민들은 가상화폐가 금보다 더 가치 있다며 광풍에 편승했다. 일부 투자자는 대출은 물론 적금까지 깨며 ‘한탕’을 노렸지만 서민 탈출의 마지막 기회인 줄 알았던 가상화폐는 결국 ‘상장폐지’와 엄청난 손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개정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으로 인해 사업자 신고를 앞둔 거래소들의 코인 정리 작업이 줄을 잇고 있다. 4대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을 비롯해 중소 거래소인 코인빗, 후오비코리아 등도 줄줄이 코인 퇴출에 나섰다. 일명 ‘잡코인’은 상장폐지 수순을 밟는 상황이다.

업계와 투자자는 이러한 거래소의 결정이 투자자들을 무시하는 행태라고 지적한다. 상장 코인들이 하루아침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됐다면 이전부터 관리를 부실하게 하고 제대로 된 확인도 없이 상장을 결정한 거래소의 잘못도 크기 때문이다.

현재 업비트와 빗썸에는 100 종목 이상의 가상화폐가 존재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같이 가치가 입증된 가상화폐도 있지만 개발자는 물론 사용처, 개발 이유까지 불분명한 코인도 굉장히 많다. 하지만 불확실한 코인들 역시 투자자들의 돈이 들어가 있다.

이런 상황에도 거래소들은 당장 살아남기 위해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할 것을 알면서도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결국 피해를 본 건 투자자들이다.

거래소가 난데없이 상장폐지를 통보하더라도 사유조차 물을 수 없는 현행법도 문제다. 하루에도 수십 개씩 상장폐지를 하고 있지만 거래소는 정당한 사유는커녕 아예 사유 자체를 밝히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논란이 커지자 정부는 최근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을 내놨다. 신고 마감 100일을 앞두고 금융당국과 관계기관들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거래소 실사 컨설팅 등에 나가고 있다.

3년 전에도 투자자들은 정부의 안일한 대응과 무분별한 규제에 눈물을 흘렸다. 투자자들의 피해는 ‘탓’을 돌리는 정부와 거래소로 인해 커질 수밖에 없다. 당시 논란이 됐던 부분과 지금의 이슈는 좀 다르지만 결국 투자자가 눈물을 흘린다는 사실은 같다.

외양간을 고치지 않은 채 또 소를 들였지만 소는 주인의 부주의에 또다시 집을 나갔다. 냉정해질 때다. 투자자 보호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시장 정화가 절실한 시기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