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현지 기자 ‘봉오동 전투’는 무명의 독립군들이 거둔 승리의 과정을 다뤘다. 감독, 배우들은 자신들이 영화를 통해 강조한 진심이 관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지 기대했다. ‘봉오동 전투’는 1920년 6월, 죽음의 골짜기로 일본 정규군을 유인해 최초의 승리를 이룬 독립군의 전투를 그린 영화다. 29일 오후 서울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린 ‘봉오동 전투’ 언론시사회에서 원신연 감독은 “영화를 기획한 지 5년이 지났다. 당시에는 현실에서 일본 불매 운동과 같은 일이 있을지 몰랐다”라고 부담감을 토로하며 “하지만 봉오동 전투와 같은 승리의 역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 지점을 열심히 봐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원 감독은 영화에 담긴 봉오동 전투에 대해 “역사적 사실을 다룰 때는 많은 시간 공을 들여 자료를 수집한다. 그런 자료들이 체화됐을 때 영화로 내놓을 수가 있는 것 같다”라며 “‘봉오동 전투’는 고증을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벽에 봉착했다. 조선 시대나 고려 시대에 훨씬 자료가 많을 정도였다. 봉오동 전투는 일본 입장에서는 축소해야 하는 일이었다. ‘저들의 입으로 기록돼서는 안 된다’고 할 정도로 왜곡하고 축소시켰다. 그럼에도 독립신문에 보면 정확히 봉오동 전투와 과정들이 기록됐다. 승리의 순간도 그렇지만, 봉오동 골짜기까지 일본군들을 유인한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승리가 가능했던 것 같다. 그 과정에서 무명의 독립군에 집중을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유해진은 항일대도를 휘두르는 전설적인 독립군 황해철 역을 맡아 극의 중심을 잡는다. 그는 “많이 뛰어다니느라 육체적으로 고생은 했다”고 운을 떼며 “하지만 진정성 있게 다가가기 위해 노력했다. 그 부분이 가장 큰 숙제였다”고 진심을 강조했다. 더불어 극 중 화려한 액션신에 대해서도 “칼이 정말 무겁다. 하지만 기술을 익히지는 않았다. 기교나 테크닉이 돋보이는 움직임은 아니었다. 대신 감정을 어떻게 담을지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감정을 더욱 강조했다. 사진=이현지 기자 독립군을 이끄는 분대장 이장하 역의 류준열은 거침없는 결단력으로 분대원들을 이끈다. “촬영에 대해서는 덥다, 춥다 정도만 기억이 난다”고 고생담을 털어놓으면서도 “실제 독립군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애를 쓰셨다는 걸 새삼 느꼈다. 그분들의 반의 반도 안 된다는 걸 느끼며 숙연해지는 순간들이 많았다”고 했다. 총과 언변으로 독립군을 상대하는 저격수 마병구 역의 조우진은 “역사 속에서 잊혀져가는 인물들을 담았다.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노력밖에 없었던 것 같다. 어느 한 장면이 힘들었다기보다는 모든 배우, 스태프들이 몸을 아끼지 않고 함께 뛰며 땀 흘렸다. 그 기운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조우진은 촬영 현장 분위기 역시 마찬가지였다며 “매 회차가 감동이었다. ‘봉오동 전투’가 담은 진정성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한 마음 한 뜻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르는데 40분 정도 걸리는 촬영 장소가 있었다. 함께 땀을 흘리면서 장비를 나눠 들고 올라갔다. 제작부원들은 여러 번 반복해서 오르내리기도 했다. 얼굴에는 땀이 맺혀있는데, 항상 미소를 띠고 있었다. 다치지 말고, 힘내서 끝까지 올라가라는 의미였다. 그게 계속 반복이 됐다. 그 광경을 보다 보니까 눈물이 핑 돌았다”고 모두의 진정성을 언급했다. 원 감독은 예비 관객들에게 “학교 다닐 때 역사를 유난히 못했다. 이 영화를 하면서 역사는 공부하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 무명의 독립군들의 뜨거움이 조금이라도 전달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봉오동 전투’는 8월 7일 개봉한다.

[현장 종합] ‘봉오동 전투’ 유해진X류준열, 무명 독립군들이 이룬 뭉클한 첫 승리

장수정 기자 승인 2019.07.29 17:25 | 최종 수정 2139.02.23 00:00 의견 0
사진=이현지 기자
사진=이현지 기자

‘봉오동 전투’는 무명의 독립군들이 거둔 승리의 과정을 다뤘다. 감독, 배우들은 자신들이 영화를 통해 강조한 진심이 관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지 기대했다.

‘봉오동 전투’는 1920년 6월, 죽음의 골짜기로 일본 정규군을 유인해 최초의 승리를 이룬 독립군의 전투를 그린 영화다.

29일 오후 서울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린 ‘봉오동 전투’ 언론시사회에서 원신연 감독은 “영화를 기획한 지 5년이 지났다. 당시에는 현실에서 일본 불매 운동과 같은 일이 있을지 몰랐다”라고 부담감을 토로하며 “하지만 봉오동 전투와 같은 승리의 역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 지점을 열심히 봐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원 감독은 영화에 담긴 봉오동 전투에 대해 “역사적 사실을 다룰 때는 많은 시간 공을 들여 자료를 수집한다. 그런 자료들이 체화됐을 때 영화로 내놓을 수가 있는 것 같다”라며 “‘봉오동 전투’는 고증을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벽에 봉착했다. 조선 시대나 고려 시대에 훨씬 자료가 많을 정도였다. 봉오동 전투는 일본 입장에서는 축소해야 하는 일이었다. ‘저들의 입으로 기록돼서는 안 된다’고 할 정도로 왜곡하고 축소시켰다. 그럼에도 독립신문에 보면 정확히 봉오동 전투와 과정들이 기록됐다. 승리의 순간도 그렇지만, 봉오동 골짜기까지 일본군들을 유인한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승리가 가능했던 것 같다. 그 과정에서 무명의 독립군에 집중을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유해진은 항일대도를 휘두르는 전설적인 독립군 황해철 역을 맡아 극의 중심을 잡는다. 그는 “많이 뛰어다니느라 육체적으로 고생은 했다”고 운을 떼며 “하지만 진정성 있게 다가가기 위해 노력했다. 그 부분이 가장 큰 숙제였다”고 진심을 강조했다.

더불어 극 중 화려한 액션신에 대해서도 “칼이 정말 무겁다. 하지만 기술을 익히지는 않았다. 기교나 테크닉이 돋보이는 움직임은 아니었다. 대신 감정을 어떻게 담을지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감정을 더욱 강조했다.

사진=이현지 기자
사진=이현지 기자

독립군을 이끄는 분대장 이장하 역의 류준열은 거침없는 결단력으로 분대원들을 이끈다. “촬영에 대해서는 덥다, 춥다 정도만 기억이 난다”고 고생담을 털어놓으면서도 “실제 독립군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애를 쓰셨다는 걸 새삼 느꼈다. 그분들의 반의 반도 안 된다는 걸 느끼며 숙연해지는 순간들이 많았다”고 했다.

총과 언변으로 독립군을 상대하는 저격수 마병구 역의 조우진은 “역사 속에서 잊혀져가는 인물들을 담았다.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노력밖에 없었던 것 같다. 어느 한 장면이 힘들었다기보다는 모든 배우, 스태프들이 몸을 아끼지 않고 함께 뛰며 땀 흘렸다. 그 기운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조우진은 촬영 현장 분위기 역시 마찬가지였다며 “매 회차가 감동이었다. ‘봉오동 전투’가 담은 진정성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한 마음 한 뜻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르는데 40분 정도 걸리는 촬영 장소가 있었다. 함께 땀을 흘리면서 장비를 나눠 들고 올라갔다. 제작부원들은 여러 번 반복해서 오르내리기도 했다. 얼굴에는 땀이 맺혀있는데, 항상 미소를 띠고 있었다. 다치지 말고, 힘내서 끝까지 올라가라는 의미였다. 그게 계속 반복이 됐다. 그 광경을 보다 보니까 눈물이 핑 돌았다”고 모두의 진정성을 언급했다.

원 감독은 예비 관객들에게 “학교 다닐 때 역사를 유난히 못했다. 이 영화를 하면서 역사는 공부하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 무명의 독립군들의 뜨거움이 조금이라도 전달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봉오동 전투’는 8월 7일 개봉한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