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이 최근 IT기술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을 크게 줄였다 (사진=KB국민은행) KB국민은행이 IT기술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 0%에 도전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이러한 행보는 높은 부실률로 위축된 동산 담보 대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9일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를 기록했다. 4.2%였던 2018년 12월에 비하면 2년 새 20분의 1로 줄었다. 더불어 같은 기간 동산담보대출 잔액은 320억원에서 2200억원으로 7배 늘었다. 동산 담보 대출은 케이블카와 크레인, 원자재 등 기업의 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이다. 지난 2012년 6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동산담보법)’이 시행되면서 동산도 부동산처럼 법원 등기소에 담보 등기를 할 수 있게 됐고 그해 8월 정식으로 도입됐다. 동산 담보 대출은 전통적인 담보였던 부동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기계 등 유형자산, 재고자산, 농·수축산물, 매출채권을 담보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었다. 하지만 기업이 동산 담보를 몰래 처분하는 등 담보 가치가 훼손돼 부실이 일어나는 일이 많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은행은 취급을 꺼려 왔다. 한국P2P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P2P 업체의 동산담보 대출 1820억원 중 연체율은 79%에 달했다. 국민은행은 이러한 맹점을 IT기술을 통해 극복했다. 2019년 KT와 협약을 맺은 국민은행은 기업의 동산 담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KB PIM’을 만들었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면 담보의 위치와 상태를 추적하기 때문에 무단으로 옮기거나 훼손할 수 없다. 제휴업체인 KT텔레캅을 통해 동산 담보의 이상이 발생하면 1시간 이내로 즉각 대응할 수 있다. 또 국민은행은 ‘KB PIM’을 통해 은행권 최초로 동산 등기부 디지털 열람, 관리 시스템도 구축했다. 재고 자산에 QR코드를 부착해 수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별도 관리가 가능하다. 국민은행은 인터넷 전자 등기 시스템을 구축해 전자 설정 계약 시스템 사용, 비대면 대출 상품 출시 등 다양한 시도를 예고했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을 적극 권장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해당 플랫폼을 구축한 이후 동산 담보 대출액은 늘고, 부실률은 급격히 줄었다”며 “최근 증가한 금융권 동산 담보 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에도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은행이 부실률을 관리하자 기업들도 적극 환영하고 있다. 동산 담보 인정 비율이 과거 30~40%였던 것에 비해 현재는 최대 60%까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인정 비율이 높아지면 대출 금리도 연 1% 이상 줄일 수 있다. 시중은행들도 동산 담보 대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19와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주택담보·신용대출 등 개인 대출 업무보단 기업 대출이 더 이득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기존 국책은행 위주로 이뤄져 왔던 동산 대출 시장 경쟁이 올해부터는 은행권 전체로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까지 은행권이 취급한 동산 담보 대출 규모는 4207억 41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1802억 1400만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도 동산 담보 대출 전담팀을 만들고 신속하게 지원하고 있지만 국민은행의 낮은 부실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IT기술을 도입해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국민은행의 대응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다고 평가한다.

‘0% 도전’ 국민은행, IT기술로 동산담보대출 부실률 1/20 줄어

KT와 협약 맺고 디지털 플랫폼 ‘KB PIM’ 도입
2년 새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 20분의 1로 줄어

최동수 기자 승인 2021.03.09 13:48 의견 0
KB국민은행이 최근 IT기술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을 크게 줄였다 (사진=KB국민은행)

KB국민은행이 IT기술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 0%에 도전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이러한 행보는 높은 부실률로 위축된 동산 담보 대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9일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동산 담보 대출 부실률(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를 기록했다. 4.2%였던 2018년 12월에 비하면 2년 새 20분의 1로 줄었다. 더불어 같은 기간 동산담보대출 잔액은 320억원에서 2200억원으로 7배 늘었다.

동산 담보 대출은 케이블카와 크레인, 원자재 등 기업의 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이다. 지난 2012년 6월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동산담보법)’이 시행되면서 동산도 부동산처럼 법원 등기소에 담보 등기를 할 수 있게 됐고 그해 8월 정식으로 도입됐다.

동산 담보 대출은 전통적인 담보였던 부동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기계 등 유형자산, 재고자산, 농·수축산물, 매출채권을 담보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었다.

하지만 기업이 동산 담보를 몰래 처분하는 등 담보 가치가 훼손돼 부실이 일어나는 일이 많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은행은 취급을 꺼려 왔다. 한국P2P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P2P 업체의 동산담보 대출 1820억원 중 연체율은 79%에 달했다.

국민은행은 이러한 맹점을 IT기술을 통해 극복했다. 2019년 KT와 협약을 맺은 국민은행은 기업의 동산 담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KB PIM’을 만들었다.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면 담보의 위치와 상태를 추적하기 때문에 무단으로 옮기거나 훼손할 수 없다. 제휴업체인 KT텔레캅을 통해 동산 담보의 이상이 발생하면 1시간 이내로 즉각 대응할 수 있다.

또 국민은행은 ‘KB PIM’을 통해 은행권 최초로 동산 등기부 디지털 열람, 관리 시스템도 구축했다. 재고 자산에 QR코드를 부착해 수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별도 관리가 가능하다.

국민은행은 인터넷 전자 등기 시스템을 구축해 전자 설정 계약 시스템 사용, 비대면 대출 상품 출시 등 다양한 시도를 예고했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동산 담보 대출을 적극 권장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해당 플랫폼을 구축한 이후 동산 담보 대출액은 늘고, 부실률은 급격히 줄었다”며 “최근 증가한 금융권 동산 담보 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에도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은행이 부실률을 관리하자 기업들도 적극 환영하고 있다. 동산 담보 인정 비율이 과거 30~40%였던 것에 비해 현재는 최대 60%까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인정 비율이 높아지면 대출 금리도 연 1% 이상 줄일 수 있다.

시중은행들도 동산 담보 대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19와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주택담보·신용대출 등 개인 대출 업무보단 기업 대출이 더 이득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기존 국책은행 위주로 이뤄져 왔던 동산 대출 시장 경쟁이 올해부터는 은행권 전체로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까지 은행권이 취급한 동산 담보 대출 규모는 4207억 41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1802억 1400만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도 동산 담보 대출 전담팀을 만들고 신속하게 지원하고 있지만 국민은행의 낮은 부실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IT기술을 도입해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국민은행의 대응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다고 평가한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