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에이지가 지난 15 신작 '알케론'을 공개했다. (사진=드림에이지)

드림에이지가 신작 '알케론'으로 팀기반 PvP 게임 시장에 파란을 예고했다. 속도감 있는 전투와 탑다운뷰, 독특한 세계관을 기반으로 국내 게이머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는 전략이다.

드림에이지와 본파이어 스튜디오는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 GGX에서 '알케론' 핸즈온 데이를 열고 신작 '알케론'을 공개했다.

'알케론'은 북미 개발사 본파이어 스튜디오가 개발 중인 대규모 팀 기반 PvP 게임으로, 3인 1팀 15개 팀(총 45명)이 과거의 파편으로 지어진 신비로운 '탑'을 오르며 경쟁하는 재미를 담은 작품이다.

지난 2016년 설립된 본파이어 스튜디오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오버워치' 등 글로벌 흥행작을 성공시킨 블리자드 핵심 개발진이 주축을 이룬 개발사다.

이날 롭 팔도 본파이어 스튜디오 대표는 "스튜디오가 출범한 뒤, 내부 논의를 통해 35개의 '시드(아이디어)' 중 7가지를 묘목으로 키워냈다"며 "이중 만장일치로 선택되어 여정을 시작한 것이 '알케론'"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어 그는 "우리의 개발 철학은 우리가 하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것"이라며 "현재는 매일 아침 게임을 플레이하고 피드백 회의를 거쳐 게임을 개선하는 선순환 구조 속에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드림에이지는 알케론의 한국, 일본 지역 서비스를 담당한다. 정우용 드림에이지 대표는 "계약을 앞두고 수차례 본파이어 스튜디오를 방문해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이 게임과 사랑에 빠졌다"며 "드림에이지에 새로운 경쟁력과 경험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롭 팔도 대표는 "여러 퍼블리셔 중 드림에이지가 '알케론'을 가장 잘 이해해줬다"며 "이 유니크한 게임을 우리만큼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파트너를 찾았다"고 드림에이지를 퍼블리셔로 선택한 배경을 밝혔다.

롭 팔도 본파이어 스튜디오 대표. (사진=드림에이지)

'알케론'의 가장 큰 특징은 높은 몰입도 기반의 논타깃팅 전투다. 탑다운 시점으로 진행되는 전투에서 플레이어는 정밀한 컨트롤로 적의 공격을 회피하고 정확한 스킬샷으로 반격해야 한다.

게임 내 시야각의 경우 의도적으로 좁게 설계됐으며, 단순한 반응 속도 싸움이 아니라 사운드 플레이와 위치 선정 같은 전략적 역량이 요구된다. 이에 순간의 팀워크와 판단력이 승리와 패배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용자는 각각의 강력한 능력을 지닌 아이템을 획득·조합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빌드를 완성할 수 있다. 각 선택에 따라 전투 방식과 전략의 깊이가 달라지는 만큼, 매 세션마다 새로운 플레이 경험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탑의 최상층에서 우승자가 가려진다. (사진=드림에이지)

이날 시연된 버전은 인원 한계 상 45명이 아닌 15인 매칭으로 이루어졌다. 3명이 한 팀이 돼 '탑'에 입장한 후, 필드를 탐험하며 몬스터를 사냥하며 파밍을 하는 방식이다. 이후 탑을 오르며 마지막까지 생존한 팀이 우승컵을 차지하게 된다.

화면엔 일종의 길라잡이처럼 파밍장소·상위몹의 위치 등이 안내돼 적응이 어렵지 않았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단 외 구역에는 자기장이 펼쳐지며, 제단을 활성화시키면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다만 전이 장소가 한정적인 만큼 다른 파티가 난입하면 전투를 피할 수 없는 구조다. 파밍-이동만 반복되면 게임이 쉬이 지루해지는 만큼, 난전을 통해 몰입도를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투 승리에 대한 리워드를 높게 설정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타 파티를 물리치면 이들의 아이템을 손실없이 그대로 가져갈 수 있는 것은 물론, 체력도 일부 회복된다.

일반적으로 팀기반 전투 게임에서는 A와 B가 싸울 때 난입하는 C가 가장 큰 이득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A와 B가 먼저 리스크를 감수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정우용 대표는 이에 대해 "'먼저 싸울 것인지, 기다렸다 개입할 것인지'는 전략적 선택"이라며 "어느 쪽이 일방적으로 유리하지 않도록 밸런스를 설계했다"고 전했다.

인게임 플레이 화면. (사진=드림에이지)

이날 시연은 모두 키보드·마우스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여기에 패드 전용 시스템도 준비됐다는 게 개발진의 설명이다. 민 킴 본파이어 스튜디오 CSO는 "이날 발표에 사용된 플레이 장면은 모두 패드로 플레이한 것"이라면서 "내부 테스트에서도 PS5 컨트롤러로 상위권에 오르는 팀원이 있을 정도로 콘솔 조작감은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Q&A에서는 최근 탑다운 방식의 PvP 신작들이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정우용 대표는 "'알케론'은 전략적 깊이와 치열한 전투 요소로 이용자의 경쟁심을 자극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우리만의 개성을 살리는 데 집중하고, 사전 테스트 피드백을 통해 완성도를 보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롭 팔도 대표 또한 "저희가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한 부분이 전투 시스템"이라며 "속도감 있는 전투와 정밀한 컨트롤이 강점이며, 탑다운 뷰를 제공하는 점도 차별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정우용 드림에이지 대표가 Q&A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드림에이지)

콘솔·PC 간 밸런스 문제에 대해서는 양 플랫폼 이용자들의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정을 이어간다. 민 킴 CSO는 "모든 매치는 스킬 기반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했다"며 "콘솔과 PC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내부 테스트를 한 결과, 안정적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앞으로 더 많은 사용자 기반 테스트를 진행하며 매칭과 밸런스를 지속적으로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e스포츠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롭 팔도 대표는 "e스포츠를 염두에 두고 있기는 하지만, e스포츠를 위해 게임을 만들고 있지는 않다"며 "중요한 것은 경쟁이 가능하고 깊이 있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드림에이지와 본파이어 스튜디오는 글로벌 PC 유통 플랫폼 스팀(Steam)에서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알파 플레이 테스트를 진행한다. 글로벌 이용자에게 피드백을 받아 게임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