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여행보험 시장은 줄어들고 여행 취소에 따른 환불이나 위약금 민원은 늘어나면서 여행보험 보장 확대 검토와 상품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보험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여행보험시장 영행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영향으로 내국인 여행자 수가 급감하면서 여행보험 시장은 줄어들고 이로 인한 분쟁은 증가했다고 밝혔다.
여행자보험 신계약 건수 현황 (자료=보험연구원)
국내 여행보험시장의 2020년 1분기 신규 계약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코로나 19 영향이 집중된 2~3월 동안 6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국인의 2020년 1분기 해외 출국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53%) 감소하면서, 해외여행보험시장도 전년 동기 대비 41%(2~3월은 59%) 축소됐다. 내국인의 해외 출국자 수는 2009년 10월 23.4% 감소한 이후 처음으로 두 자리대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에 따른 해외여행이나 국내 숙박·행사의 취소에 따른 여행 경비의 환불·위약금(취소수수료) 분쟁은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여행국가가 여행 자제지역이 되거나 입국 자체가 금지되어 여행을 취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면서 소비자가 여행사에 계약의 해제를 요청하더라도 여행 경비의 환불 또는 위약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 1월20일부터 3월10일까지 위약금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1만5682건)는 전년동기(1926건) 대비 8.1배 증가했으며, 이 중 해외여행(7066건)이 약 절반(45%)을 차지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코로나19가 천재지변과 같은 불가피한 사고인 만큼 위약금 없이 전액 환불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여행 취소 대란을 겪으면서 소비자의 여행 취소 위험보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여행보험은 전염병을 면책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를 계기로 전염병 발생을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위험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이를 보험 가입을 통해 보장받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여행보험은 전염병 사유를 면책항목으로 두고 있다. 일부 판매되던 전염병 보장 상품도 코로나19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험회사들이 판매를 중지한 상태다.
앞서 전 세계 보험회사들은 사스 사태 등을 겪으면서 손해보험에서 전염병을 면책항목으로 정했다. 현재 국내 여행보험 중에서 여행 취소 시 비용을 보장해 주는 상품의 경우도 전염병으로 인한 여행 취소 사유는 면책사항으로 규정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여행 취소 시 보장을 받을 수 없다. 국내 판매되는 항공권 취소보험의 경우에도 본인 또는 여행 동반자가 상해·질병으로 인한 입·통원, 실업, 재판 소환 등의 사유로 인한 항공권 취소의 경우에만 비용 일부를 보장한다.
이에 따라 최근 주요국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응해 여행취소보험 보장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 뉴욕 주는 전염병 확산에 따라 모든 여행 취소 사유에 대해 보장하는 여행취소비용보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정해 권고하고 있다. 표준여행보험에 비해 40~60% 정도 보험료는 높지만 전염병 등으로 여행이 취소될 경우 여행경비의 50~75%를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뉴욕 주 보험청은 일반 표준여행보험이 전염병으로 인한 여행 취소는 면책사항으로 규정돼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여행 취소 피해 해소를 위해 여행보험 보급 확대 및 소비자 보호 조치를 단행하고 소비자가 여행보험 가입을 원할 경우 보험회사는 표준여행보험을 함께 가입하기를 권유하지 않도록 했다.
일본 라인파이낸셜은 질병, 상해 등의 사유 이외에도 코로나19 등과 같은 전염병 확대로 항공, 숙박 등을 취소할 경우 취소수수료를 보상해 주는 여행 취소비용보상보험을 출시했다. AWP 티켓가드와 제휴해 개발한 소액단기보험으로 라인트래블 jp에서 항공권, 숙박시설, 패키지여행 등을 구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지난 2월20일부터 판매하고 있다.
정성희 연구위원은 “보험회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의 새로운 위험보장 수요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면서 “여행보험은 전형적인 생활밀착형 보험(소액단기보험)으로 코로나19 이후 달라질 생활환경과 새로운 위험보장 수요에 대응해 유연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