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최근 친환경에 대한 이슈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비싼 가격에 보험료까지 소비자 부담이 만만치 않다. 차 가격과 보험료 안정화를 위해서는 대중화가 이뤄져야 하지만 이마저도 정부 보조금 편성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질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시는 전기차 보조금이 모두 소진돼 지난 21일부터 취소된 차와 3개월 이상 출고가 지연된 차 등에 대해 잔여 보조금 신청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소비자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날 기준 특별시와 광역시 중 보조금이 남아있는 지역은 서울과 광주, 제주뿐이다. 고양, 과천, 남양주 등 경기도 주요 지역은 이미 보조금이 모두 소진됐다.
소비자들은 전기차 보조금을 전기차를 구매하는 가장 큰 매력으로 꼽는다. 전기차 보조금은 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분담한다.
정부 보조금은 최대 800만원(찻값 6000만원 미만 차량)이고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로 다르다. 승용차의 경우 보조금이 가장 많은 지자체는 충남 서산과 당진으로 정부 보조금을 합쳐 최대 18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내년에는 전기차 보조금이 더 줄어들 전망이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비와 지자체가 주는 지방비로 구성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의 내년도 전기차 보급사업 보조금 조정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국비 보조금은 현재 8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지방비 보조금도 지자체별로 5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이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의 정확한 보조금 규모는 내년 2월에 발표되는데 현재 계획안대로 진행된다면 내년에는 올해 대비 최대 400만원이 줄어든다.
여기에 더해 전기차는 수리 비용이 높아 일반 자동차보험보다 보험료가 비싸다. 비슷한 가격대의 내연기관 차량보다 10% 정도 높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전기차 평균수리비는 164만원 이다. 내연기관차의 143만원보다 21만원 높다. 평균 부품비는 내연기관차가 76만원인데 반해 전기차는 이보다 비싼 95만원이다.
보험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료는 차량가액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기차는 기본적인 단가와 수리비, 부품비가 더 비싸 자차보험료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전기차가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일반 자동차보험과 비교해 높은 보험료 산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자들은 정부의 구매 보조금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데 정부는 매년 친환경차 보조금을 축소하고 있다”며 “보조금이 소진됐다면 그 전까지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100% 본인이 부담해 차량을 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