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TV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비상 계엄 후폭풍으로 내년 사업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다. 투자 위축, 주가 하락, 환율 변동 등 부정적인 영향이 커지면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답이 나오지 않아 고민이 크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약바이오기업들은 현재 계엄령 사태 이후 행보를 주시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불경기가 이어지는 상황에 계엄에 따른 의정갈등이 겹치면서 추가적인 악재가 예상돼 내년 사업계획도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가장 먼저 피부로 와닿는 문제는 환율이다. 환율 변동폭이 커질 경우 해외에서 임상을 진행하거나 글로벌 제약사에 지불해야할 비용이 있는 경우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원·달러환율은 11일 개장가 기준 1434원으로 환율 개장가가 1430원대를 기록한 것은 2022년 이후 2년여 만이다. 특히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의약품 수급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국내 제약사들은 원료의약품의 수입의존도가 높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원료의약품 자급률은 11%에 불과하다. 대부분 가격이 저렴한 중국과 인도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환율 불안은 곧 원료의약품 수입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원료의약품의 경우 수개월 치 물량을 이미 확보한 상태라 지금 당장 환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적지만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환율 불안이 계속될 경우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장 기업공개를 앞두거나 준비 중인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대부분 계엄령 이전 증시가 안정적인 시기에 확정한 공모가를 일반청약에서 소화하지 못할까봐 우려하고 있다. 기업공개를 준비 중인 기업들 역시 돌발 악재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공개 시기를 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공개를 준비하고 있는 한 바이오기업 관계자는 “IPO에 대한 기대감이 컸으나 갑작스런 비상계엄 사태로 모든 것을 다시 결정해야 할 상황”이라며 “이 상황이 장기화되어 더욱 분위기가 안 좋아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신뢰도 하락으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제약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소수의 파이프라인으로 연구개발에 나서기 위해 기술수출이나 투자 유치가 절실한 바이오벤처들에개 해와 투자 위축은 폐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만큼 치명적이라는 반응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바이오산업 정책 육성도 제동이 걸렸다. 이달 출범이 예정됐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운영 자체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대통령 직속 기구로 설치될 예정이었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연구개발이나 인허가 등 바이오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역할을 맡는 기구로 기획됐으나 위원장을 맡은 윤 대통령이 사실상 직무에서 배제되면서 사업 추진에도 차질이 불가피 할 것이란 전망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계엄 사태로 글로벌과 국내 상황 모두 예측이 불가능하게 됐다”며 “내년은 올해보다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지만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수익성에 큰 타격을 미칠 가능성도 있어 대응책 마련이나 사업계획 수정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 정치리스크의 늪下] K-제약바이오, 내년 사업계획 '시계제로'

불경기에 계엄까지 엎친 데 덮친 격…총체적 난국
환율 급등에 따른 비용증가·해외 투자 경직에 바이오기업 긴장
정부 정책마저 제동…"대응책 마련 고심"

이한울 기자 승인 2024.12.11 17:00 의견 0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TV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비상 계엄 후폭풍으로 내년 사업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다. 투자 위축, 주가 하락, 환율 변동 등 부정적인 영향이 커지면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답이 나오지 않아 고민이 크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약바이오기업들은 현재 계엄령 사태 이후 행보를 주시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불경기가 이어지는 상황에 계엄에 따른 의정갈등이 겹치면서 추가적인 악재가 예상돼 내년 사업계획도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가장 먼저 피부로 와닿는 문제는 환율이다. 환율 변동폭이 커질 경우 해외에서 임상을 진행하거나 글로벌 제약사에 지불해야할 비용이 있는 경우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원·달러환율은 11일 개장가 기준 1434원으로 환율 개장가가 1430원대를 기록한 것은 2022년 이후 2년여 만이다. 특히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의약품 수급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국내 제약사들은 원료의약품의 수입의존도가 높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원료의약품 자급률은 11%에 불과하다. 대부분 가격이 저렴한 중국과 인도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환율 불안은 곧 원료의약품 수입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원료의약품의 경우 수개월 치 물량을 이미 확보한 상태라 지금 당장 환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적지만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환율 불안이 계속될 경우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장 기업공개를 앞두거나 준비 중인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대부분 계엄령 이전 증시가 안정적인 시기에 확정한 공모가를 일반청약에서 소화하지 못할까봐 우려하고 있다. 기업공개를 준비 중인 기업들 역시 돌발 악재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공개 시기를 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공개를 준비하고 있는 한 바이오기업 관계자는 “IPO에 대한 기대감이 컸으나 갑작스런 비상계엄 사태로 모든 것을 다시 결정해야 할 상황”이라며 “이 상황이 장기화되어 더욱 분위기가 안 좋아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신뢰도 하락으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제약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소수의 파이프라인으로 연구개발에 나서기 위해 기술수출이나 투자 유치가 절실한 바이오벤처들에개 해와 투자 위축은 폐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만큼 치명적이라는 반응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바이오산업 정책 육성도 제동이 걸렸다. 이달 출범이 예정됐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운영 자체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대통령 직속 기구로 설치될 예정이었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연구개발이나 인허가 등 바이오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역할을 맡는 기구로 기획됐으나 위원장을 맡은 윤 대통령이 사실상 직무에서 배제되면서 사업 추진에도 차질이 불가피 할 것이란 전망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계엄 사태로 글로벌과 국내 상황 모두 예측이 불가능하게 됐다”며 “내년은 올해보다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지만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수익성에 큰 타격을 미칠 가능성도 있어 대응책 마련이나 사업계획 수정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