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제품 인증 획득한 GPC의 PC제품. (자료=GS건설)
얼마전 회사에서 주관한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경제 관련 세미나가 열렸다. '수축사회와 한국, 그리고 언론인의 역할'이라는 주제였다.
'경제통'으로 꼽히는 홍 의원은 언론인이 다뤘으면 하는 거시경제에 대한 이야기를 다수했는데 신자유주의와 관련한 내용도 그 중 하나였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미중 무역 갈등 등을 예시로 들면서 신자유주의가 오롯이 작동하는 나라가 있느냐는 지적이었다.
홍 의원의 경제 비평을 들여다보니 건설업계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 같아 우려되는 부분도 있었다. 특히 해외 시장 다각화를 꾀하면서 유럽 시장도 고려하고 있는 건설사는 더욱 그렇다. 유럽의 탄소배출규제에 따라 현지 프로젝트에서는 이에 맞춘 건설 자재 사용이 필요해서다.
EU 집행위원회는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탄소배출 40% 감소, 재생에너지 이용 32% 증가 등의 목표를 2014년에 제시했다. 그러나 이를 각각 55% 감소, 33.7% 증가 등으로 목표치를 상향하는 등 '녹색건설' 실현의 고삐를 죄는 모습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유럽 시장에서는 관련 법령에 맞춰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는 등 탄소배출을 낮추는 방향으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물산과 GS건설, 롯데건설 등 국내 다수 대형건설사가 탄소배출 저감 시멘트와 콘크리트 등을 개발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현대건설도 시멘트를 친환경 재료로 대체한 콘크리트와 같은 저탄소 건설재료를 현장에 적용하고 SK에코플랜트는 폐페트병으로 만든 철근 대체재 'K-에코바'를 현장에 적용 중이다.
다만 해외시장 다각화 차원에서 북미와 유럽 시장을 노크하는 건설사들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은 쉽지 않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B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주택 현장에서는 친환경 자재 도입을 꾸준히 시도하는 상황이나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돼 투자 규모를 늘리기는 쉽지 않다"면서 "원전과 같은 일부 사업은 프로젝트의 특수성이나 위험도를 고려했을 때 검증된 제품만을 사용해야 하는데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도 있다"고 토로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자재 사용 요구는 유럽을 중심으로는 꽤나 오래 전부터 있었다"면서 "다만 우리나라는 유럽보다 늦었는데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이제라도 친환경 자재 사용에 속도를 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친환경 자재 사용에 대한 비용을 따지기보다는 글로벌 트렌드, 발주처의 요구 등에 맞출 필요가 있다는 점도 이야기했다.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시장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를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로 여기고 더욱 기민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SK에코플랜트는 배터리 생산 시 재생원료의 일정 비율 사용을 의무화하는 EU의 배터리법에 맞춰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성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환경에서 자원 순환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의 하나는 순환 제품의 상용화를 통해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친환경 프리미엄을 얻는 것"이라며 "건축 환경이 이산화탄소 배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순환자원을 위한 투자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고 관련 비즈니스 성장을 고려할 때 투자 기회 또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자금조달 환경의 악화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사에게 기후위기 대응의 필요성을 논하는 건 분명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단기적인 수익 측면만을 생각하기보다는 변화하고 있는 사업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 건설사의 홍보 관계자는 건설업계의 수주 상황을 들여다보면서 "손해를 보더라도 수주를 해야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힘을 주어 말했다.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도 이 같은 연장선상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