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평균 21~35일을 주기로 생리를 한다. 주기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자궁내막이 증식되면서 배아의 착상을 준비하다가, 이렇게 준비된 두꺼워진 자궁 내막이 비임신일 경우 탈락이 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 바로 생리의 과정이다. 가임기 여성이라면 자궁, 난소 등 여성의 생식기관에 별 다른 문제가 없을 시 주기에 맞춰 규칙적으로 생리를 한다. 출혈량은 하루 30ml 안팎이며, 개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2~7일 이내에 생리가 마무리된다. 하지만 생리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혹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속옷에 소량의 피, 혹은 갈색의 냉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다. 이를 ‘부정출혈’이라고 한다. 부정출혈은 이처럼 원인 모를 출혈이 있거나, 혹은 성관계를 하고 난 이후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각각의 원인은 다른데 그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 호르몬 불균형, 자궁질환, 자궁암 등으로 다양하다. 성관계 후 출혈이 발생할 때에 많은 여성들은 성병을 의심하는데, 이는 자궁경부암의 전조증상일 가능성이 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주요 원인인 자궁경부암은 대표적인 초기 증상이 이와 같은 관계 후 출혈이다. 자궁경부암 외에도 자궁경부에서 시작된 부정출혈에는 자궁경부 염증, 자궁경부 폴립 등이 원인이다. 자궁에서 비롯된 출혈의 대표적인 질환은 자궁근종, 자궁내막 폴립, 자궁내막 증식증이다. 이러한 질환은 월경과다와 함께 불규칙한 출혈을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질벽에서 출혈이 시작됐다면 장기간 반복된 칸디다 또는 세균성 질염, 질 벽이 얇아지고 건조해지는 질 위축증일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이처럼 생리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부정출혈이 있는 경우라면 초음파 검사를 받아 보아야 한다. 상당수의 여성들은 부정출혈이 일시적인 증상인 만큼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혹은 증상이 나아져 검사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 원인이 자궁, 난소 관련된 질환일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 보아야 한다. 만약 자궁질환 혹은 암이라면 그에 맞는 치료가 필요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라면 호르몬제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여성 호르몬 문제 또는 약물 복용에 따른 호르몬 교란이 부정출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출혈 문제가 아니더라도 여성들은 1~2년에 1회 정기적인 부인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현재 2년 주기로 20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경부암 정기검진을 무료로 시행하고 있는 만큼 이를 포함하여 자궁 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삼성조앤여성의원 이지연 원장 삼성조앤여성의원 이지연 원장은 “부정출혈은 자궁, 질, 난소 등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거나 혹은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원인을 분석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며 “정기적인 부인과 검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조기에 그 원인을 파악하고 질병을 발견해 치료하면서 여성 건강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생리 기간 아닌데…” 관계 후 부정출혈, 원인별 치료법은?

문형민 기자 승인 2024.05.23 09:53 의견 0

여성은 평균 21~35일을 주기로 생리를 한다. 주기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자궁내막이 증식되면서 배아의 착상을 준비하다가, 이렇게 준비된 두꺼워진 자궁 내막이 비임신일 경우 탈락이 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 바로 생리의 과정이다.

가임기 여성이라면 자궁, 난소 등 여성의 생식기관에 별 다른 문제가 없을 시 주기에 맞춰 규칙적으로 생리를 한다. 출혈량은 하루 30ml 안팎이며, 개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2~7일 이내에 생리가 마무리된다.

하지만 생리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혹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속옷에 소량의 피, 혹은 갈색의 냉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다. 이를 ‘부정출혈’이라고 한다.

부정출혈은 이처럼 원인 모를 출혈이 있거나, 혹은 성관계를 하고 난 이후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각각의 원인은 다른데 그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 호르몬 불균형, 자궁질환, 자궁암 등으로 다양하다.

성관계 후 출혈이 발생할 때에 많은 여성들은 성병을 의심하는데, 이는 자궁경부암의 전조증상일 가능성이 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주요 원인인 자궁경부암은 대표적인 초기 증상이 이와 같은 관계 후 출혈이다.

자궁경부암 외에도 자궁경부에서 시작된 부정출혈에는 자궁경부 염증, 자궁경부 폴립 등이 원인이다. 자궁에서 비롯된 출혈의 대표적인 질환은 자궁근종, 자궁내막 폴립, 자궁내막 증식증이다. 이러한 질환은 월경과다와 함께 불규칙한 출혈을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질벽에서 출혈이 시작됐다면 장기간 반복된 칸디다 또는 세균성 질염, 질 벽이 얇아지고 건조해지는 질 위축증일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이처럼 생리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부정출혈이 있는 경우라면 초음파 검사를 받아 보아야 한다. 상당수의 여성들은 부정출혈이 일시적인 증상인 만큼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혹은 증상이 나아져 검사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 원인이 자궁, 난소 관련된 질환일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 보아야 한다.

만약 자궁질환 혹은 암이라면 그에 맞는 치료가 필요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라면 호르몬제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여성 호르몬 문제 또는 약물 복용에 따른 호르몬 교란이 부정출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출혈 문제가 아니더라도 여성들은 1~2년에 1회 정기적인 부인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현재 2년 주기로 20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경부암 정기검진을 무료로 시행하고 있는 만큼 이를 포함하여 자궁 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삼성조앤여성의원 이지연 원장


삼성조앤여성의원 이지연 원장은 “부정출혈은 자궁, 질, 난소 등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거나 혹은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원인을 분석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며 “정기적인 부인과 검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조기에 그 원인을 파악하고 질병을 발견해 치료하면서 여성 건강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