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마트)

이마트는 오는 31일 신도시 동탄에 위치한 동탄점이 18년만에 리뉴얼을 단행하고 ‘스타필드 마켓’ 3호점으로 문을 연다고 30일 밝혔다. 이마트 동탄점은 동탄 1신도시 입주가 시작된 2007년 12월 오픈 이후 현재까지 지역을 대표하는 대형마트로 자리잡았다. ‘스타필드 마켓’은 이마트가 지난해 선보인 ‘공간 혁신’ 모델로 매장 핵심 공간을 휴식이 있는 커뮤니티 라운지로 꾸며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골자다. 이마트는 지난해 8월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을 1호점으로 처음 선보였고 올해 6월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을 2호점으로 리뉴얼 오픈했다.

이번 동탄점은 스타필드 마켓 세번째 매장으로 동탄 상권과 기존 이마트 동탄점 고객 특성을 분석해 리뉴얼 전략을 구상했다. 이마트는 기존 동탄점 고객 특성 분석 결과 3040세대 핵심고객 비중이 약 61%로 젊은 고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마트 전점(49%) 대비 무려 12%p 높은 수치로 동탄 상권 핵심 키워드다. 이에 3040 패밀리가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3개층 영업면적 5580평을 중심으로 재설계가 이뤄졌으며 체험형 쇼핑몰에 대한 수요를 공략했다. 새로워진 동탄점은 3개층으로 분산됐던 이마트 매장을 1층 1개층으로 압축하고 2~3층에 스타필드 마켓 시그니처 특화존과 인기 브랜드를 배치했다.

1층 이마트 매장 면적은 3100평에서 2280평으로 약 26% 축소됐다. 그로서리 장보기 공간을 중심으로 일렉트로마트·토이킹덤·올리브영 등 핵심 카테고리별 전문매장을 배치해 압축적인 쇼핑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고물가 속 가성비 외식으로 뷔페가 각광받고 있는 것에 주목해 ‘로운 샤브 프리미엄’을 국내 최초로 유치했다. 2층 핵심공간은 스타필드 마켓 시그니처인 ‘북 그라운드’를 중심으로 스타벅스와 4개 소규모 브랜드를 연계한 휴식공간을 마련했다. 이는 2층 주차장 입차 후 도보로 바로 연결되는 최적의 동선을 고려한 것이다. 3층도 ‘키즈 그라운드’를 조성하고 다이소, F&B 식사공간과 유아 휴게실, 키즈/여성 패션 브랜드를 조화롭게 배치했다.

동탄점은 ‘스타필드 마켓’ 최초로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다. 예방접종이 완료된 5kg 미만의 반려견, 반려묘를 대상으로 덮개가 있는 펫모차나 켄넬, 케이지 이용 시 스타필드 마켓 공용부와 2층 북 그라운드에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다이소, 올리브영, 모던하우스 등 동탄점 입점 브랜드 중 70% 이상에 동반 출입 가능하며 원활한 쇼핑 환경 조성을 위해 출입문, 고객용 엘리베이터 및 브랜드별 매장 입구 등에 출입 가능 스티커를 비롯한 안내물을 부착했다.

아울러 스타필드 마켓 1·2호점의 운영 노하우를 살려 동탄점을 방문하는 어린이 고객을 위한 참여형 공연도 다채로워졌다. 오는 8월2에는 2층 북 그라운드에서 ‘티니핑 싱어롱 미니 콘서트’를 연다. 티니핑과 함께 춤추고 노래하며 즐길 수 있는 미니 콘서트와 포토타임을 구성해 그간 이마트에서 볼 수 없었던 색다른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오는 9에는 종이 비행기 국가대표팀 ‘위플레이’가 고객 참여형 종이 비행기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외에도 8월 한달간 매주 토요일 1일 2회 뮤지컬, 마술공연을 지속할 예정이며 공연정보는 이마트앱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 페이지에서 자세히 확인 가능하다.

지난해 8월 문을 연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1호점)은 오픈 이후 올해 6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리뉴얼 이전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이 39% 증가하고 방문객 수도 34% 늘어나며 지역의 대표 쇼핑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6월 선보인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2호점) 역시 긍정적인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6월26일부터 7월25일까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9%, 방문객 수는 무려 67%가량 높아졌다. 특히 올리브영, 다이소 등 인기 브랜드를 대형화하고 화제성 있는 테넌트를 유치하는 등 몰 경쟁력 강화 노력에 힘입어 전체 테넌트 매출이 리뉴얼 이전 동기간 대비 3배나 늘었다.

위수연 이마트 개발혁신본부장은 “죽전점과 킨텍스점이 지역 상권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고객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며 “앞으로도 스타필드 마켓만의 차별화된 공간과 콘텐츠를 통해 쇼핑 그 이상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