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하는 이잔친 금융감독원장. (사진=문재혁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은행권과 첫 만남에서 시중은행의 '손쉬운 이자장사' 행태를 비판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우선시하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내 20개 은행 행장들을 불러 은행권이 앞으로 이뤄나가야 할 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원장은 "은행의 건전성 확보와 소비자 보호를 토대로 국가 경제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미래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최우선 과제로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더 이상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권익침해 사례는 없어야 한다"며 "고난도 투자상품 판매 관행을 개선하는 등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이 책무구조도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소비자 권익을 우선하는 금융 문화를 조성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금융사고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도 주문했다. 개인정보 유출, 직원 횡령 등 금융사고를 두고 "자물쇠가 깨진 금고와 다를 바 없다"며 "이를 방치한다면 은행에 대한 국민 신뢰가 무너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내부통제 체계 강화를 신뢰 확보를 위한 핵심 투자로 인식해 달라"고 제안했다.

은행권의 자금공급과 관련해선 "은행이 리스크가 가장 낮은 담보·보증상품 위주로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 현실"이라며 "AI 등 미래 성장 산업에 자금이 흘러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금감원은 건전성 규제 개선,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확대도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경제의 기반이자 고용과 혁신의 원천인 만큼, 금융지원을 활성화해 '경제 전반의 회복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며 정책금융과의 연계, 채무조정 등을 통한 금융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금감원도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실태를 점검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가계부채 우려에 대해선 "부동산 가격과 주택담보대출이 서로를 부추기는 악순환으로 가계부채 쏠림이 심화됐다"며 "6·27 대책 관련 규제 우회가 발생하지 않도록 엄격히 관리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은행권은 국내외 여건이 엄중한 만큼 은행산업이 국가 경제의 '대전환'에 기여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그간 경제의 혈맥이자 방파제로서 생산적 자금공급과 소비자보호 강화에 힘써온 만큼 앞으로도 변화와 혁신으로 경제 도약을 뒷받침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장들은 이 원장의 발언에 공감하며 고객 관점에서 소비자보호 대폭 강화, 내부통제 체계 고도화 등을 약속했으며, 이를 통해 신뢰 회복을 이뤄내고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은행 건전성 규제 개선TF'에서 논의 중인 자본규제 완화 등 감독 차원의 지원 확대와 상생금융 실천 우수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등을 건의했다. 금소법 위반 시 과징금·과태료 등 금전제재 중복 부과에 대한 업계 우려도 함께 전달됐다.

한편 이 원장은 이날 은행장 간담회를 시작으로 오는 9월 1일 보험업권, 4일 저축은행업권, 8일 금융투자업권과 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